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2)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臣聞士之行己 所愼者始終之不渝 臣之事君 所難者進退而合理
苟無大過 善退其身이니 昔之爲臣 全此者少
臣頃侍先帝하야 屢陳斯言하니 今之懇誠 蓋迫於此
伏念臣識不足以通今古하며 材不足以語經綸이어늘 幸逢盛際之休明하야 早自諸生而拔擢하니
方其與儒學文章之選하고 居言語侍從之流하야 每蒙過獎於群公 常媿虛名之浮實이라
曁晩叨於重任하얀 益可謂於得時하니
何嘗敢傷一士之賢이며 豈不樂得天下之譽리오
而動皆臣忌하고 毁必臣歸
人之愛憎 不應遽異 臣之本末 亦豈頓殊리오
蓋以處非所宜 用過其量이라
惟是要權之地 不勝指目之多
周防所以履危어늘 而簡疎自任하고 委曲所以從衆이어늘 而拙直難移하니 宜其擧足則蹈禍之機하야 以身爲斂怨之府
復盤桓而不去라가 遂謗議以交興하니 讒說震驚 輿情共憤이로되
皇明洞照하고 聖斷不疑하니 孤臣獲雪於至寃하고 四海共忻於이라
至於賴天地保全之力하야 脫風波險陷之危하얀 使臣하고 하야 以此沒地라도 猶爲幸民이온
況乎 其榮可喜
撫民求瘼 所寄非輕하니 苟可效於勤勞인댄 亦寧分於內外
伏惟皇帝陛下 曲回하고 俯察愚衷하야 許解劇繁하고 處之閒僻하면
物還其分 庶獲遂於安全이니 心匪無知 豈敢忘於報效리오


09. 정사政事를 그만두게 해주기를 청하는 세 번째
신은 듣건대 선비의 자기 몸가짐은 신중해야 할 바가 시종始終 변치 않는 것이고, 신하가 임금을 섬김은 어려워해야 할 바가 진퇴進退가 도리에 맞는 것입니다.
진실로 큰 잘못이 없다면 그 몸을 잘 물러나게 하는데, 옛날의 신하들 중 이를 온전히 한 사람이 드뭅니다.
신은 예전에 선제先帝를 모시면서 이 말씀을 누차 올렸으니, 지금의 간절한 정성은 대개 이 문제에 절박했던 것입니다.
삼가 생각건대 신은, 식견은 고금古今을 통달하기에 부족하고 재주는 경륜經綸을 말하기에 부족한데, 요행히 이 밝은 시대를 만나 일찍이 국학國學제생諸生에서 발탁되었습니다.
유학儒學문장文章의 선발에 참여하고 언어言語시종侍從의 자리에 있으면서 매양 조정 제공諸公들로부터 지나친 칭찬을 받아 늘 사실에 지나친 헛된 명성을 부끄럽게 생각했습니다.
만년에 이르러 중임을 맡고 보니 더욱 좋은 시운時運을 만났다고 할 만합니다.
그런데 어찌 감히 한 사람의 어진 선비라도 해치겠으며, 어찌 천하의 칭예稱譽를 받음을 즐거워하겠습니까.
그런데 걸핏하면 모두 신을 시기하고, 훼방은 어김없이 신에게로 돌아옵니다.
사람들의 애증愛憎은 응당 갑자기 변하지 않는 법이니, 신의 행적의 본말本末인들 어찌 갑자기 달라질 수 있겠습니까.
아마도 신을 마땅치 않은 자리에 앉혔고, 신의 역량에 과도한 직임을 맡겼기 때문일 것입니다.
오직 권요權要의 자리는 사람들의 지목을 너무도 많이 받는 곳입니다.
따라서 신밀愼密하게 방비하는 것이 위험한 처지에서 지킬 길이거늘 태만하고 소홀하여 마음대로 행동하였고, 곡진하게 생각하는 것이 뭇사람들을 따르는 길이거늘 졸렬하고 우직한 성품을 바꾸기 어려웠으니, 발을 들었다면 의 덫을 밟고 한 몸에 뭇사람들의 원한이 쏠리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래서 머뭇거리며 떠나지 않고 있다가 마침내 비방하는 말들이 다투어 일어나니, 참소하는 내용이 크게 놀랄 만한 것이라 뭇사람들이 함께 분노하였습니다.
그러나 성상께서 신의 실상을 환히 살펴 아시고 결단하여 의심하지 않으시니, 외로운 신은 지극히 원통한 누명을 씻을 수 있었고 사해四海의 사람들은 모두 새로운 정사에 기뻐하였습니다.
천지天地와 같은 성상께서 보전保全해주신 힘 덕분에 거센 풍파에 빠질 위험을 벗어난 것으로 말하자면, 가령 신이 초야草野에 묻혀 머리를 풀어헤친 채 민간의 거리에서 복건幅巾을 쓰고 살다가 그대로 땅에 묻힌다 해도 오히려 행복한 백성일 것입니다.
그런데 사면에 휘장을 드리운 좋은 수레를 타고 다니니, 그 영화가 기뻐할 만함에 있어서이겠습니까.
외직에 나가면 백성을 안무按撫하고 백성의 질고疾苦를 살핌에 맡은 바 임무가 가볍지 않으니, 진실로 국가의 노고에 힘을 바칠 수 있다면 또한 내직內職외직外職을 어찌 구분하겠습니까.
삼가 바라옵건대 황제 폐하께서는 어명御命을 돌이키고 어리석은 신의 충심을 굽어살펴, 일이 많은 요직을 해임하시고 한가하고 외진 곳에 두소서.
사물이 제 분수로 돌아가면 안전하게 살 수 있을 것이니, 마음에 지각이 없지 않은데 어찌 성은에 보답할 생각을 감히 잊겠습니까.


역주
역주1 乞罷政事第三表 : 이 글은 治平 4년(1067)에 쓴 것이다. 이해 2월에 歐陽脩의 아들 歐陽棐가 進士試에 급제하였다. 御史 彭思永과 蔣之奇가 ‘帷薄不修’하여 맏며느리와 불륜 관계라는 이유로 구양수를 탄핵하였다. ‘帷薄不修’는 안방의 장막과 발이 정돈되지 못하였다는 말로 집안에 淫行이 있음을 뜻하는 말이다. 이에 구양수는 글을 올려 사실을 밝히고 두문불출하면서 죄인으로 자처하였다. 神宗이 끝내 구양수를 신임하여 팽사영과 장지기를 廢黜하니, 구양수는 연이어 세 차례 表를 올려 자신을 해임하고 외직으로 보내주길 청하였는데 이 글이 그 세 번째 표이다.
本集에는 이 글의 첫머리에 “신 모는 아룁니다. 신이 근자에 재차 표를 올려 政事를 해임하고 한 外郡에 제수해 보내줄 것을 청하여 이달 8월에 ‘청한 것은 윤허할 수 없다.’는 비답을 받았습니다.[臣某言 臣近再上表 乞解政事 除一外郡差遣 奉今月八日批答 所乞宜不允者]”라는 대목이 있다.
역주2 新政 : 神宗이 새로 즉위하여 政事를 맡은 것을 가리킨다.
역주3 散髮林丘 : 산발은 官服의 冠을 벗고 머리털을 드러낸다는 말로, 山林에 은거함을 뜻한다. 李白의 〈宣州謝朓樓餞別校書叔雲〉에 “사람이 세상에 살며 뜻에 맞지 않으니, 내일 아침엔 머리를 풀어헤친 채 조각배를 희롱하리.[人生在世不稱意 明朝散髮弄扁舟]”라고 하였다.
역주4 幅巾 : 옛날에 남자들이 쓰던 全幅의 베로 만든 두건으로, 도포를 입었을 때 착용하는 것이다. 주로 초야의 隱士들이 쓰는 두건이다.
역주5 衡巷 : 평민들이 사는 거리로, 대개 민간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晉나라 葛洪의 《抱朴子》 〈塞難〉에 “덕행은 衡巷에서 쌓이고, 충정은 임금 섬김에 다한다.[德行積于衡巷 忠貞盡于事君]”라고 하였다.
역주6 擁蓋垂襜 : 수레를 타고 휘장을 드리우는 것으로, 높은 벼슬아치가 되었음을 뜻한다.
역주7 天造 : 하늘의 조화, 하늘이 하는 일이란 뜻인데, 임금 또는 임금이 하는 일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