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6)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張允 鎭州人也 少事鎭州하야參軍이러니 唐莊宗討張文禮할새 允脫身降이어늘
莊宗繫之獄하고 文禮敗 乃出之하야 爲魏州功曹하다 趙在禮辟節度推官하고 歷滄兗二鎭掌書記하고 入爲監察御史하고 累遷水部員外郎知制誥하다
皇子重美爲河南尹하야 掌六軍할새 以允剛介 乃拜允給事中하고 爲六軍判官이라가 罷遷左散騎常侍하다
晉高祖卽位 屢赦天下하니 允爲駁赦論以獻曰
라하니 蓋行赦라도 不以爲恩이오 不行赦라도 不以爲無恩 罰有罪故也
自古 皆以水旱則降德音而宥過하고 開狴牢而出囚하야 冀感天心하야 以救其災者 非也
假有二人之訟者 一有罪而一無罪어늘 若有罪者見捨 則無罪者啣寃이니 此乃致災之道 非救災之術也
至使小人遇天災 則皆喜而相勸以爲惡하야 曰 國將赦矣리니 必捨我以救災리라하리니 如此則是教民爲惡也
夫天之爲道 福善而禍淫이니 若捨惡人而變災爲福이면 則是天又喜人爲惡也
凡天之降災 所以警戒人主節嗜慾務勤儉恤鰥寡正刑罰而已라하다
是時 晉高祖方好臣下有言하야 覽之大悅하다 允事漢爲吏部侍郎하다
할새 京師皆恐하니 允常退朝不敢還家하고 止于相國寺
周太祖以兵入京師할새 允匿于佛殿이라가 墜而卒하니 年六十五


05. 장윤張允전기傳記
장윤張允진주鎭州 사람이다. 젊을 때 진주鎭州에서 벼슬하여 장문례張文禮참군參軍이 되었는데 장종莊宗이 장문례를 토벌할 때 장윤은 몸을 빼내어 항복하였다.
그러자 장종이 장윤을 옥에 가두었고 장문례가 패배하자 석방하여 위주공조魏州功曹로 삼았다. 조재례趙在禮절도추관節度推官으로 초빙하였고 창주滄州연주兗州장서기掌書記를 역임하였으며 조정에 들어가 감찰어사監察御史가 되고 여러 차례 승진하여 수부원외랑水部員外郎 지제고知制誥가 되었다.
폐제廢帝황자皇子 이중미李重美하남윤河南尹이 되어 육군六軍을 관장할 때 장윤의 강개剛介한 성품을 인정하여 장윤을 급사중給事中에 배수하고 육군판관六軍判官으로 삼았다가, 파직하여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로 승진시켰다.
고조高祖가 즉위하여 여러 차례 천하에 사면령을 내리자 장윤이 〈박사론駁赦論〉을 지어 바쳤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관자管子≫에 이르기를 ‘무릇 사면은 이익은 적고 해악은 크니 오래 되면 그 재앙을 이루 다할 수 없고, 사면하지 않는 것은 해악은 적고 이익은 크니 오래 되면 그 복록을 이루 다할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나라의 오한吳漢이 병이 위독하자 황제가 오한에게 하고자 하는 말이 있는지 물었는데, 오한이 말하기를 ‘오직 폐하께서 사면령을 내리지 않기를 바랍니다.’라고 하였습니다. 대개 사면을 행하더라도 은덕으로 여기지 않고 사면을 행하지 않더라도 은덕이 없다고 여기지 않는 것은 벌을 받는 사람은 죄가 있기 때문입니다.
예로부터 모두 홍수나 가뭄이 들면 덕음德音을 내려 과오를 용서하고 감옥을 열어 죄수를 방면하여 천심天心을 감동시켜 재앙이 사라지기를 바랐는데, 이는 그릇된 행동입니다.
가령 두 사람이 송사訟事를 한 경우에 한 사람은 죄가 있고 한 사람은 죄가 없는데 만약 죄 있는 자를 그냥 내버려 둔다면 죄 없는 자가 원한을 품을 것이니, 이는 바로 재앙을 부르는 길이지 재앙을 없애는 방법이 아닙니다.
심지어 소인小人이 하늘이 내리는 재앙을 만나면 모두 기뻐하면서 서로 권하여 악을 행하며 말하기를 ‘나라에서 장차 사면할 것이니, 반드시 우리를 그냥 내버려 두어 재앙을 없애려 할 것이다.’라고 하게 만듭니다. 이와 같다면 이는 백성에게 악을 행하라고 가르치는 것입니다.
대저 천도天道는 선한 이에게 복을 내리고 악한 이에게 재앙을 내리니, 만약 악인을 그냥 내버려 두어 재앙이 변하여 복이 된다면 이는 하늘이 사람들의 악행을 기뻐하는 것입니다.
무릇 하늘이 재앙을 내리는 것은 인주人主에게 기욕嗜慾을 절제하고 근검에 힘쓰고 홀아비와 과부를 돌보고 형벌을 바르게 집행하라고 경계하는 것일 따름입니다.”
이때에 고조高祖가 바야흐로 신하의 훌륭한 말을 좋아하여 장윤의 글을 보고 크게 기뻐하였다. 장윤은 나라를 섬겨 이부시랑吏部侍郎이 되었다.
은제隱帝대신大臣주륙誅戮할 때 경사京師 사람들이 모두 두려워하니, 장윤은 항상 조정에서 퇴청하여 감히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상국사相國寺에 머물렀다.
태조太祖가 병사를 이끌고 경사로 들어올 때 장윤은 불전佛殿승진承塵에 숨어 있다가 떨어져 졸하니 향년 65세였다.


역주
역주1 張允傳 : 張允(886~950)은 鎭州 束鹿사람이다. 後唐과 後晉과 後漢을 섬겨 벼슬이 吏部侍郎에 이르렀다. 장윤의 열전은 ≪舊五代史≫ 〈漢書 第10 列傳5〉와 ≪新五代史≫ 卷57 〈雜傳 第45〉에 실려 있다. 다른 열전들과 마찬가지로 장윤의 열전 역시 ≪신오대사≫에서는 ≪구오대사≫에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된 전후의 官歷과 행적을 많은 부분 축약하였으며 내용이 매우 짧다. 다만 ≪신오대사≫에서는 장윤이 후진 高祖에게 지어 바친 〈駁赦論〉의 전문을 그대로 수록하였는데 기실 이 〈박사론〉 한 편이 이 열전의 핵심이다. 〈박사론〉은 天災가 발생했을 때 내리는 사면령이 실제로는 득보다는 실이 많다고 하면서 상벌을 공정하고 엄격하게 하여 백성들이 福善禍淫의 이치를 잘 깨달을 수 있도록 하고 천재가 발생했을 때는 하늘이 내리는 경계임을 알아 군주가 자신을 검속하여 천하의 외로운 이들을 구제하고 형벌을 바르게 집행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요컨대 구양수는 장윤의 다른 행적보다도 〈박사론〉에 펼쳐진 바른 의론을 취한 것이다.
역주2 張文禮 : ?~921. 燕 땅 사람이다. 처음에는 劉仁恭의 牙將으로 있다가 滄州를 점거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였고, 鎭州로 도주하여 趙王 王鎔에게 의탁하였다. 晉王 李存勗이 後梁을 공격할 때 원조하였으며 후에 왕용을 살해하고 스스로 留後가 되었다. 겉으로는 이존욱에게 稱臣하면서 後梁과 내통하고 契丹과도 結交하다가 발각되어 이존욱이 토벌하자 놀라서 病死하였다.
역주3 廢帝 : 五代 後唐의 마지막 황제인 李從珂(?~936)이다. 末帝라고도 부른다.
역주4 凡赦者……久而不勝其福 : ≪管子≫ 卷6 〈法法 第16 外言7〉에 나오는 글이다.
역주5 又漢之吳漢疾篤……惟願陛下無赦爾 : 吳漢(?~44?)은 後漢의 장수이다. 光武帝 劉秀를 섬겨 관직이 大司馬에 이르고 廣平侯에 봉해졌다. 後漢 건국에 공을 세운 28명의 武將인 雲台二十八將의 한 사람이다. 해당 내용은 ≪後漢書≫ 卷47 〈吳漢傳〉에 보인다.
역주6 隱帝誅戮大臣 : 隱帝는 五代 後漢의 마지막 황제인 劉承祐(931~950)이다. 郭允明 등을 신임하여 여러 대신을 죽이고 당시 권력자였던 天雄節度使 郭威를 살해하려 하였는데, 곽위가 반란을 일으켜 남하하자 곽윤명이 은제를 죽이고 자살했다. 곽위는 後周를 세우고 太祖가 되었다.
역주7 承塵 : 천장에서 떨어지는 먼지 등을 막기 위해 판자나 방석이나 천 따위를 천장에 친 것이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