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3)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摹寫甚析이라
有自岳陽至者之書 洞庭之圖 來告曰 願有所記라하야늘
予發書按圖하니 自岳陽門으로 西距 其外隱然隆高以長者曰偃虹隄 問其作而名者하니 曰 吾滕侯之所爲也라하고
問其所以作之利害하니 曰 洞庭 天下之至險이요 而岳陽 荊潭黔蜀四會之衝也
昔舟之往來湖中者 至無所寓 則皆泊이라
其有事于州者 遠且勞하고
而又常有風波之恐 覆溺之虞러니 今舟之至者 皆泊隄下하니 有事于州者 近而且無患이라하고
問其大小之制 用人之力하니 曰 長一千尺이며 高三十尺이요 厚加二尺而殺其上하야 得厚三分之二하고
用民力萬有五千五百工하야 而不踰時以成이라하고
問其始作之謀하니
曰 州以事上하고 轉運使擇其吏之能者하야 行視可否 凡三反復하고 而又上于朝廷하야 決之하니
然後曰可하되 而皆不能易吾侯之議也라하야늘
曰 此 君子之作也 可以書矣라하다
蓋慮於民也深하면 則謀其始也精이라
故能用力少而爲功多니라
夫以百步之隄 禦天下至險不測之虞하야 惠其民而及于荊潭黔蜀하야 凡往來湖中 無遠邇之人 皆蒙其利焉이라
且岳陽 四會之衝이니 舟之來止者 日凡有幾
使隄土石 幸久不朽 則滕侯之惠利於人物 可以數計哉
夫事不患於不成이요 而患於易壞 蓋作者未始不欲其久存이나 而繼者常至於殆廢
自古賢智之士 爲其民하야 捍患興利하니 其遺迹 往往而在
使其繼者皆如始作之心이면 則民到于今 受其賜하리니 天下豈有遺利乎
此滕侯之所以慮而欲有紀於後也
滕侯志大材高하야 名聞當世 方朝廷用兵急人之時하야 顯用之로되 而功未及就하고 退守一州 無所用心일새 略施其餘하야 以利及物이라
夫慮熟謀審하야 力不勞而功倍하고 作事可以爲後法하니 一宜書
不苟一時之譽하야 思爲利於無窮하고 而告來者不以廢하니 二宜書
岳之民人與湖中之往來者 皆欲爲滕侯紀하니 三宜書
以三宜書 不可以不書일새 乃爲之書하노라


08. 언홍제偃虹隄에 대한 기문記文
모사摹寫한 것이 매우 자세하다.
악양岳陽에서 온 어떤 사람이 등후滕侯의 서찰과 동정호洞庭湖의 그림을 가지고 와서 나에게 말하기를 “〈등후께서는 공께서〉 기문을 써주시기를 바라고 계십니다.”라고 하였다.
내가 서찰을 뜯어보고 그림을 살펴보니, 악양문岳陽門에서부터 서쪽으로 김계석金雞石 우측까지 그 바깥에 진중하게 크고 높으면서 길게 있는 것이 언홍제偃虹隄이고, 그것을 만들고 이름을 붙인 사람이 누구인지 물어보니 “우리 등후께서 지으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만든 이해관계에 대해 물어보니 “동정호는 천하의 지극히 험고한 곳이고 악양은 형주荊州, 담주潭州, 검주黔州, 이 네 곳이 모이는 요충지입니다.
예전에 배로 동정호를 왕래하던 자들이 동정호에 와서 배를 댈 곳이 없었으므로 모두 남진南津에 정박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악주岳州에 볼 일이 있는 자들은 악주를 거리가 멀고 수고스러운 곳으로 여겼습니다.
또 항상 풍파風波를 만나는 두려움과 배가 뒤집혀 익사하는 근심이 있었는데, 지금 배를 타고 오는 자들은 모두 제방 아래에 정박하니, 악주에 볼 일이 있는 자들이 거리가 가깝고 근심이 없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또 제방의 크기와 제방을 만드는 데 동원된 인력이 얼마인지 물어보니 “길이가 1,000, 높이가 30척이요, 바닥 두께는 30척에 2척을 더하여 위쪽으로 가면서 두께를 줄여 위쪽의 두께는 바닥 두께의 3분의 2가 됩니다.
그리고 백성들의 인력은 15,500명의 공인工人이 동원되어 원래 정한 공사기한을 넘기지 않고 완성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계획을 시작했을 때의 논의 과정에 대해 물어보니
에서 이 일을 가지고 전운사轉運使에게 상달上達하였고, 전운사가 일을 잘하는 관리를 선발해 가서 공사의 가능 여부를 살펴보게 하기를 모두 세 번이나 반복하였으며, 또 조정에 상주上奏하여 삼사三司에서 결정하게 하였으니,
그런 뒤에 사업이 재가되었으되 모두 우리 등후의 논의를 바꾸지는 못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나는 이것은 “군자의 일이니 기록할 만하다.”라고 하였다.
대개 백성들을 염려함이 깊으면 그 일을 시작할 때 계획이 정밀해진다.
그러므로 힘을 들이는 것은 적고 공이 되는 것은 많아지는 것이다.
대저 100의 제방으로 천하에 지극히 험고하여 헤아리기 어려운 근심을 막아, 그 백성에게 은택을 입히고 형주荊州, 담주潭州, 검주黔州, 의 사람들에게까지 은택을 끼쳐서 무릇 동정호를 왕래함에 있어 멀고 가까운 사람 할 것 없이 모두 그 이로움을 받았다.
또 악양은 형주荊州, 담주潭州, 검주黔州, 이 네 곳이 만나는 요충지이니, 와서 정박하는 배가 하루에 모두 몇 척이나 되겠는가.
만일 제방의 토석土石이 다행히 오랫동안 무너지지 않는다면 등후가 사람들에게 은택과 이로움을 끼친 것을 헤아릴 수 있겠는가.
대저 일은 이루지 못하는 것은 근심할 것이 없고 쉬이 무너지는 것을 근심해야 하니, 대개 사업을 일으키는 사람 치고 처음부터 그것이 오랫동안 보존되기를 바라지 않는 사람이 없으나, 그 사업을 이어받은 자가 항상 위태롭고 무너지게 만드는 데 이른다.
자고로 어질고 지혜로운 선비가 그 백성들을 위하여 근심을 막고 이로움을 일으켰으니 그 유적이 도처에 남아 있다.
만일 그 뒤를 이어받은 자가 모두 사업을 처음 일으킨 사람의 마음과 같다면, 백성들이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은택을 받을 것이니, 천하에 어찌 이익을 받지 못하는 사람이 있겠는가.
이는 등후가 염려하면서 후대에 기록을 남기고자 한 까닭이다.
등후는 뜻이 크고 재주가 높아 명성이 당세에 퍼졌으므로, 바야흐로 조정에서 군대를 쓰고 사람이 급한 시기에 일찍이 그를 중용重用하였으나, 공을 미처 이루지 못하였고 물러나 한 를 지키게 되어 마음을 쓸 곳이 없게 되자 대략 그 남은 재주를 펴서 이로움이 백성들에게 미치게 하였다.
대저 생각을 깊이 하고 계획을 주밀하게 짜서 힘을 수고롭게 들이지 않아도 공이 배가 되고 사업을 일으킨 것이 후세의 모범이 될 만하니, 이것이 기록해야 할 첫 번째 이유이다.
그리고 한때의 영예를 구차히 얻으려 하지 않고 무궁한 후세에까지 이익이 될 것을 생각하고서 뒷사람들에게 이 일을 폐기시키지 말고 이어가라고 말하였으니, 이것이 기록해야 할 두 번째 이유이다.
또 악주의 백성들과 동정호를 왕래하는 자들이 모두 등후를 위하여 기록해주기를 바라니, 이것이 기록해야 할 세 번째 이유이다.
기록해야 할 이 세 가지 이유들로 인해 기록하지 않을 수 없기에 이에 기문을 쓴다.


역주
역주1 : 이 글은 慶曆 6년(1046)에 지은 것이다. 問答 형식을 빌려 글을 전개하는 것이 특징적인데, 이를 통해 작자는 자신이 가진 관리로서의 정치이상과 포부를 서술하고 있다.
역주2 滕侯 : 당시 岳州로 좌천되어 있던 滕宗諒(991~1047)을 말한다. 등종량은 字가 子京으로 宋나라 河南 사람이다. 右正言, 左司諫, 信州知州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新政을 주도한 范仲淹을 지지하는 사람이었다. 慶曆 2년에는 涇州知州로 있었는데, 이때 西夏의 군사가 침입하여 涇州가 위태롭게 되었다. 등종량이 공금을 풀어 武備를 갖추고 병사들을 위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였으나, 이후 이것이 빌미가 되어 新政을 반대하는 보수파들로부터 공금을 유용하였다는 공격을 받고 岳州知州로 좌천되었다.
역주3 金雞之右 : 金雞는 金雞石을 가리킨다. 《岳州府志》에 “岳州府 서쪽 호숫가의 선착부두에 옛날부터 전해오기로는 여기에서 金雞가 날아올랐다고 한다. 뒤에 벼락을 맞고 부서졌다.”라고 하였다.
역주4 南津 : 南津港으로 岳陽縣 남쪽 5리 지점에 있다.
역주5 轉運使 : 처음에는 유사시에 군수품과 식량 등의 조달을 담당하던 관직이었는데, 후에 확대되어 一路의 재무를 총괄하는 직임이 되었다.
역주6 三司 : 唐‧宋代에 鹽鐵使, 度支, 戶部를 三司라고 하였는데, 전국의 재무와 관련된 일을 주관하였다.
역주7 : 224쪽 주석 1) ‘滕侯’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가지 사건을 가리키므로 常은 嘗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