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2)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自是名儒之言이라
脩頓首白하노라
州人至 蒙惠書及하니 甚善이라
世無孔子 久矣 六經之旨 失其傳하니 其有不可得而正者 自非孔子復出이면 無以得其眞也
博矣 而又苦心勞神於殘編朽簡之中하야 以求千歲失傳之繆하니 茫乎前望已遠之聖人而不可見하고 杳乎後顧無窮之來者하야 欲爲未悟하야 決難解之惑하니
是眞所謂勞而少功者哉인저
然而經非一世之書也 其傳之繆 非一日之失也 其所以刊正補緝 亦非一人之能也
使學者各極其所見 而明者擇焉하야 十取其一하고 百取其十이면 雖未能復六經於無失하야 而卓如日月之明이나 然聚衆人之善하야 以補緝之하야 庶幾不至於大繆하야 可以俟聖人之復生也
然則學者之於經其可已乎
足下於經 勤矣
凡其所失 無所不欲正之하야 其刊正補緝者衆하니 則其所得亦已多矣
脩學不敏明하고 而又無彊力以自濟하니 恐終不能少出所見하야 以補六經之萬一일새
得足下所爲 故尤區區而不能忘也로라


10. 송함宋咸에게 답한 편지
본시 명유名儒의 말이다.
는 머리를 조아리고 말씀드립니다.
의 사람이 오는 편에 보내신 편지 및 《주역周易》을 보주補注하신 것을 받았으니, 매우 좋습니다.
세상에 공자孔子 같은 성인이 없은 지 오래라 육경六經의 뜻이 그 전수를 잃었으니, 바로잡을 수 없는 부분은 공자가 다시 나오지 않으면 그 참된 뜻을 알 수 없을 것입니다.
전주傳注를 내는 자의 학문은 범위가 넓고, 게다가 낡고 부스러진 고서古書에 몰두하느라 마음과 정신을 수고롭게 하면서 천 년 동안이나 실전失傳된 오류를 찾아서 바로잡으려고 하니, 아득히 앞으로 이미 멀어진 성인을 바라보고 아스라이 뒤로 끝없이 이어지는 후세 사람들을 돌아보면서 아직 깨닫지 못한 사람들을 위하여 난해難解한 의혹을 판결하려 합니다.
이는 참으로 이른바 수고롭기만 하고 은 적다는 것일진저!
그러나 은 한 시대의 책이 아니고, 그 전주傳注의 오류는 하루아침의 잘못이 아니며, 그것을 교정하고 보집補輯하는 것은 어느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가령 저마다 그 소견所見이 지극하고 식견이 밝은 학자가 그중에서 타당한 설을 가려서 열 개에서 한 개를 뽑고 백 개에서 열 개를 뽑는다면, 비록 육경六經을 오류가 없는 상태로 되돌려놓아 일월日月처럼 우뚝이 밝게 만들 수는 없을지라도 여러 사람의 좋은 점을 모아서 보완해야 거의 큰 오류가 없어서 성인이 다시 세상에 나오기를 기다려 질정質正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학자가 경서經書에 있어서 어찌 이대로 두고 말 수 있겠습니까.
족하는 경서經書에 대해 부지런히 연구했다 하겠습니다.
무릇 잘못된 곳에 대해서는 바로잡고자 하지 않음이 없어 교정하고 보집補輯한 것이 많으니, 소득이 이미 많습니다.
나는 학문은 명민明敏하지 못하고 게다가 노력하여 스스로 이런 단점을 극복하지도 못하니, 아마도 끝내 나의 견해를 조금이라도 내어서 육경六經의 만분의 일이라도 보완하지 못할 듯합니다.
그런데 족하가 저술한 것을 받았기 때문에 구구한 나의 마음에 잊지 못한 것입니다.


역주
역주1 答宋咸書 : 이 편지는 至和 2년(1055)에 쓴 것이다. 이해 8월에 遼 興宗 耶律宗眞이 죽고 그 아들인 仁宗 耶律洪基가 즉위하였다. 歐陽脩는 축하하는 사절로 갔는데, 가기 전에 이 편지를 썼다. 本集에는 이 편지 끝에 “마침 使命을 받고 국경을 나가는 터라 바빠서 이만 줄입니다. 부디 自愛하소서. 여릉 구양수는 재배합니다.[屬奉使出疆 悤悤不具 惟自愛 廬陵歐陽修再拜]”란 대목이 있다.
宋咸은 자가 貫之이고 建陽 사람이다. 天聖 2년(1024)에 進士試에 급제하였고 벼슬이 都官中郞에 이르렀다. 《易訓》, 《易補注》, 《毛詩正紀》, 《外議》, 《論語增注》 등의 저술이 있다.
역주2 補注周易 : 宋咸의 저술인 《易補注》를 가리킨다. 《宋史》 권202 〈藝文志〉에 송함의 《역보주》 10권이 실려 있다.
역주3 傳者之爲學 : 本集에는 ‘儒者之於學’으로 되어 있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