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2)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恩深 感極涕洟하니
雖情有迫於危心하야 不知自止 而辭已窮於累牘 幾至無言이라
惟以至誠으로 期於必達하야 自乞憐於君父하고 不復訊於
伏念臣家世單平하고 性姿中下 少從宦學 本免饑寒이러니 不自意於遭逢하야 遂進階於華顯이라
然而群材方茂어늘 未秋而早衰하고 衆駿竝馳어늘 駑駘中道而先이어든
而況荷難勝之任用하야 竊逾分之寵榮하니 風波憂畏 而慮以深하고 疾病侵凌 而老亦至
故自辭於機政하고 卽願謝於이러니 蒙上聖之至仁하야 念三朝之舊物하야 每曲煩於訓諭하고 久未忍於棄捐이라
竊惟臣之事君 必本忠信이니 是爲罔欺어늘
而臣口日誦於田閭하고 身坐貪於祿利하니 可畏至公之議어늘 何施有靦之顔이리오
每自省循 莫遑啓處
是敢罔避再三之煩黷하고 猶希萬一之矜從하노니
伏望皇帝陛下 特軫天慈하고 俯回睿聽하소서
이니 蓋屢請者有年이요하야 俾卒成於素志하야
徇其所欲하야 乞以殘骸하소서
臣若得上還印綬於有司하고 自駕柴車而卽路하면 晩節知無於大過 沒身永荷於鴻私


12. 채주蔡州에서 치사致仕를 청한 세 번째
성상께서 보살펴주신 은혜가 깊음에 너무도 감격에 겨운 나머지 눈물이 흐릅니다.
비록 은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에 절박하여 스스로 그칠 수 없으나, 글은 이미 지금까지 여러 차례 올린 소장疏章에서 다하여 거의 할 말이 없는 데 이르렀습니다.
오직 지극한 정성을 기필코 성상께 진달進達하여 스스로 군부君父께 가련히 여겨주시기를 빌고 더 이상 시귀蓍龜에게 신의 거취를 묻지 않습니다.
삼가 생각건대 신은 가문이 한미寒微하고 자질이 중하中下의 수준이라 젊을 때 과거공부를 했던 것은 본래 기한飢寒을 면하고자 했던 것이었는데, 뜻하지 않게 성상의 지우知遇를 만나서 마침내 높은 관직에 올랐습니다.
그러나 다른 나무들은 바야흐로 무성한데 갯버들은 가을이 오기도 전에 일찍 시들고, 준마駿馬들은 모두 잘 달리는데 노둔한 말은 중도에 먼저 지칩니다.
더구나 감당하기 어려운 자리에 임용되어 분수에 넘치는 총영寵榮을 주제넘게 받았으니, 풍파의 우환에 염려는 깊어지며 질병은 침노하고 늙음도 이르렀습니다.
그러므로 국정國政의 요직을 스스로 사퇴하고 수레와 관복을 반납하고자 하였는데, 성상의 지극한 인덕仁德을 입어 세 조정에 걸쳐 벼슬한 옛 신하를 생각해주시어 매양 자상한 훈유訓諭를 내리시고 오랫동안 차마 버리지 않으셨습니다.
삼가 생각건대 신하가 임금을 섬김은 반드시 충신忠信에 근본하는 법이니, 말이 행실에 부합하지 않은 것이 바로 기망欺罔입니다.
그런데 신은 향리鄕里로 돌아가겠다는 말을 날마다 하면서 몸은 앉아서 녹봉祿俸을 탐내고 있으니, 지극히 공정한 여론이 두렵거늘 어찌 뻔뻔스러운 낯을 들고 다닐 수 있겠습니까.
언제나 스스로 반성할 때마다 편안히 지낼 겨를이 없습니다.
이에 감히 재삼 성상을 번거롭게 함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만에 하나라도 불쌍히 여겨 청을 따라주시기를 바랍니다.
삼가 바라옵건대 황제 폐하께서는 특별히 자애로운 마음을 움직이고 신의 청을 들어주소서.
신이 종전에 한 말을 실천해야 함을 살펴주셔야 할 것이니 누차 청한 지 여러 해가 되었고, 하우下愚인 신의 마음을 바꿀 수 없음을 불쌍히 여기시어 평소의 뜻을 이룰 수 있게 해주소서.
그리하여 신이 바라는 바를 따라주시어 노쇠한 몸으로 향리에 돌아갈 수 있게 해주소서.
신이 위로 인수印綬유사有司에게 반납하고 스스로 시거柴車를 타고 길을 나설 수 있다면, 만년晩年에 큰 허물은 없게 될 줄 알겠으니 종신토록 길이 크나큰 성은에 감사할 것입니다.


역주
역주1 蔡州乞致仕第三表 : 本集에는 이 글 첫머리에 “신 모는 아룁니다. 이달 21일 樞密院이 전달한 誥勅 한 통에 의거하건대, 삼가 성은을 입어 신이 재차 致仕를 청한 것을 윤허하지 않으신다는 것이었습니다.[臣某言 今月二十一日 準樞密院遞到詔書一道 伏蒙聖慈以臣再乞致仕 未賜允兪者]”라는 대목이 있다.
역주2 煦嫗 : 《禮記》 〈樂記〉에 “천지가 감응하여 합하고 음양이 서로 어울려서 만물을 보살피고 덮어서 길러준다.[天地訢合 陰陽相得 煦嫗覆育萬物]” 한 데서 온 말로 임금이 천지와 같은 덕으로 보살펴준다는 뜻이다. 鄭玄의 注에 “氣는 煦라 하고, 體는 嫗라 한다.[氣曰煦 體曰嫗]”라고 하였다.
역주3 蓍龜 : 蓍草와 거북이다. 옛날에 점을 칠 때 시초와 거북껍질을 사용했던 데서 온 말로 占卜을 뜻한다.
역주4 蒲柳 : 갯버들로, 일찍 잎이 진다고 하여 일찍 노쇠하는 몸을 비유한다. 南朝 宋나라 劉義慶의 《世說新語》 〈言語〉에 “蒲柳의 체질은 가을이 오는 것을 멀리서 보고 지레 잎이 떨어지고, 松柏의 체질은 서리가 내려도 더욱 무성해진다.[蒲柳之姿 望秋而落 松柏之質 經霜彌茂]” 한 데서 온 말이다.
역주5 : 피로하여 힘이 없다는 뜻이다. 《新五代史》 권25 〈周德威傳〉에 “그 피로하여 힘이 없을 때를 틈탄다.[因其勞乏而乘之]”라고 하였다.
역주6 軒裳 : 벼슬아치로 있을 때 사용하는 수레와 관복이다.
역주7 言不顧行 : 《中庸》에 “말은 행실을 돌아보며, 행실은 말을 돌아보아야 한다.[言顧行 行顧言]”라고 하였다.
역주8 前言之可復 : 향리로 돌아가겠다는 말을 날마다 하였다고 종전에 말했던 것을 실천해야 한다는 뜻이다. 孔子의 제자인 有若이 “약속이 의리에 가까우면 말을 실천할 수 있다.[信近於義 言可復也]”라고 하였다. 《論語 學而》
역주9 下愚之不移 : 下愚는 매우 어리석은 사람이다. 孔子가 “매우 지혜로운 사람과 매우 어리석은 사람은 변화시킬 수 없다.[唯上知與下愚 不移]”라고 하였다. 《論語 陽貨》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