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7)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7)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7)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歸安 鹿門 茅坤 批評
孫男 闇叔 茅著 重訂
歐公次契丹本末如畫 錄而識之하니 較之史記匈奴傳 特相伯仲이라
嗚呼 夷狄居處飲食 隨水草寒暑徙遷하고 有君長部號而無世族文字記別이라 至於弦弓毒矢 彊弱相幷 國地大小 興滅不常하야는 是皆烏足以考述哉 惟其服叛去來 能爲中國利害者 此不可以不知也
自古夷狄之於中國 有道未必服이요 無道未必不來하니 이라 雖常置之治外 而羈縻制馭恩威之際 不可失也 其得之未必爲利어니와 失之有足爲患하니 可不愼哉 作四夷附錄하노라
夷狄種號多矣 其大者 自以名通中國하고 其次小遠者 附見하고 又其次微不足錄者 不可勝數 其地環列九州之外 而西北常彊하야 爲中國患하니
契丹自以來 名見中國하니 或曰 與同類而異種이라 其居曰 沒里者 河也 是謂黃水之南之北이니 得鮮卑之故地 故又以爲鮮卑之遺種이라
其部族之大者 曰大賀氏라하니 後分爲八部하야 其一曰但皆利部 二曰乙室活部 三曰實活部 四曰納尾部 五曰頻沒部 六曰內會雞部 七曰集解部 八曰奚嗢部
部之長 號大人이니 而常推一大人하야 建旗鼓以統八部 至其歲久어나 或其國有災疾而畜하얀 則八部聚議하야 以旗鼓 立其次而代之하니 被代者以爲約本如此라하야 不敢爭이라
某部大人次立이러니 하야 數出兵攻之하고 每歲秋霜落이면 則燒其野草하니 契丹馬多饑死
卽以良馬賂仁恭하야 求市牧地하고 請聽盟約甚謹이어늘 八部之人以爲遙輦不任事라하야 選於其衆하야代之
阿保機 亦不知何部人也 爲人多智勇而善騎射 是時 暴虐幽涿之人이라 多亡入契丹이어늘 阿保機乘間入塞하야 攻陷城邑하고 俘其人民하야 依唐州縣하야 置城以居之
漢人教阿保機曰 中國之王 無代立者라하니 由是 阿保機益以威制諸部而不肯代
其立九年 諸部以其久不代라하야 共責誚之어늘 阿保機不得已傳其旗鼓하고 而謂諸部曰 吾立九年 所得漢人多矣 吾欲自爲一部하야 以治漢城하니 可乎아하니 諸部許之
漢城在東南河上하야 有鹽鐵之利하니 乃後魏滑鹽縣也 其地可植五穀이라 阿保機率漢人耕種하고 爲治城郭邑屋廛市 如幽州制度하니 漢人安之하야 不復思歸
阿保機知衆可用하고 用其妻하야 使人告諸部大人曰 我有鹽池하니 諸部所食이라 然諸部知食鹽之利하고 而不知鹽有主人하니 可乎 當來犒我하라하야늘
諸部以爲然하야 共以牛酒會鹽池 阿保機伏兵其旁하니 酒酣 伏發하야 盡殺諸部大人이라 遂立하야 不復代하다
旣歸而背約하야 遣使者聘梁하니 梁遣太府卿高頃軍將郎公遠等報聘이라 逾年 頃還할새 阿保機遣使者解里隨頃하야 以良馬貂裘聘梁하야 奉表稱臣하야 以求封冊하니
梁復遣公遠及司農卿渾特하야 以詔書報勞하고 別以賜之하고 約共擧兵滅晉然後 封冊爲甥舅之國하고 又使以子弟三百騎入衛京師
克用聞之大恨이러니 是歲克用病하야 臨卒 以一箭屬 하야 期必滅契丹하다 渾特等至契丹 阿保機不能如約하고 梁亦未嘗封冊이라
莊宗天祐十三年 阿保機攻晉하야 이라
是時 莊宗已得하고 方南向與梁爭天下할새 遣李存矩發山北兵한대 存矩至 兵叛하야 擁偏將盧文進하야 擊殺存矩하고 亡入契丹이라
契丹攻破하고 以文進部將劉殷守之어늘 莊宗遣周德威擊殷하니 而文進引契丹數十萬大至 德威懼하야 引軍去라가 爲契丹追及大敗之
德威走幽州어늘 契丹圍之하니 幽薊之 虜騎遍滿山谷하야 所得漢人 以長繩連頭繫之於木이어늘 漢人夜多自解逃去
文進又教契丹爲車地道하고 起土山以攻城이어늘 城中鎔銅鐵汁揮之하니 中者輒爛墮 德威拒守百餘日 莊宗遣李嗣源閻寶李存審等救之하니 契丹數爲李嗣源所敗하야 乃解去하다
契丹比他夷狄尤頑傲 父母死 以不哭爲勇하고 載其尸深山하야 置大木上하고 後三歲 往取其骨焚之하고 酹而呪曰 夏時向陽食하고 冬時向陰食하야 使我射獵 猪鹿多得하소서하다
其風俗與奚靺羯頗同이러니 至阿保機稍幷服旁諸小國而多用漢人하야 漢人教之以하고
又制婚嫁置官號하고 乃僭稱皇帝하야 自號天皇王이라 以其所居地名爲姓하야 曰世里라하니 世里 譯者謂之耶律이라
名年曰天贊이라하고 以其所居爲上京하야 起樓其間하야하고 又於其東千里起東樓하고 北三百里起北樓하고起南樓하야 往來射獵四樓之間이라
契丹好鬼而貴日하야 每月朔旦 東向而拜日하고 其大會聚視國事 皆以東向爲尊하야 四樓門屋皆東向이라
莊宗討하야 圍鎭州하니 定州懼鎭且亡이면 晉兵必幷擊己하야 이라
郁謂阿保機曰 臣父處直使布愚款曰 故 鎭州金城湯池 金帛山積하고 燕姬趙女 羅綺盈廷이러니 張文禮得之而爲晉所攻하야 懼死不暇 故皆留以待皇帝라하니 阿保機大喜
其妻述律不肯曰 我有羊馬之富하고 西樓足以娛樂이어늘 今捨此而遠赴人之急이라 我聞晉兵强天下 且戰有勝敗하니 後悔何追아하야늘 阿保機躍然曰 張文禮有金玉百萬하야 留待皇后하니 可共取之라하고 於是 空國入寇하다
郁之召契丹也 定人皆以爲契丹必爲患이니 不可召로대 而處直不聽이러니 郁已去 處直爲其子都所廢 阿保機攻幽州不克하고 又攻涿州陷之러니 聞處直廢而都立하고 遂攻中山하야 渡沙河
告急於莊宗이어늘 莊宗自將鐵騎五千하야 遇契丹前鋒於新城이라 晉兵自桑林馳出 人馬精甲 光明燭日하니 虜騎愕然稍却이라 晉軍乘之하니 虜遂散走라가 而沙河氷薄하야 虜皆陷沒이라
阿保機退保한대 會天大雪하야 契丹人馬饑寒多死하니 阿保機顧盧文進하야 以手指天曰 天未使我至此로다하고 乃引兵去하다
莊宗躡其後하야 見其宿處한대 在地하고 方隅整然하야 雖去而不亂하니 歎曰 虜法令嚴 蓋如此也로다하다
契丹雖無所得而歸 然自此頗有窺中國之志러니 患女眞渤海等在其後하야 欲擊渤海라가 懼中國乘其虛하야 乃遣使聘唐以通好하야 使者再至
莊宗崩 明宗遣供奉官姚坤하야 告哀於契丹한대 坤至西樓 而阿保機方東攻渤海 坤追至見之하니
阿保機錦袍大帶垂後하야 與其妻對坐하야 延坤入謁이라 阿保機問曰 聞爾라하니 信乎아하야늘
坤曰 天子以魏州軍亂으로 命總管令公將兵討之러니 而變起洛陽하야 凶問今至矣 總管返兵河北하야 赴難京師하야 爲衆所推하야 已副人望이라하니
阿保機仰天大哭曰 與我約爲兄弟하니 河南天子 卽吾兒也 昨聞中國禍亂 欲以甲馬五萬往助吾兒러니 而渤海未除하야 志願不遂라하고 又曰 我兒旣沒 理當取我商量이어늘 新天子安得自立고하야늘
坤曰 新天子將兵二十年 位至大總管하고 所領精兵三十萬이니 天時人事 其可得違아하니 其子在側曰 使者無多言하라 豈不爲過리오하야늘
坤曰 應天順人 豈比匹夫之事리오 至如天皇王得國而不代 豈彊取之耶리오하다
阿保機卽慰勞坤曰 理正當如是爾라하고 又曰 吾聞此兒有宮婢二千人樂官千人이요 放鷹走狗하고 嗜酒好色하며 任用不肖하고 不惜人民이라하니 此其所以敗也
我自聞其禍 卽擧家斷酒하고 解放鷹犬하고 罷散樂官이라 我亦有諸部樂官千人이로대 非公宴이어든 不用이라 我若所爲 類吾兒 則亦安能長久리오하고
又謂坤曰 吾能漢語 然絶口不道於部人 懼其效漢而怯弱也라하고 因戒坤曰 爾當先歸하라 吾以甲馬三萬會新天子幽鎭之間하야 共爲盟約하되 與我幽州 則不復侵汝矣리라하다
阿保機攻渤海하야 取其扶餘一城하야 以爲하고 以其長子人皇王突欲爲東丹王이러니 已而 阿保機病死어늘 述律護其喪하야 歸西樓하야 立其次子 坤從至西樓而還하다
當阿保機時하야 有韓延徽者하니 幽州人也 爲劉守光參軍이라 守光遣延徽聘于契丹한대 延徽見阿保機不拜어늘 阿保機怒하야 留之不遣하고 使牧羊馬러니
久之 知其材하고 召與語奇之하야 遂用以爲謀主하니 阿保機攻室韋服諸小國 皆延徽謀也
延徽後逃歸하야 事莊宗한대 莊宗客將王緘譖之하니 延徽懼하야 求歸幽州省其母하야 行過常山
居數月 德明問其所向하니 延徽曰 吾欲復走契丹이라하야늘 德明以爲不可 延徽曰 阿保機失我 如喪兩目而折手足하니 今復得我 必喜리라하고 乃復走契丹이라
阿保機見之하고 果大喜하야 以謂自天而下 阿保機僭號 以延徽爲相하야 號政事令이라하고 契丹謂之이라 後卒于虜하다
耀屈之後更名德光이라 葬阿保機木葉山하고 諡曰大聖皇帝라하고 後更其名曰億하다 德光立三年 改元曰天顯이라하고 遣使者하야 以名馬聘唐하고 幷求碑石爲阿保機刻銘하니 明宗厚禮之하고 遣飛勝指揮使安念德報聘이라
定州 唐遣討之하니 都以走契丹求援이어늘 德光遣禿餒萴剌等하야 以騎五千救都
都及禿餒擊晏球於曲陽이라가 爲晏球所敗하니 德光又遣惕 赫邈하야 益禿餒以騎七千이어늘 晏球又敗之于唐河
赫邈與數騎返走라가 至幽州하야所執하고 而晏球攻破定州하야 擒禿餒萴剌하야 皆送京師하니 明宗斬禿餒等六百餘人하고 而赦赫邈하야 選其壯健者五十餘하야 爲契丹直하다
阿保機死 長子東丹王突欲當立이어늘 其母述律遣其幼子安端少君하야 之扶餘代之하고 將立以爲嗣 然述律尤愛德光하니 德光有智勇하야 素已服其諸部
安端已去 而諸部希述律意하야 共立德光하니 突欲不得立하야 長興元年 自扶餘泛海奔于唐이어늘
明宗因賜其姓爲東丹하고 而更其名曰慕華라하고 以其來自遼東으로 乃以爲懷化軍하고 拜慕華懷化軍節度瑞愼等州觀察處置等使
其部曲五人 皆賜姓名하야 罕只曰罕友通이라하고 穆葛曰穆順義라하고 撒羅曰羅賓德이라하고 易密曰易師仁이라하고 蓋禮曰蓋來賓이라하고 以爲歸化歸德將軍郎將이라
又賜前所獲赫邈姓名曰狄懷惠라하고 捏列曰列知恩이라하고 萴剌曰原知感이라하고 福郎曰服懷造라하고 竭失訖曰乙懷宥라하고 其餘爲契丹直者 皆賜姓名하다
二年 更賜突欲姓李하고 更其名曰贊華라하다 三年 以贊華爲義成軍節度使하다
契丹自阿保機時 侵滅諸國하야 稱雄北方이러니 及救王都하야 爲王晏球所敗하야 喪其萬騎하고 又失赫邈等하니 皆名將이요 而述律尤思念이라
由是 卑辭厚幣하야 數遣使聘中國하야 因求歸赫邈萴剌等한대 唐輒斬其使而不報하니 當此之時하야 中國之威幾振이라
距幽州北七百里하니 關東臨海하고 北有이라 山皆斗絶이요 幷海東北 有路狹하야 僅通車하며 其旁地可耕種이라
하야 以扼契丹於此 戍兵常自耕食하고 惟衣絮 歲給幽州러니 久之 皆有田宅하고 養子孫하야 以堅守爲己利
自唐末 幽薊割據하야 戍兵廢散이어늘 契丹因得出陷平營하니 而幽薊之人 歲苦寇鈔하고 自涿州 至幽州百里 人迹斷絶하야 轉餉 常以兵護送이어늘 契丹多伏兵於하야 以擊奪之
莊宗之末 趙德鈞鎭幽州할새 於鹽溝 置良鄕縣하고 又於幽州東五十里 築城하야 皆戍以兵하고 及破赫邈等하야 又於其東 置三河縣이라 由是 幽薊之人 始得耕牧하고 而輸餉可通이라
德光乃西徙橫帳하야하야 出寇雲朔之間하니 明宗患之하야鎭河東하야 總大同彰國振武威塞等軍禦之러니 之間 調發饋餉하야 遠近勞
德光事其母甚謹하야 常侍立其側하야 國事必告而後行이라 唐遣張敬達等討之하니 敬瑭遣使求救於德光이라
德光白其母曰 吾嘗夢石郎召我러니 而使者果至 豈非天耶아하니 母召胡巫하야 問吉凶하야 巫言吉乃許 是歲九月 契丹出할새 車騎連亘數十里
將至太原 遣人謂敬瑭曰 吾爲爾今日破敵可乎아하야늘 敬瑭報曰 皇帝赴難 要在成功이요 不在速이라 大軍遠來하고 而唐軍甚盛하니 願少待之하라한대 使者未至 而兵已交하야 敬達大敗
敬瑭夜出北門하야 見德光하야 約爲父子하고 問曰 大兵遠來어늘 戰速而勝者 何也오하야늘 德光曰 吾謂唐兵能守雁門而扼諸險要 則事未可知러니 今兵長驅深入而無阻하니 吾知大事必濟 且吾兵多難久 宜以神速破之 此其所以勝也라하다
敬達敗 退保하니 德光圍之 唐遣趙德鈞延壽救敬達한대 而德鈞父子按兵不救
德光謂敬瑭曰 吾三千里赴義하니 義當徹頭라하고 乃築壇晉城南하야 立敬瑭爲皇帝하고 解衣冠被之하고 冊曰 咨爾子晉王 予視爾猶子하니 爾視予猶父하라하다
已而 殺敬達降晉하고 晉高祖自太原入洛陽 德光送至潞州어늘 趙德鈞延壽出降하니 德光謂晉高祖曰 大事已成이라 吾命하야 從爾渡河하고 吾亦留此하야 俟爾入洛而後北하리라하다
臨訣 執手噓欷하고 脫白貂裘하야 以衣高祖하고 遺以良馬二十匹戰馬千二百匹하고 戒曰 子子孫孫無相忘이어다하니九年也
高祖已入洛이어늘 德光乃北 執趙德鈞延壽以歸하다 德鈞 幽州人也 事劉守光守文하야 爲軍校하고 莊宗伐燕得之하야 賜姓名曰李紹斌이라
其子延壽 本姓劉氏 常山人也 其父이러니 劉守文攻破蓨縣할새 德鈞得延壽하고 幷其母种氏而納之하야 因以延壽爲子
延壽爲人 資質妍柔하고 稍涉書史 明宗以女妻之하고 號興平公主 할새 以延壽故 尤見信任이라 延壽 明宗時爲樞密使라가하고 至廢帝立하야 復以爲樞密使
晉高祖起太原 廢帝遣延壽將兵討之어늘 而德鈞亦請以鎭兵討賊하니 廢帝察其有異志하야 使自出擊其後 而德鈞南出하야 會延壽於하니 延壽因以兵屬之
廢帝以德鈞爲諸道行營都統하고 延壽爲太原南面招討使어늘 德鈞爲延壽求鎭州節度使하니 廢帝怒曰 德鈞父子握彊兵하야 求大鎭하니 苟能敗契丹而破太原이면 雖代予亦可 若翫寇要君이면 但恐라하고 因遣使者하야 趣德鈞等進軍이라
德鈞陰遣人聘德光하야 求立己爲帝어늘 德光指穹廬前巨石하고 謂德鈞使者曰 吾已許石郎矣 石爛可改也라하다 德光至潞州하야 鎖德鈞父子而去
德光母述律見之하고 問曰 汝父子自求爲天子 何邪오하야늘 德鈞慙不能對하고 悉以田宅之籍獻之 述律問 何在오하야늘 曰 在幽州라하니 述律曰 幽州屬我矣어늘 何獻之爲오하다 明年 德鈞死하니 德光以延壽爲幽州節度使하고 封燕王하다
契丹當莊宗明宗時하야 攻陷營平二州러니 하야 合一十六州 乃以幽州爲燕京하고 改天顯十一年爲會同元年하고 更其國號大遼하고 置百官하되 皆依中國하고 參用中國之人이라
晉高祖每遣使聘問 奉表稱臣하고 歲輸絹하며 其餘寶玉珍異 下至中國飲食諸物 使者相屬於道하야 無虛日이라
德光約高祖不稱臣하고 更表爲書하고 稱兒皇帝하야 如家人禮 德光遣中書令韓熲하야 奉冊高祖爲英武明義皇帝하니 高祖復遣趙瑩馮道等하야 奉冊德光及其母尊號하고 終其世 奉之甚謹이라
高祖崩 卽位어늘 德光怒其不先以告하고 而又不奉表하고 不稱臣而稱孫하야 數遣使者責晉하니 晉大臣皆恐이로대이라 德光益怒러니 楊光遠反青州 招之하다
開運元年春 德光傾國南寇하야 分其衆爲三하되 西出雁門하야 攻幷代라가 擊敗之于하고 東至于河하야 陷博州하야 以應光遠하고 德光與趙延壽南攻陷貝州
德光屯하니 兵及이라 晉出帝親征하야 遣李守貞等東馳하야 擊敗契丹이어늘 而德光與晉相距于河러니 月餘 聞馬家渡兵敗하고 乃引衆擊晉하야 戰于이라
德光臨陣하야 望見晉軍旗幟光明而士馬嚴整하고 有懼色하야 謂其左右曰 楊光遠言晉家兵馬半已餓死라하더니 何其盛也오하다
兵旣交 殺傷相半하고 陣間斷箭遺鏃 布厚寸餘 日暮 德光引去하야 分其兵爲二하야 一出滄州하고 一出深州以歸하다
二年正月 德光復傾國入寇하야 圍鎭州하고 分兵攻下等九縣하니 杜重威守鎭州하야 閉壁不敢出이라 契丹南掠邢洺磁하야 至于하야 千里之內 焚剽殆盡이라
契丹見大桑木하고 罵曰 吾知出自汝身하니 吾豈容汝活耶아하고 束薪於木而焚之 是時 出帝病하야 不能出征일새 遣張從恩安審琦皇甫遇等禦之
遇前渡라가 遇契丹하야 戰于榆林하야 幾爲所虜어늘 審琦從後救之 契丹望見塵起하고 謂救兵至하야 引去어늘 而從恩畏怯하야 不敢追하야 亦引兵走黎陽이라
契丹已北 而出帝疾少間하야 乃下詔親征하야 軍于하고 遣杜重威等北伐이라 契丹歸至하야 聞晉軍且至하고 卽復引而南하야 及重威戰于이라
晉軍饑渴하야 鑿井輒壞일새 絞泥汁而飲이라 德光坐하야 呼其衆曰 晉軍盡在此矣 可生擒之 然後平定天下라한대 會天大風하고 晉軍奮死擊之하니 契丹大敗
德光喪車하야 騎一白橐駝而走하야 至幽州하야 其首領大將 各笞數百이로대 獨趙延壽免焉이라
是時 天下旱蝗하고 晉人苦兵하니 乃遣開封府軍將張暉假供奉官聘于契丹하야 奉表稱臣하야 以修和好 德光語不遜이나 然契丹亦自厭兵이라
德光母述律嘗謂晉人曰 南朝漢兒爭得一向臥邪 自古聞漢來和蕃이요 不聞蕃去和漢이니 若漢兒實有回心이어든 則我亦何惜通好리오하다
晉亦不復遣使 然數以書招趙延壽 延壽見晉衰而天下亂하고 嘗有意窺中國이요 而德光亦嘗許延壽滅晉而立之러니
延壽得晉書하고 僞爲好辭報晉하되 言身陷虜思歸하고 約晉發兵爲應하고 而德光將亦詐以瀛州降晉하니 晉君臣皆喜
三年七月 遣杜重威李守貞張彥澤等出兵하야 爲延壽應하야 兵趨한대 牟翰空城而去 晉軍至城下하야 見城門皆啓하고 疑有伏兵하야 不敢入하고 遣梁漢璋追牟翰한대 及之 漢璋戰死하니 重威等軍屯武彊이라
德光聞晉兵出하고 乃入寇鎭州하니 重威西屯하야 與德光夾水而軍이라 德光分兵하야 竝西山出晉軍後하야 攻破하니 縣有騎軍千人皆降於虜
德光每獲晉人 刺其面하되 文曰奉勅不殺하고 縱以南歸 重威等被圍糧絶하야 遂擧軍降하니 德光喜謂趙延壽曰 所得漢兒皆與爾라하고 因以賜之하야 使衣以撫晉軍하고 亦以赭袍賜重威하고
監張彥澤將騎二千하야 先入京師하니 晉出帝與太后爲降表하야 自陳過咎 德光遣解里하야 以手詔賜帝曰 孫兒但勿憂하라 管取一喫飯處라하다
德光將至京師 有司請以法駕奉迎하니 德光曰 吾躬擐甲冑하야 以定中原하니 之儀 不暇顧也라하고 止而不用이라 出帝與太后出郊奉迎이어늘 德光辭不見하고 曰 豈有兩天子相見於道路邪아하다
四年正月丁亥朔旦 晉文武百官班于都城北하야 望帝拜辭하고 素服紗帽以待 德光被甲衣貂裘貂帽하고 立馬于高岡하니 百官俯伏待罪
德光入自하야 登城樓하야 遣通事宣言諭衆曰 我亦人也 可無懼어다 我本無心至此하니 漢兵引我來爾라하고 遂入晉宮하니
宮中嬪妓迎謁이어늘 皆不顧하고 夕出宿于이라 封出帝負義侯하야 遷于
癸巳 入居晉宮하야 以契丹守諸門하고 이라 甲午 德光胡服視朝于廣政殿이라
乙未 被中國冠服하고 百官常參 起居如晉儀하되 而氈 하고 胡馬奚車 羅列階陛하니 晉人俛首不敢仰視
二月丁巳朔 金吾六軍殿中省仗太常樂舞陳于廷하니 德光冠通天冠하고 服絳紗袍하고 執大珪以視朝하야 大赦하고 改晉國爲大遼國하고 開運四年爲會同十年하다
德光嘗許趙延壽滅晉而立以爲帝 故契丹擊晉 延壽常爲先鋒하야 虜掠所得 悉以奉德光及其母述律이라
德光已滅晉而無立延壽意어늘 延壽不敢自言하고 因李崧以求爲皇太子하니 德光曰 吾於燕王 無所愛惜하니 雖我皮肉이라도 可爲燕王用者어든 吾可剖也어니와 吾聞皇太子是天子之子라하니 燕王豈得爲之리오하고 乃命與之遷秩이라
翰林學士張礪進擬延壽中京留守大丞相錄尙書事都督中外諸軍事한대 德光索筆하야 塗其錄尙書事都督中外諸軍事하고 止以爲中京留守大丞相하고 而延壽前爲樞密使封燕王皆如故
又以礪爲右僕射兼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하야 與晉故相和凝幷爲宰相이라
明宗時翰林學士 晉高祖起太原 唐廢帝遣礪督趙延壽하야 進軍於團柏谷이러니 已而 延壽爲德光所鎻하야 幷礪遷于契丹이라 德光重其文學하야 仍以爲翰林學士한대 礪嘗思歸하야 逃至境上이라가 爲追者所得이라
德光責之하니 礪曰 臣本漢人이라 衣服飲食言語不同이라 今思歸而不得하니 生不如死라하야늘 德光顧其通事曰 吾戒爾輩善待此人이어늘 致其逃去하니 過在爾也라하고 因笞唐英一百而待礪如故하니 其愛之如此
德光將視朝 有司給延壽하고 礪三品冠服이어늘 延壽與礪皆不肯服하고 而延壽別爲王者冠以自異
礪曰 吾在上國時 할새 道齎二貂冠하니 其一 宰相韓延徽冠之하고 其一 命我冠之 今其可降服耶아하고 卒冠貂蟬以朝
三月丙戌朔 德光服하고 崇元殿할새 百官入閣하니 德光大悅하야 顧其左右曰 漢家儀物 其盛如此로다 我得於此殿坐하니 豈非眞天子耶아하다 其母述律遣人賚書及阿保機明殿書賜德光이라
明殿 若中國之制하니 其國君死葬이어든 則於其墓側起屋하야 謂之明殿하고 置官屬職司하야 歲時 如事生이라
置明殿士一人하야 掌答書詔하야 每國有大慶弔어든 學士以先君之命爲書하야 以賜國君하니 其書常曰報兒皇帝云이라
德光已滅晉 遣其部族酋豪及其通事하야 爲諸州鎭刺史節度使하고 括借天下錢帛以賞軍이라 胡兵人馬 不給糧草하고 日遣數하야 이라하니 東西二三千里之間 民被其毒하야 遠近怨嗟
起太原 所在州鎭 多殺契丹守將하고 歸漢하니 德光大懼 又時已熱하야 乃以蕭翰爲宣武軍節度使하다 契丹之大族이니 其號阿鉢이요 翰之妹亦嫁德光이라
而阿鉢本無姓氏하야 契丹呼翰爲國舅러니 及將以爲節度使하야 李崧爲製姓名曰蕭翰이라하니 於是始姓蕭하다 德光已留翰守汴하고 乃北歸할새 以晉內諸司伎術宮女諸軍將卒數千人從이라
하야 謂其宣徽使高勳曰 我在上國 以打圍食肉爲樂이러니 自入中國으로 心常不快 若得復吾本土 死亦無恨이라하야늘 勳退而謂人曰 虜將死矣리라하니
相州梁暉殺契丹守將하고 閉城距守 德光引兵破之하고 城中男子無少長 皆屠之하고 婦女悉驅以北이라 後漢以王繼弘鎭相州하야數萬枚하야 爲大塚葬之
德光至하야 見其井邑荒殘하고 笑謂晉人曰 致中國至此 皆燕王爲罪首라하고 又顧張礪曰 爾亦有力焉이라하다 德光行至欒城 得疾하야 卒于이라
契丹破其腹하야 去其腸胃하고 實之以鹽하야 載而北하니 晉人謂之帝羓焉이라 永康王하야 諡德光爲嗣聖皇帝하고 號阿保機爲太祖하고 德光爲太宗하다


귀안歸安 녹문鹿門 모곤茅坤 비평批評
손남孫男 암숙闇叔 모저茅著 중정重訂
사이부록
구양공歐陽公거란契丹본말本末을 차례로 서술한 것이 그림과 같으므로 수록하니, ≪사기史記≫ 〈흉노전匈奴傳〉과 비교할 때 특히 백중지간伯仲之間이다.
오호라! 이적夷狄은 거처와 음식을 물과 풀, 더위와 추위에 따라 옮기며 군장君長부족部族의 칭호는 있어도 세족世族과 문자의 기록은 없었다. 그들이 현궁弦弓과 독화살로 싸우는 일과 강약强弱에 따라 서로 병탄倂呑하는 일과 국토의 대소大小흥망興亡이 일정하지 않은 일의 경우 이 모두를 어찌 고찰해 기록할 것이 있겠는가. 오직 그들이 복종하여 오고 배반하여 떠나는 것이 중국의 이해利害가 될 수 있는 것은 몰라서는 안 된다.
예로부터 이적은 중국에 도가 있다고 반드시 복종하지도 않았고 도가 없다고 반드시 오지 않는 것도 아니었으니, 대개 그 성쇠盛衰에 따라 행동을 달리했던 것이다. 비록 항상 중국이 다스리는 범위의 밖에 그들을 두어왔지만 그들을 단속하여 제어하고 은혜와 위엄을 아울러 펼치면서 관리하는 일은 실수가 있어서는 안 된다. 이런 일을 제대로 잘 한다고 해서 반드시 이로운 것은 아니지만 잘못하면 우환이 되기에 충분하니,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사이부록四夷附錄〉을 짓는다.
이적의 종족 명칭은 많다. 큰 종족은 스스로 자신들의 이름으로 중국과 관계를 맺고, 다음으로 세력이 작고 멀리 사는 종족은 큰 종족에 붙어 알려졌고, 또 그 다음으로 세력이 미미하여 기록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종족은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다. 그들의 땅은 중국의 구주九州 바깥을 빙 둘러 있는데 서북쪽의 종족이 항상 강하여 중국의 근심거리가 되었다.
삼대三代 시절의 험윤獫狁시서詩書에 보이고 이래로는 흉노匈奴가 두드러졌고 나라와 나라 사이에는 돌궐突厥의 세력이 컸고 그 뒤에는 토번吐蕃회홀回鶻이 강대하였으며 오대五代 시절에는 중국에 이름이 알려진 17,8 종족 중에 거란契丹이 가장 강성하였다.
거란契丹후위後魏 이래로 이름이 중국에 알려졌다. 혹자는 고막해庫莫奚와 같은 부류면서 다른 종족이라 말한다. 그들의 거처는 효라개몰리梟羅個沒里몰리沒里는 강이라는 뜻이니, 황수黃水의 남쪽과 황룡黃龍의 북쪽을 가리킨다. 이는 선비족鮮卑族의 옛 땅을 얻은 것이므로 또 선비족의 남은 종족이라고도 한다.
나라 때 그 땅은 북쪽으로 실위室韋와 접하고 동쪽으로 고려高麗와 인접하고 서쪽으로 해국奚國과 경계가 닿고 남쪽으로 영주營州에 이르렀다.
그 부족 중 큰 부족이 대하씨大賀氏인데, 뒤에 여덟 로 나뉘어 첫 번째는 단개리부但皆利部, 두 번째는 을실활부乙室活部, 세 번째는 실활부實活部, 네 번째는 납미부納尾部, 다섯 번째는 빈몰부頻沒部, 여섯 번째는 내회계부內會雞部, 일곱 번째는 집해부集解部, 여덟 번째는 해올부奚嗢部라고 하였다.
대인大人이라 불렀는데, 항상 한 사람의 대인을 추대하여 깃발과 북을 세워 여덟 부를 통치하였다. 오랜 세월동안 자리에 있었거나 혹 나라 안에 재앙과 질병이 발생해 목축牧畜이 쇠락하게 되면 여덟 부가 모여 의논하여 깃발과 북으로 다음 사람을 세워 대신하게 하니, 교체 당한 자는 맹약이 본래 이와 같다고 여겨 감히 다투지 못하였다.
어느 대인大人요련遙輦이 차례에 따라 통솔자가 되었는데, 당시 유인공劉仁恭유주幽州를 점거하고서 자주 병사를 적성령摘星嶺으로 보내 공격하고 매년 가을 서리가 내리면 들판의 풀을 불살라버리니 거란契丹의 말들이 많이 굶어 죽었다.
그리하여 거란에서는 곧장 좋은 말을 유인공에게 뇌물로 바치면서 목지牧地와 교환하기를 요구하고 매우 공손하게 맹약을 따르겠다고 청하였다. 그러자 거란의 팔부八部의 사람들이 요련은 일을 맡을 수 없다고 하여 그 무리 중에서 사람을 뽑아 아보기阿保機가 그 자리를 대신하였다.
아보기阿保機는 또한 어느 의 사람인지 알지 못한다. 사람됨이 지모智謀용력勇力이 많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했다. 이때 유수광劉守光유주幽州탁주涿州 사람들에게 포학하게 굴었으므로 도망하여 거란으로 들어오는 사람이 많았는데, 아보기가 그 틈을 타서 변새邊塞로 들어가 성읍城邑을 공격하여 함락하고 백성들을 포로로 잡고서 나라의 주현州縣을 모방하여 을 설치해 살게 했다.
한인漢人들이 아보기에게 “중국의 왕은 교대하여 즉위하는 경우가 없다.”라고 조언하니, 이때부터 아보기는 더욱 위력威力으로 여러 를 제압하면서 자리에서 물러나 교대하려 하지 않았다.
아보기가 자리를 맡은 지 9년째에 여러 의 사람들이 아보기가 오랫동안 자리를 차지하고 교대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함께 책망하자, 아보기가 어쩔 수 없이 그 깃발과 북을 전해주고 여러 부의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자리를 맡은 9년 동안 한인漢人을 많이 얻었다. 내가 스스로 한 를 만들어 한성漢城을 다스리고자 하는데 그래도 되겠는가?”라고 하니 여러 부의 사람들이 허락하였다.
한성은 탄산炭山 동남쪽 난하灤河 가에 있어 염철鹽鐵에서 나는 이익이 있었으니, 바로 후위後魏활염현滑鹽縣이다. 그 땅이 오곡五穀을 심을 수 있었으므로 아보기는 한인들을 이끌고 농사를 짓고 성곽과 마을과 저자를 유주幽州의 제도대로 만드니 한인들이 편안히 정착하여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을 다시 하지 않았다.
아보기는 무리들이 쓸 만함을 알고서 아내인 술률述律의 계책을 따라 사람을 시켜 여러 부의 대인에게 고하기를 “나에게 염지鹽池가 있으니 여러 부족이 이곳의 소금을 먹는다. 그러나 여러 부에서는 소금을 먹는 이익만 알고 소금에 주인이 있음은 알지 못하니, 이래서야 되겠는가. 당연히 와서 나를 대접해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여러 부의 대인들이 그 말을 옳게 여겨 함께 소와 술을 가지고 염지로 모였다. 아보기가 연회 장소 곁에 병사를 숨겨 두니 술자리가 거나해짐에 숨어 있던 병사들이 나와서 여러 부의 대인들을 모조리 죽였다. 아보기가 마침내 즉위하여 다시는 다른 사람으로 교대하지 않았다.
나라가 장차 나라를 찬탈하려 할 때 진왕晉王 이극용李克用거란契丹에 사람을 보내 빙문聘問하니, 아보기阿保機가 병사 30만을 데리고 운주雲州 동성東城에서 이극용과 회합하여 술자리를 마련하고 술이 거나해지자 손을 잡고서 형제가 되기로 약속하였다. 이극용이 몹시 후하게 금과 비단을 선물로 주고 함께 병사를 일으켜 양나라를 치기로 약속하니 아보기는 진나라에 말 1천 필을 주었다.
그런데 돌아와서는 약조를 배반하고 포홀관袍笏官 매로梅老를 사신으로 보내 양나라에 빙문하니, 양나라에서는 태부경太府卿 고경高頃군장軍將 낭공원郎公遠 등을 보내 답례로 빙문하였다. 해를 넘겨 고경이 돌아갈 때 아보기가 해리解里를 사신으로 고경에게 딸려보내 좋은 말과 담비 갖옷과 조하금朝霞錦을 가지고 양나라에 빙문하여 표문表文을 받들고 신하로 칭하면서 책봉冊封을 청하였다.
양나라에서는 다시 낭공원과 사농경司農卿 혼특渾特을 보내 조서를 내려 노고에 답하고 별도로 기사記事를 내려주었다. 그리고 함께 병사를 일으켜 진나라를 멸망시킨 뒤에 거란을 책봉하여 서로 사위와 장인의 나라가 되기로 약속하고, 또 거란의 자제子弟 3백 를 양나라의 경사京師로 들어오게 해 호위하게 하였다.
이극용은 이 사실을 듣고 크게 한스러워하였는데, 이해에 이극용이 병이 들어 임종할 때 화살 하나를 장종莊宗에게 맡기면서 기필코 거란을 멸하라는 약속을 받았다. 혼특 등이 거란에 당도하자 아보기는 약조대로 하지 못하였고 양나라도 거란을 책봉해주지 않았다. 양나라가 망할 때까지 거란의 사자가 네 차례 이르렀다.
장종莊宗 천우天祐 13년(916)에 아보기阿保機울주蔚州를 공격하여 진무절도사振武節度使 이사본李嗣本을 붙잡았다.
이때 장종은 이미 위박魏博을 점거하고 한창 남쪽으로 향하여 나라와 천하를 다투면서 이존구李存矩를 보내 산북山北의 병사를 징발하게 하였는데, 이존구가 기구관祈溝關에 이르렀을 때 병사들이 반란하여 편장偏將노문진盧文進옹위擁衛하여 이존구를 공격해 죽이고는 달아나 거란契丹으로 들어갔다.
거란이 신주新州를 격파하고 노문진의 부장部將유은劉殷에게 그곳을 지키도록 하자 장종이 주덕위周德威를 보내 유은을 치게 하니 노문진이 거란의 수십만 대군을 이끌고 이르렀다. 주덕위가 겁을 먹고 군사를 이끌고 떠나다가 거란에게 추격을 당해 대패하였다.
주덕위가 유주幽州로 달아나자 거란이 포위하니 유주와 계주薊州 사이에 오랑캐 기병騎兵이 산골짜기에 가득 차서, 사로잡은 한인漢人을 줄지어 나무에 묶어 두었는데 많은 한인들이 밤사이 스스로 묶인 줄을 풀고 도망갔다.
노문진이 또 거란에게 화거火車를 만들고 땅굴을 파고 흙산을 쌓아 성을 공격하게 하자 성 안에서 구리와 쇠를 녹여 쇳물을 뿌리니 이를 맞은 자들이 화상을 입고서 떨어졌다. 주덕위가 항거하며 방어한 지 백 여일에 장종이 이사원李嗣源염보閻寶이존심李存審 등을 보내 구원하니 거란이 이사원에게 여러 번 패하여 마침내 포위를 풀고 떠났다.
거란契丹은 다른 이적夷狄에 비해 더욱 완악하고 오만하다. 부모가 죽었을 때 곡하지 않는 것을 용맹하다 하고 그 시신을 싣고 깊은 산속으로 가서 큰 나무 위에 두고는 3년 뒤에 가서 그 뼈를 수습하여 태우고 술을 따르며 주문을 외기를 “여름에는 양지陽地를 향해 드시고 겨울에는 음지陰地를 향해 드시면서 우리가 사냥할 때 돼지와 사슴을 많이 잡게 하소서.”라고 하였다.
그 풍속이 해족奚族말갈족靺羯族과 아주 비슷했는데, 아보기阿保機가 차츰 주변 여러 소국小國을 병탄하여 복종시키고 한인漢人을 많이 기용하자, 한인들이 예서隷書의 절반을 가지고서 가감加減하여 수천 개의 문자를 만들어, 나무에 새겨 기록하던 방식을 대체하였다.
혼례婚禮를 제정하고 관호官號를 만들고 마침내 황제皇帝참칭僭稱하여 스스로 천황왕天皇王이라 불렀다. 그리고 거처하던 횡장橫帳이 있던 곳의 지명地名으로 삼아 세리世里라 하니, 세리는 통역하는 사람들이 야율耶律이라고 부른다.
연호年號천찬天贊이라 하고, 거처하던 곳을 상경上京으로 삼아 그곳에 망루望樓를 세워 서루西樓라 하고, 또 동쪽으로 천 리 되는 곳에 동루東樓를 세우고, 북쪽으로 3백 리 되는 곳에 북루北樓를 세우고, 남쪽의 목엽산木葉山남루南樓를 세워 사루四樓 사이를 왕래하며 사냥하였다.
거란은 귀신을 좋아하고 해를 숭상하여 매월 초하루 아침에 동쪽을 향해 해에 절하였고, 큰 모임과 국사國事를 볼 때는 모두 동향東向을 존귀한 자리로 여겨 사루四樓문옥門屋이 모두 동향이다.
계단소자칠언절구동경契丹小字七言絶句銅鏡계단소자칠언절구동경契丹小字七言絶句銅鏡
장종莊宗장문례張文禮를 토벌하여 진주鎭州를 포위하니, 정주定州왕처직王處直은 진주가 장차 패망하면 나라 병사들이 반드시 자기까지 공격할까 두려워하여 그 아들 왕욱王郁을 보내 거란契丹을 설득해 거란군을 변경으로 불러들여 진나라 병사를 견제하게 하였다.
왕욱이 아보기阿保機에게 말하기를 “신의 아비인 처직이 신을 시켜 충정을 아뢰게 하기를 ‘옛날 조왕趙王 왕용王鎔나라에서 6대를 왕 노릇 할 때 진주는 금성탕지金城湯池였고 금과 비단이 산처럼 쌓여있었으며 나라와 나라의 미희美姬들이 비단옷을 입고 궁정宮庭에 가득하였는데, 장문례가 이것을 얻고서 진나라의 공격을 받아 죽음을 두려워할 겨를도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보배를 모두 남겨두고서 황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라고 하니, 아보기가 크게 기뻐하였다.
그러자 아보기의 아내 술률述律이 수긍하지 않고서 말하기를 “우리에게는 양과 말이 넘쳐나고 서루西樓는 즐거움을 누리기에 충분한데, 지금 이곳을 버려두고 멀리 남의 위급함을 구하기 위해 달려가려 하십니다. 제가 듣건대 진나라 병사는 천하에 막강하고 또 전쟁에는 승패가 있는 법이니, 〈전쟁에서 지고 나서〉 후회한들 어찌 되돌릴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자, 아보기가 펄쩍 뛰며 말하기를 “장문례가 백만百萬이나 되는 금과 옥을 남겨두어 황후를 기다리고 있으니 함께 가지러 갑시다.”라고 하고는 이에 온 나라의 병사를 다 동원하여 쳐들어갔다.
後唐 莊宗後唐 莊宗
왕욱王郁거란契丹을 불러들이려 하자 정주定州 사람들 모두 거란은 반드시 우환거리가 될 것이니 불러들여서는 안 된다고 하였으나 왕처직王處直이 듣지 않았는데, 왕욱이 거란으로 떠나고 난 뒤 왕처직은 아들 왕도王都에 의해 유폐되었다. 아보기阿保機유주幽州를 공격하여 이기지 못하고 다시 탁주涿州를 공격해 함락시켰는데, 왕처직이 유폐되고 왕도가 자리를 차지했다는 말을 듣고는 마침내 중산中山을 공격하여 사하沙河를 건넜다.
왕도가 장종莊宗에게 위급함을 고하자, 장종은 스스로 철기鐵騎 5천을 거느리고 신성新城에서 거란의 선봉 부대와 조우하였다. 나라 병사들이 뽕나무 숲에서 달려 나왔는데 인마人馬정갑精甲이 햇살에 번쩍이니 오랑캐 기병들이 놀라서 조금 후퇴하였다. 이에 진나라 군대가 승세를 타고 공격하니 오랑캐들이 마침내 흩어져 달아나다가 사하의 얼음이 얇아 모두 강 속에 빠졌다.
아보기는 퇴각하여 망도望都를 지켰는데 마침 하늘에서 큰 눈이 내려 거란의 인마人馬가 굶주림과 추위로 많이들 죽으니, 아보기가 노문진盧文進을 돌아보며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말하기를 “하늘이 나로 하여금 여기에 오지 못하게 하는구나!”라고 하고는 마침내 병사를 이끌고 떠났다.
장종이 그 뒤를 따라가서 거란군의 숙영지宿營地를 살펴보았는데 땅에 환갈環秸이 놓여 있고 사방이 가지런하여 비록 떠났어도 어지럽지 않으니, 탄식하며 말하기를 “오랑캐의 법령의 엄격함이 이와 같구나.”라고 하였다.
거란契丹이 비록 소득 없이 돌아왔으나 이때부터 자못 중국을 엿보려는 뜻을 품었다. 그러나 여진女眞발해渤海 등이 거란의 배후에 있음을 걱정하여 발해를 공격하려고 하다가 중국이 그 빈틈을 탈까 두려워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사신을 보내 나라에 빙문聘問하여 우호를 다져 동광同光 연간에 거란 사신이 중국에 두 번 이르렀다.
장종莊宗붕어崩御하자 명종明宗공봉관供奉官 요곤姚坤을 보내 거란에 국상國喪을 알렸는데, 요곤이 서루西樓에 도착했을 때 아보기阿保機는 한창 동쪽으로 발해를 공격하던 중이었으므로 요곤은 그를 쫓아 신주愼州에 이르러 아보기를 만났다.
아보기는 금포錦袍에 큰 띠를 묶어 뒤로 늘어뜨리고 그 아내와 궁려穹廬 속에 마주 앉아 요곤을 불러들여 알현하게 하였다. 아보기가 요곤에게 묻기를 “듣자하니 너희 하남河南하북河北에 두 명의 천자天子가 있다던데, 사실인가?”라고 하자,
요곤이 “천자께서 위주魏州군란軍亂 때문에 총관總管 영공令公(명종)에게 병사를 거느리고 토벌하라고 명하였는데, 변고가 낙양洛陽에서 일어나 흉흉한 소문이 지금 이르게 된 것입니다. 총관은 하북에서 병사를 돌이켜 경사京師로 달려가 난리를 수습하여 무리들에게 추대되어 이미 사람들의 바람에 부응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아보기가 하늘을 우러러 크게 곡하고서 “진왕晉王(이극용李克用)이 나와 형제가 되기를 약속하였으니, 하남의 천자(장종)는 바로 나의 조카아이이다. 지난번에 중국에서 난리가 났다는 소식을 듣고 5만의 갑마甲馬를 이끌고 가서 우리 조카를 도와주려 했는데 발해를 제거하지 못해 뜻을 이루지 못했다.”라고 하고, 또 말하기를 “우리 조카아이가 이미 죽었으면 이치상 내게 상의해야 마땅한데 새 천자는 어찌하여 스스로 자리에 올랐는가?”라고 하였다.
요곤이 “새 천자께서 병사를 거느린 지 20년에 지위가 대총관大總管에 이르고 통솔하는 정병精兵이 30만이니, 천시天時인사人事를 거스를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니, 아보기의 아들 돌욕突欲이 곁에 있다가 말하기를 “사자는 말을 많이 하지 마시오. 남의 밭을 짓밟았다고 소를 빼앗는 것이 어찌 지나친 처사가 아니겠소.”라고 하였다.
요곤이 “하늘의 명에 순응하고 사람의 뜻을 따르는 것을 어찌 필부匹夫의 일에 견주겠습니까. 가령 천황왕天皇王(아보기)께서 나라를 얻고서 그 지위를 교대하지 않은 것이 어찌 강제로 차지한 것이겠습니까.”라고 하였다.
그러자 아보기가 즉시 요곤을 위로하면서 말하기를 “이치가 참으로 응당 이와 같다.”라고 하고, 또 말하기를 “내가 듣자하니 우리 조카아이에게 궁비宮婢 2천과 악관樂官 1천 명이 있고 매와 개를 풀어 사냥을 하고 술을 즐기고 여색을 좋아하며 불초不肖한 자를 임용하고 백성들을 아끼지 않았다 하니, 이것이 패망한 원인이다.
내가 그 난리 소식을 듣고부터 즉시 온 집안에 술을 끊게 하고 매와 개를 놓아주었으며 악관을 해산시켰다. 그리고 나에게도 여러 의 악관 1천 명이 있었지만 공적인 연회가 아니면 쓰지 않았다. 내가 만약 우리 조카아이처럼 행동한다면 또한 어찌 이 자리에 장구하게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또 요곤에게 이르기를 “내가 한어漢語를 할 줄 알지만 부인部人에게 입을 닫고 한어를 말하지 않는 것은 그들이 한인漢人을 본받아 겁 많고 나약해질까 두려워서이다.”라고 하고는, 이어서 요곤을 타이르기를 “너는 먼저 돌아가라. 내가 3만의 갑마甲馬를 거느리고 유주幽州진주鎭州 사이에서 새 천자와 회동하여 함께 맹약하되, 나에게 유주를 주면 다시는 너희를 침범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아보기가 발해를 공격하여 부여성扶餘城을 취하여 동란국東丹國을 세우고 장자長子인황왕人皇王 돌욕을 동란왕東丹王으로 삼았는데, 얼마 뒤 아보기가 병사病死하자 부인 술률述律이 상여를 호송하여 서루로 돌아와 차자次子원수태자元帥太子 요굴지耀屈之를 황제로 세웠다. 요곤은 술률을 따라 서루西樓를 거쳐 중국으로 돌아왔다.
아보기阿保機거란契丹을 다스리던 때에 한연휘韓延徽이라는 자가 있었으니 유주幽州 사람으로 유수광劉守光참군參軍이 되었다. 유수광이 한연휘를 거란으로 빙문聘問 보냈는데, 한연휘가 아보기를 만나 절하지 않자 아보기가 노하여 억류하여 돌려보내지 않고 양과 말을 치게 했다.
오래 지나서 아보기가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불러다 함께 대화하고는 기특하게 여기고 마침내 기용하여 모주謀主로 삼으니, 아보기가 당항党項실위室韋를 공격하고 여러 소국小國을 복속한 것이 모두 한연휘의 계책이었다.
한연휘는 뒤에 거란에서 도주하여 중국으로 돌아와 장종莊宗을 섬겼는데, 장종의 객장客將왕함王緘이 참소하니 한연휘가 두려워하여 모친을 뵈러 유주로 돌아가게 해달라고 청하여 행로가 상산常山을 지날 때 왕덕명王德明의 집에 숨었다.
몇 달이 지나 왕덕명이 한연휘에게 어디로 가려는지 물으니 한연휘가 “내 다시 거란으로 달아나려 하오.”라고 하였는데 왕덕명은 불가하다고 하였다. 그러자 한연휘는 “아보기가 나를 잃은 것이 마치 두 눈을 잃고 손발이 잘린 것과 같으니, 지금 다시 나를 얻으면 반드시 기뻐할 것이다.”라고 하고는 마침내 다시 거란으로 달아났다.
아보기는 한연휘를 보고 과연 크게 기뻐하면서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하였다. 아보기가 황제를 참칭僭稱했을 때 한연휘를 재상으로 삼아 정사령政事令이라 호칭했고, 거란 사람들은 그를 숭문령공崇文令公이라 하였다. 후에 거란에서 졸하였다.
요굴지耀屈之는 뒤에 이름을 덕광德光으로 바꾸었다. 목엽산木葉山아보기阿保機를 장사 지내고 시호를 대성황제大聖皇帝라 하였으며 뒤에 아보기의 이름을 으로 바꾸었다. 야율덕광耶律德光이 재위한 지 3년째에 천현天顯으로 개원改元하고 사신을 보내 명마名馬를 가지고 나라(후당後唐)에 빙문聘問하면서 아울러 아보기를 위해 명문銘文을 새길 비석을 구하니, 명종明宗이 후하게 예우하고 비승지휘사飛勝指揮使 안념덕安念德을 보내 보빙報聘하였다.
정주定州왕도王都가 반란하자 당나라가 왕안구王晏球를 보내 토벌하였다. 왕도가 납환서蠟丸書거란契丹에 급히 보내 구원을 요청하자 야율덕광은 독뢰禿餒즉랄萴剌 등을 보내 기병騎兵 5천으로 왕도를 구원하게 했다.
왕도와 독뢰가 곡양曲陽에서 왕안구를 공격하다가 왕안구에게 패하니, 야율덕광이 다시 척은惕隱 혁모赫邈를 보내 독뢰에게 기병 7천을 보태주었는데 왕안구가 다시 당하唐河에서 패배시켰다.
혁모는 기병 몇과 함께 도로 거란으로 달아나다가 유주幽州에 이르러 조덕균趙德鈞에게 잡혔고 왕안구가 정주를 격파하여 독뢰와 즉랄을 사로잡아 모두 경사京師로 압송하니, 명종이 독뢰 등 6백여 인을 참수하고 혁모는 사면하여 건장한 거란인 50여 인을 뽑아 거란직契丹直으로 삼았다.
당초에 아보기阿保機가 죽었을 때 장자長子동란왕東丹王 돌욕突欲이 즉위해야 마땅한데, 그 모친 술률述律이 막내 아들인 안단소군安端少君을 보내 부여扶餘로 가서 돌욕을 대신하게 하고 장차 그를 세워 후사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술률은 야율덕광耶律德光을 더욱 사랑하였으니, 야율덕광은 지모智謀용력勇力이 있어 평소부터 이미 여러 를 복종시켰다.
안단安端동란국東丹國으로 떠나고 나서 여러 부에서 술률의 뜻에 영합하여 함께 야율덕광을 세우니, 돌욕은 황제의 자리에 오르지 못하게 되어 장흥長興 원년(930)에 부여에서 바다를 건너 나라로 달아났다.
명종明宗이 그에게 을 내려 동란東丹이라 하고 이름을 고쳐 모화慕華라고 하였다. 그리고 돌욕이 요동遼東에서부터 왔으므로 이에 서주瑞州회화군懷化軍이라 하고 동단모화를 회화군절도사懷化軍節度使서신등주관찰처치사瑞愼等州觀察處置使 에 배수하였다.
그리고 그의 부하 다섯 사람에게 모두 성명을 하사하여 한지罕只한우통罕友通, 목갈穆葛목순의穆順義, 살라撒羅나빈덕羅賓德, 역밀易密역사인易師仁, 개례蓋禮개래빈蓋來賓이라 하고 귀화장군歸化將軍귀덕장군歸德將軍귀화랑장歸化郎將귀덕랑장歸德郎將으로 삼았다.
또 전에 사로잡은 혁모赫邈에게도 성명을 하사하여 적회혜狄懷惠라 하고, 날렬捏列열지은列知恩, 즉랄萴剌원지감原知感, 복랑福郎복회조服懷造, 갈실흘竭失訖을회유乙懷宥라 하였으며, 그 나머지 거란직契丹直이 된 자들에게도 모두 성명을 하사하였다.
2년(931)에 돌욕의 성을 고쳐 하사하여 이씨李氏로 하고, 이름을 찬화贊華로 바꾸었다. 3년(932)에 이찬화를 의성군절도사義成軍節度使로 삼았다.
거란契丹아보기阿保機 때부터 여러 나라를 침공해 멸망시켜 북방의 강자로 일컬어졌다. 그러다 왕도王都를 구원하러 갔다가 왕안구王晏球에게 패하여 1만의 기병騎兵을 잃고 또 혁모赫邈 등을 잃으니 이들은 모두 명장名將이었다. 그리고 술률述律돌욕突欲을 특히 그리워하였다.
이 때문에 말을 정중하게 하고 폐백을 후하게 갖추어 자주 사신을 보내 중국에 빙문聘問하면서 혁모와 즉랄萴剌 등을 돌려보내 주기를 요구하였는데, 나라(후당後唐)가 번번이 사신을 참수하고 답하지 않으니 이때가 되어 중국의 위세가 거의 떨쳐졌다.
유주幽州 북쪽 7백 리 되는 지점에 유관榆關이 있으니, 동쪽으로는 바다와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토이산兎耳山복주산覆舟山이 있다. 산은 모두 가파르고 험준하며 바닷가 동북쪽에 좁은 길이 있어 겨우 수레가 다니며 그 옆에는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있다.
당나라(이당李唐) 때 동협석東狹石, 서협석西狹石, 녹주淥疇, 미전米磚, 장양長揚, 황화黃花, 자몽紫蒙, 백랑白狼 등의 변수邊戍를 설치하여 여기에서 거란을 억제하였다. 수병戍兵들은 항상 스스로 농사를 지어 식량을 자급했고 의복과 솜만은 해마다 유주에서 공급받았는데, 오랜 시간이 지나자 모두 전택田宅을 소유하고 자손을 기르게 되어 그곳을 굳게 지키는 것이 자신들에게 이득이라 생각하였다.
당나라(이당李唐) 말엽부터 유주와 계주薊州군벌軍閥할거割據하여 수병들이 해산되자 거란이 이 틈을 타고 병사를 이끌고 나와 평주平州영주營州를 함락시키니 유주와 계주 사람들이 해마다 노략질로 고통받았다. 탁주涿州에서부터 유주에 이르는 백 리에 인적이 끊어져 군량을 수송할 때 항상 병사들이 호송하였는데, 거란이 자주 염구鹽溝에 병사를 숨겨두고서 공격하여 탈취하였다.
장종莊宗 말년에 조덕균趙德鈞이 유주를 진수鎭守할 때 염구에 양향현良鄕縣을 설치했고, 또 유주 동쪽 50리에 성을 쌓아 모두 병사를 두어 지키고, 혁모 등을 격파하고서는 다시 그 동쪽에 삼하현三河縣을 설치하였다. 이때부터 유주와 계주 사람들이 비로소 농사와 목축을 할 수 있었고 군량도 운송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자 야율덕광耶律德光횡장橫帳을 서쪽으로 옮겨 규랄박揆剌泊에 머무르면서 운주雲州삭주朔州로 나와 노략질하니, 명종明宗이 근심하여 석경당石敬瑭에게 하동河東진수鎭守하면서 대동군大同軍, 창국군彰國軍, 진무군振武軍, 위새군威塞軍 등의 병사를 거느리고 막게 하였다. 응순應順청태清泰 연간에 그곳에서 군량을 징발하여 운송하느라 원근遠近의 지역들이 고달프고 피폐해졌다.
야율덕광耶律德光은 모친을 매우 근실하게 섬겨 항상 모친의 곁에 시립侍立하여 국사國事를 반드시 모친에게 아뢴 후에 시행하였다. 석경당石敬瑭이 반란을 일으키자 나라가 장경달張敬達 등을 보내 토벌하니 석경당이 사신을 보내 야율덕광에게 구원을 요청하였다.
야율덕광이 모친에게 사뢰기를 “제가 석랑石郎이 저를 부르는 꿈을 꾼 적이 있는데 과연 석경당의 사자가 왔습니다. 이 어찌 하늘의 뜻이 아니겠습니까.”라고 하니, 모친은 호인胡人 무당을 불러 길흉을 묻고 무당이 길하다고 하자 출병을 허락하였다. 이해 9월 거란契丹안문雁門으로 나올 때 수레와 말이 수십 리에 연이어졌다.
장차 태원太原에 당도하려 할 때 사람을 보내 석경당에게 이르기를 “내가 너를 위해 오늘 적들을 격파해도 되겠는가?”라고 하자, 석경당이 답하기를 “황제皇帝께서 어려움을 구원하러 달려오셨는데, 그 목적은 요컨대 공을 이루는 데 있지 빨리 공격하는 데 있지 않습니다. 거란의 대군大軍은 멀리서 왔고 당나라 병사들은 매우 강성하니 바라건대 조금만 기다리십시오.”라고 하였다. 그런데 석경당의 사신이 거란군에 당도하기도 전에 양군兩軍이 이미 교전하여 장경달이 대패하였다.
석경당이 밤에 북문北門으로 나가 야율덕광을 만나 부자父子 관계를 맺기로 약속하고 묻기를 “대군이 멀리서 왔는데 전투를 신속히 하여 승리한 것은 어째서입니까?”라고 하자, 야율덕광이 말하기를 “나는 당나라 병사가 안문을 지키고서 여러 험요險要한 곳을 점거한다면 일이 어찌 될지 알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지금 병사들이 오래 내달려 적지에 깊이 들어왔는데도 막아서는 자가 없으니, 대사大事를 반드시 이루리라는 것을 내 알겠다. 또 우리 병사가 많아 지구전을 펼치기 어려우므로 응당 신속히 적을 격파해야 한다. 이것이 승리한 까닭이다.”라고 하였다.
장경달이 전투에서 패배하고 퇴각하여 진안채晉安寨를 지키니 야율덕광이 포위하였다. 당나라에서 조덕균趙德鈞조연수趙延壽 부자父子를 보내 장경달을 구원하게 하였는데, 조덕균 부자는 병사를 단백곡團柏谷에 머물러두고 장경달을 구원하지 않았다.
야율덕광이 석경당에게 이르기를 “내가 의리를 위해 3천 리를 달려왔으니, 의리를 철저하게 해야 한다.”라고 하고 드디어 진성晉城 남쪽에 을 쌓고 석경당을 황제로 세우고 자신의 의관衣冠을 벗어 입혀주고서 책봉하기를 “아! 너 아들 진왕晉王아. 내가 너를 아들처럼 보니 너는 나를 아비처럼 보라.”라고 하였다.
후진後晉 고조高祖후진後晉 고조高祖
얼마 뒤 양광원楊光遠이 장경달을 죽이고 나라에 항복하고, 고조高祖(석경당)가 태원太原으로부터 낙양洛陽으로 들어갈 때 야율덕광이 전송하여 노주潞州에 이르자 조덕균과 조연수가 나와서 항복하니, 야율덕광이 진 고조에게 이르기를 “대사는 이미 이루어졌다. 내가 대상온大相溫에게 명하여 너를 따라 하수河水를 건너게 하고, 나 또한 이곳에서 머무르다가 네가 낙양에 들어가기를 기다린 뒤 북쪽으로 가겠다.”라고 하였다.
이별할 때 손을 잡고 한숨을 쉬고는 흰 담비 갖옷을 벗어 고조에게 입혀주고 양마良馬 20전마戰馬 1천 2백 필을 남겨주며 훈계하기를 “자자손손 서로 잊지 말지어다.”라고 하니, 때는 천현天顯 9년(934)이었다.
고조高祖낙양洛陽에 입성하자 야율덕광耶律德光이 이에 북쪽으로 가면서 조덕균趙德鈞조연수趙延壽 부자를 잡아 돌아갔다. 조덕균은 유주幽州 사람이다. 유수광劉守光유수문劉守文을 섬겨 군교軍校가 되었고 장종莊宗을 쳐서 조덕균을 얻어 이소빈李紹斌이라는 성명姓名을 하사하였다.
그 아들 조연수는 본성本姓유씨劉氏이니 상산常山 사람이다. 그 아비 유원劉邧수현蓚縣 현령縣令이었는데 유수문이 수현을 공격하여 격파했을 때 조덕균이 조연수를 얻고 그 어미 충씨种氏까지 가족으로 들이고서 조연수를 아들로 삼았다.
조연수는 자질이 빼어나고 유순하였으며 경사經史를 대략 익혔다. 명종明宗이 자신의 딸을 조연수에게 시집보내고 흥평공주興平公主라 불렀다. 장종과 명종의 치세治世에 조덕균이 유주幽州를 십여 년간 진수鎭守하는 동안 조연수 때문에 더욱 신임을 받았다. 조연수는 명종 때 추밀사樞密使가 되었다가 파직되었고, 폐제廢帝가 즉위하자 다시 추밀사로 삼았다.
고조가 태원太原에서 거사擧事하자 폐제가 조연수를 보내 병사를 거느리고 토벌하게 했는데 조덕균도 진병鎭兵을 이끌고 적도賊徒를 토벌하겠다고 청하니, 폐제가 그에게 다른 뜻이 있음을 알고 비호飛狐로부터 나가 적의 후방을 치게 하였다. 조덕균이 남쪽으로 오아吳兒로 나와 서당西唐에서 조연수와 만나니, 조연수가 이로 인해 병사를 조덕균에게 맡겼다.
폐제가 조덕균을 제도행영도통諸道行營都統으로 삼고 조연수를 태원남면초토사太原南面招討使로 삼았는데, 조덕균이 조연수를 위해 조연수를 진주절도사鎭州節度使로 임명해주기를 청하니, 폐제가 노하여 말하기를 “조덕균 부자가 강성한 군대를 장악하고서 대진大鎭을 달라고 요구하니, 만일 거란을 패퇴시키고 태원을 격파한다면, 나를 대신해 황제가 되는 것도 할 수 있겠구나. 만약 그들이 도적들을 가벼이 여기고 군주를 협박하는 것이라면 그저 개와 토끼가 모두 죽는 꼴이 될까 두렵다.”라고 하고는 사자를 보내 조덕균 등에게 진군을 재촉하였다.
조덕균이 몰래 야율덕광에게 사람을 보내 빙문聘問하면서 자신을 황제로 세워달라고 요구하자 야율덕광이 궁려穹廬 앞의 큰 돌을 가리키며 조덕균의 사자에게 말하기를 “내가 이미 석랑石郎(석경당石敬瑭)에게 황제 자리를 허락하였으니 돌이 문드러져야 약속을 바꿀 수 있다.”라고 하였다. 야율덕광이 노주潞州에 이르러 조덕균 부자를 결박하여 떠났다.
야율덕광의 모친 술률述律이 이들을 보고 묻기를 “너희 부자가 스스로 천자가 되기를 요구한 것은 어째서인가?”라고 하자, 조덕균이 부끄러워 대답하지 못하고서 전택田宅의 장부를 모두 바쳤다. 술률이 묻기를 “전택이 어디에 있는가?”라고 하자 “유주幽州에 있습니다.”라고 하니, 술률이 말하기를 “유주는 우리 땅인데 무엇을 바친단 말인가.”라고 하였다. 이듬해 조덕균이 죽으니 야율덕광이 조연수를 유주절도사幽州節度使로 삼고 연왕燕王에 봉하였다.
거란契丹장종莊宗명종明宗 때에 영주營州평주平州를 공격해 함락하였는데, 나라가 건국하고 나서 또 안문雁門 이북의 유주절도사幽州節度使관내管內를 얻어 도합 16가 되었다. 이에 유주幽州연경燕京으로 삼고, 천현天顯 11년을 고쳐 회동會同 원년元年(938)으로 삼고, 국호國號대요大遼로 고치고, 백관百官을 두되 모두 중국의 제도를 따르고 중국 사람을 섞어 등용하였다.
풍도馮道풍도馮道
고조高祖는 매번 사신을 보내 빙문聘問할 때마다 를 받들어 올리며 자신을 신하라 칭하였고 해마다 비단 30만 을 보냈으며, 그 밖의 보옥寶玉과 진귀한 물건들로부터 아래로 중국의 음식 등 여러 물품에 이르기까지 이를 운송하는 사신들이 길에 서로 이어지지 않는 날이 없었다.
야율덕광耶律德光은 약조를 맺어 고조에게 신하라 칭하지 않게 하고 라고 명칭을 고치게 하고 고조를 아황제兒皇帝라 일컬으면서 집안사람을 대우하는 예와 같이 하였다. 야율덕광이 중서령中書令 한경韓熲을 보내 고조를 영무명의황제英武明義皇帝로 봉하는 책문冊文을 받들어 올리게 하니, 고조는 다시 조형趙瑩풍도馮道 등을 보내 태상시太常寺노부鹵簿로 야율덕광과 그 모친의 존호尊號를 적은 책문冊文을 받들어 올리게 하고, 종신토록 거란을 매우 공손히 받들었다.
고조가 붕어崩御하자 출제出帝가 즉위했는데 야율덕광은 출제가 즉위를 먼저 고하지 않고 또 를 받들어 올리지도 않았으며 자신을 신하라 칭하지 않고 손자라 칭한 것을 노여워하여 자주 사자를 보내 진나라를 책망하였다. 그러자 진나라 대신大臣들이 모두 두려워하였는데 경연광景延廣은 거란의 사신과 대화할 때 유독 공손하지 않았다. 야율덕광이 더욱 노여워하였는데 양광원楊光遠청주青州에서 진나라에 반란을 일으키자 거란이 그를 불렀다.
개운開運 원년(944) 봄에 야율덕광耶律德光이 온 나라의 병사를 모두 이끌고 남쪽을 침략하면서 군사들을 셋으로 나누되, 서쪽으로는 안문雁門으로 나가 병주幷州대주代州를 공격하다가 수용秀容에서 유지원劉知遠에게 격퇴되었고, 동쪽으로는 황하黃河에 이르러 박주博州를 함락하여 양광원楊光遠과 호응하고, 야율덕광은 조연수趙延壽와 남쪽으로 패주貝州를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야율덕광이 원성元城주둔駐屯하니 병력이 여양黎陽까지 미쳤다. 출제出帝친정親征하여 이수정李守貞 등을 보내 동쪽으로 마가도馬家渡로 달려가 거란을 격퇴하게 하자 야율덕광이 진나라 군대와 황하에서 대치하였다. 한 달 남짓 지나 마가도에 있던 병사가 패했다는 소식을 듣고 마침내 군사를 이끌고 진나라를 공격하여 척성戚城에서 전투를 벌였다.
야율덕광이 군진軍陣에 나와 진나라 군대의 기치旗幟가 번쩍이고 병마兵馬가 엄숙하고 정돈된 것을 바라보고는 두려운 낮빛을 띄면서 좌우의 수하들에게 말하기를 “양광원이 진나라 병마의 반은 벌써 굶어 죽었다고 하더니 어쩌면 저리도 강성한가?”라고 하였다.
병사들이 교전하자 피차 반수半數가 죽고 다쳤고 두 진영 사이의 전장戰場에는 부러진 화살대와 버려진 화살촉이 한 치 남짓의 두께로 펼쳐져 있었다. 해가 저물자 야율덕광은 군대를 이끌고 떠나면서 병사를 둘로 나누어 한 무리는 창주滄州로, 한 무리는 심주深州로 나가 거란으로 돌아갔다.
2년(945) 정월에 야율덕광耶律德光이 다시 온 나라의 병력을 다 기울여 침략하여 진주鎭州를 포위하고 병사를 나누어 고성鼓城 등 아홉 개 을 공격하여 함락하니, 두중위杜重威는 진주를 지키면서 성문을 걸어잠그고 감히 나오지 못하였다. 거란契丹이 남쪽으로 형주邢州명주洺州자주磁州공략攻掠하여 안양하安陽河에까지 이르러 천 리 이내의 지역을 거의 다 불태우고 노략질하였다.
거란이 큰 뽕나무를 보고는 욕하기를 “자피오紫披襖가 네 몸에서 나온 것을 우리가 알고 있으니 네가 살아 있는 것을 우리가 어찌 용납하겠는가.”라고 하고는 나무에 땔감을 묶고 불살랐다. 이때 출제出帝는 병이 들어 출정하지 못하였으므로 장종은張從恩안심기安審琦황보우皇甫遇 등을 보내 거란군을 막게 하였다.
황보우가 전군前軍으로 장수漳水를 건너다가 거란군을 만나 유림榆林에서 접전하여 거의 사로잡힐 뻔했는데 안심기가 후방에서 구원하였다. 거란군이 먼지가 일어나는 것을 바라보고는 구원병이 이르렀다고 여겨 병사를 이끌고 퇴각했는데, 장종은은 두려워 겁을 먹고 감히 추격하지 못하고서 역시 병사를 이끌고 남쪽으로 여양黎陽으로 달아났다.
거란군이 북쪽으로 가고 나서 출제의 병도 조금 나아 마침내 조서를 내려 친정親征하여 전주澶州에 주둔하고 두중위 등을 보내 북벌北伐하게 하였다. 거란이 돌아가다가 고북古北에 이르러 나라 군대가 장차 이를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곧바로 다시 군사를 이끌고 남하하여 두중위와 양성陽城, 위촌衛村에서 전투하였다.
진나라 군대가 굶주리고 목말라 우물을 팠으나 번번이 무너져 진흙을 묶어 짜서 그 즙을 마셨다. 야율덕광이 해차奚車에 앉아 군중軍衆에 외치기를 “진나라 군대가 모두 여기에 있으니 저들을 사로잡은 연후에 천하를 평정할 수 있다.”라고 하였는데, 때마침 하늘에서 큰 바람이 불고 진나라 군대가 죽을힘을 다해 공격하니 거란군이 대패하였다.
야율덕광은 수레를 잃고서 흰 낙타 한 마리를 타고 달아나 유주幽州에 이르러 수령首領대장大將들에게 각각 수백 대의 매질을 하였는데 조연수趙延壽만은 벌을 면하였다.
이때 천하에 가뭄과 황충蝗蟲의 재해가 들고 진나라 사람들이 전쟁에 괴로워하니 개봉부開封府군장軍將장휘張暉를 임시 공봉관供奉官으로 거란에 빙문聘問하게 하여 표문表文을 바치며 신하라고 칭하여 우호를 맺었다. 야율덕광의 말이 불손하였으나 거란 스스로도 전쟁에 염증을 느끼고 있었다.
야율덕광의 모친인 술률述律이 일찍이 진나라 사람에게 말하기를 “남조南朝한아漢兒는 어찌하여 한결같이 누워만 있으려 하는가? 예로부터 이 와서 번국蕃國과 화친했다는 말은 들었어도 번국이 가서 한과 화친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만약 한아가 실제로 마음을 돌이킨다면 우리도 어찌 우호 맺기에 인색하겠는가.”라고 하였다.
진나라는 다시 사신을 보내지 않았으나 조연수에게는 자주 서신을 보내 불렀다. 조연수는 진나라가 쇠퇴하고 천하가 어지러운 것을 보고서 일찍부터 중국을 노리는 마음을 품었고 야율덕광도 조연수가 진나라를 멸하고 황제로 서는 것을 허락했는데,
조연수가 진나라의 서신을 받고서는 거짓으로 좋은 말로 진나라에 답하면서 몸이 오랑캐 땅에 매여 있으나 중국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말하고 진나라와 약조하여 병사를 일으켜 호응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야율덕광의 장수 고모한高牟翰도 거짓으로 영주瀛州를 가지고 진나라에 투항하니 진나라의 군신君臣이 모두 기뻐하였다.
3년(946) 7월에 두중위杜重威, 이수정李守貞, 장언택張彥澤 등을 보내 출병하여 조연수趙延壽에 호응하여 병사들을 영주瀛州로 달려가게 하였는데, 고모한高牟翰은 성을 비우고 떠나버렸다. 나라 군대가 성 아래에 이르러 성문이 모두 열린 것을 보고는 복병伏兵이 있을까 의심하여 감히 성에 들어가지 못하고 양한장梁漢璋을 보내 고모한을 추격하게 했는데 따라잡았을 때 양한장이 싸우다 죽으니, 두중위 등이 무강武彊에 군사를 주둔하였다.
야율덕광耶律德光이 진나라가 출병했다는 말을 듣고는 마침내 진주鎭州를 침입하니 두중위가 서쪽으로 중도中渡에 주둔하여 야율덕광과 강을 끼고 대치하였다. 야율덕광이 병사를 나누어 서산西山을 끼고 진나라 군대의 후방으로 나와 난성현欒城縣을 공격해 격파하니, 난성현의 기병騎兵 1천 명이 모두 오랑캐에게 항복하였다.
야율덕광은 진나라 사람을 잡을 때마다 얼굴에 자자刺字하여 “칙명을 받들어 죽이지 않는다.[봉칙부살奉勅不殺]”라는 문신을 새기고 풀어주어 남쪽으로 돌려보냈다. 두중위 등이 포위당해 양식이 떨어지자 마침내 군사들을 모두 데리고 항복하니 야율덕광이 기뻐하며 조연수에게 이르기를 “사로잡은 한인漢人들을 모두 너에게 주겠다.”라고 하고 용봉자포龍鳳赭袍를 내려주어 그 옷을 입고 진나라 군사들을 위무慰撫하게 하고 두중위에게도 자포赭袍를 내려주었다.
그리고 부주아傅住兒를 보내 장언택을 감독하여 기병 2천을 거느리고 먼저 경사京師로 들어가게 하니, 진나라 출제出帝태후太后가 항복하는 표문表文을 지어 스스로 잘못을 진술하였다. 야율덕광이 야률해리耶律解里를 보내 손수 적은 조서詔書를 출제에게 내려 말하기를 “손자는 공연히 근심하지 말라. 먹고 살 땅 한 곳은 너에게 보장하겠다.”라고 하였다.
야율덕광이 장차 경사에 이르려 할 때 유사有司법가法駕로 맞이하기를 청하니, 야율덕광이 말하기를 “내가 몸소 갑주甲冑를 두르고 중원中原을 평정했으니 태상시太常寺의례儀禮는 돌아볼 겨를이 없다.”라고 하고 중지시켜 사용하지 않았다. 출제와 태후가 교외郊外로 나가 맞이하자 야율덕광이 사양하고 만나지 않으며 말하기를 “어찌 두 천자가 길에서 서로 만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4년(947) 정월 정해丁亥일 초하루 아침에 진나라 문무백관들이 도성都城 북쪽에 도열하여 출제를 바라보고 절하면서 작별하고 소복素服사모紗帽를 착용하고서 기다렸다. 야율덕광이 갑옷과 초구貂裘를 입고 초모貂帽를 쓰고 높은 언덕에 말을 세우니 백관들이 부복俯伏하여 대죄待罪하였다.
야율덕광이 봉구문封丘門으로 들어가 성루城樓에 올라 통사通事(통역관)를 보내 무리들에게 선언하기를 “나도 사람이니 두려워하지 말라. 나는 본래 이곳에 올 생각이 없었는데 한병漢兵이 나를 여기에 오도록 이끈 것이다.”라고 하고는 드디어 진나라 궁궐로 들어갔다.
그러자 궁중의 희첩姬妾가무歌舞하는 여인들이 맞이하며 배알拜謁하였는데 야율덕광이 모두 돌아보지 않고서 저녁에 적강赤岡으로 나가 유숙하였다. 출제를 부의후負義侯에 봉하여 황룡부黃龍府로 옮겼다.
계사癸巳일에 진나라 궁궐로 들어가 있으면서 거란契丹 군사로 하여금 궁궐의 여러 문을 지키게 하고 문무門廡전정殿廷에 모두 개를 찢어 가죽을 걸어 엽승厭勝으로 삼았다. 갑오甲午일에 야율덕광이 호복胡服을 입고 광정전廣政殿에서 조회를 보았다.
을미乙未일에 중국의 관복冠服을 착용하고 백관들의 상참常參을 할 때 의식 절차를 진나라의 의례儀禮대로 하되 전구氈裘좌임左衽으로 하고 호마胡馬해차奚車를 섬돌에 나열하니, 진나라 사람들이 머리를 숙이고 감히 올려다보지 못하였다.
2월 정사丁巳일 초하루에 금오金吾육군六軍전중성殿中省의장儀仗태상시太常寺악무樂舞궁정宮廷에 늘여 세우니, 야율덕광이 통천관通天冠을 쓰고 강사포絳紗袍를 입고 대규大珪를 쥐고서 조회를 보면서 대사면령大赦免令을 내리고 진국晉國대료국大遼國으로, 개운開運 4년을 회동會同 10년(947)으로 고쳤다.
야율덕광耶律德光이 일찍이 조연수趙延壽에게 나라를 하고 그를 황제로 세울 것을 허락하였다. 그러므로 거란契丹이 진나라를 공격할 때 조연수가 항상 선봉이 되어 노략하여 얻은 것을 모두 야율덕광과 그 모친인 술률述律에게 바쳤다.
야율덕광이 진나라를 멸하고 나서도 조연수를 황제로 세울 뜻이 없자 조연수가 감히 스스로 말하지는 못하고 이숭李崧을 통해 자신을 황태자皇太子로 삼아주기를 청하니, 야율덕광이 말하기를 “나는 연왕燕王에게 아까워하는 것이 없으니, 비록 나의 가죽과 살이라도 연왕을 위해 쓸 수 있는 것이 있다면 내가 갈라줄 수 있다. 그러나 내가 듣기로 황태자란 천자의 아들이라 하니, 연왕이 어찌 황태자가 될 수 있겠는가.”라고 하고 마침내 명하여 조연수의 관질官秩을 올려 주었다.
한림학사翰林學士 장려張礪가 조연수를 중경류수中京留守 대승상大丞相 녹상서사錄尙書事 도독중외제군사都督中外諸軍事로 삼자고 상주上奏하자 야율덕광이 붓을 찾아 녹상서사 도독중외제군사를 지우고 단지 중경유수 대승상으로 삼고 조연수의 이전 직임인 추밀사樞密使연왕燕王봉작封爵은 모두 예전대로 하였다.
또 장려를 우복야右僕射문하시랑門下侍郎 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로 삼아 진나라의 옛 재상인 화응和凝과 함께 재상으로 삼았다.
장려는 명종明宗 때 한림학사이다. 진 고조高祖태원太原에서 기병起兵하자 폐제廢帝가 장려를 보내 조연수를 독려하여 단백곡團柏谷으로 진군하게 했는데, 얼마 뒤 조연수가 야율덕광에게 구금되어 장려와 함께 거란으로 보내졌다. 야율덕광은 장려의 문학文學을 중히 여겨 그대로 한림학사로 삼았는데, 장려는 항상 중국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여 도망쳐 국경에 이르렀다가 추격하는 자에게 붙잡혔다.
야율덕광이 장려를 꾸짖으니 장려가 말하기를 “신은 본래 한인漢人이라 의복衣服음식飲食언어言語가 다릅니다. 이제 중국으로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가지 못하니 살아도 죽느니만 못합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야율덕광이 통사通事 고당영高唐英을 돌아보며 말하기를 “내가 너희들에게 이 사람을 잘 대우하라 당부하였거늘, 도망가게 만들었으니 허물이 너에게 있다.”라고 하고는 고당영에게 1백 대를 때리고 장려를 예전처럼 대우하였다. 야율덕광이 장려를 아낌이 이와 같았다.
야율덕광이 조회를 보려할 때 유사有司가 조연수에게 초선관貂蟬冠을 주고 장려에게 삼품三品 관원의 관복冠服을 주자 조연수와 장려가 모두 착용하려 하지 않고 조연수는 별도로 왕자王者을 만들어 자신을 존귀하게 하였다.
장려가 말하기를 “내가 상국上國(나라)에 있을 때 진나라에서 풍도馮道를 보내 북조北朝책문冊文을 받들어 올릴 적에 풍도가 두 개의 초관貂冠을 주었으니, 하나는 재상 한연휘韓延徽가 쓰고 하나는 나에게 쓰라고 명하였다. 그런데 지금 어찌 관복의 등급을 낮출 수 있겠는가.”라고 하고 마침내 초선관貂蟬冠을 쓰고 조회에 나갔다.
3월 병술丙戌일 초하루에 야율덕광이 화포靴袍 차림으로 숭원전崇元殿에 거둥하였을 때 백관百官입각入閣하니 야율덕광이 크게 기뻐하면서 좌우에 있는 이들을 돌아보며 말하기를 “한가漢家의물儀物이 성대하기가 이와 같구나. 내가 이 전각에 앉게 되었으니 어찌 진천자眞天子가 아니랴.”라고 하였다. 그 어미 술률이 사람을 보내 서신과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명전明殿조서書詔를 야율덕광에게 내렸다.
명전은 중국의 능침하구陵寢下宮의 제도와 같으니, 임금이 죽어 장사 지내면 묘 옆에 가옥을 세워 명전이라 부르고 관속官屬직사職司를 두어 세시歲時기거표起居表를 받들어 올리기를 살아 있을 때 섬기던 것처럼 하였다.
그리고 명전학사明殿學士 한 사람을 두어 답하는 조서書詔를 짓는 일을 관장하게 하여 나라에 큰 경조사慶弔事가 있을 때마다 학사가 선군先君이라고 하면서 서조를 지어 임금에게 내렸으니, 서조에서 항상 “아황제兒皇帝에게 답한다.”라고 하였다.
야율덕광耶律德光나라를 멸하고서 부족部族추장酋長통사通事들을 보내 여러 주진州鎭자사刺史절도사節度使로 삼고 천하의 재물을 긁어모아 군대에 상으로 주었다. 거란군의 인마人馬에게는 양식과 건초를 지급하지 않고 날마다 수천의 기병騎兵을 사방 들판으로 나누어 내보내 백성들을 노략질하여 이들을 타초곡打草穀이라 부르니 동서東西 2,3천 리 사이의 백성들이 그 해독害毒을 입어 원근遠近의 지역들이 원망하고 탄식하였다.
고조高祖태원太原에서 일어나자 곳곳의 주진州鎭들이 많이들 거란의 수장守將을 죽이고 한나라에 귀부歸附하니 야율덕광이 크게 두려워하였다. 또 계절이 이미 더워져 마침내 소한蕭翰선무군절도사宣武軍節度使로 삼았다. 소한은 거란의 대족大族이니 아발阿鉢이라 불렀고 소한의 누이 또한 야율덕광에게 시집갔다.
아발은 본래 성씨姓氏가 없어 거란에서는 소한을 국구國舅라고 불렀는데 장차 소한이 절도사가 되려 할 때 이숭李崧소한蕭翰이라는 성명姓名을 지어주니 이에 비로소 가 되었다. 야율덕광이 소한을 남겨 변주汴州를 지키게 하고서 마침내 북쪽으로 돌아갈 때 진나라의 여러 내사內司의 기술자들과 궁녀와 제군諸軍장졸將卒들 수천 명을 따르게 하였다.
야율덕광이 여양黎陽에서 황하黃河를 건너 탕음湯陰에 이르러 수사강愁死岡에 올라 선휘사宣徽使 고훈高勳에게 이르기를 “내가 상국上國에 있을 때에는 사냥하고 고기를 먹으며 즐겼는데 중국에 들어오고 나서는 마음이 항상 유쾌하지 못했다. 만약 다시 나의 본토本土로 돌아갈 수 있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겠다.”라고 하자, 고훈이 물러나와 다른 사람에게 이르기를 “오랑캐가 장차 죽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상주相州양휘梁暉가 거란의 수장守將을 죽이고 성문을 닫아걸고 항거하였는데, 야율덕광이 병사를 이끌고 가서 격파하고 성 안의 남자는 로소老小할 것 없이 모두 도륙하고 부녀자들은 모두 북쪽으로 끌고 갔다. 후에 나라에서 왕계홍王繼弘에게 상주를 진수鎭守하게 하여 해골 십수만十數萬 개를 수습하여 대총大塚을 만들어 묻어주었다.
후한後漢 고조高祖후한後漢 고조高祖
야율덕광이 임명臨洺에 이르러 마을이 황폐한 것을 보고는 웃으면서 진나라 사람에게 이르기를 “중국이 이 지경이 된 책임을 따지자면 모두 연왕燕王(조연수趙延壽)이 으뜸가는 죄인이다.”라고 하고, 또 장려張礪를 돌아보며 말하기를 “너 또한 책임이 있다.”라고 하였다. 야율덕광이 난성欒城에 이르러 병을 얻어 살호림殺胡林에서 죽었다.
거란이 야율덕광의 배를 열어 장기를 제거하고 소금을 채워 싣고 북쪽으로 가니, 진나라 사람들이 “제파帝羓(황제를 말린 고기라는 뜻)”라고 불렀다. 영강왕永康王 올욕兀欲이 즉위하여 야율덕광에게 사성황제嗣聖皇帝라는 시호諡號를 올리고 아보기阿保機태조太祖, 야율덕광은 태종太宗이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四夷附錄 : 〈四夷附錄〉은 ≪新五代史≫ 卷72~74에 해당하는데 ≪唐宋八大家文抄≫에서는 이 가운데 권72의 契丹 太祖 耶律阿保機가 興起하는 부분에서부터 中原으로 세력을 확장한 그의 아들 太宗 耶律德光의 사망 부분까지를 수록하였다. 서두에서 歐陽脩는 중국을 둘러싼 이민족의 종류와 대략적인 내력, 그리고 이민족과 중국의 관계를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구양수가 가지고 있는 이민족에 대한 관점을 알 수 있다. 구양수는 이민족의 흥망성쇠와 중국과의 관계가 중국에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미치므로 이에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였다.
거란은 처음에 여덟 개의 부족으로 나뉘어져 부족장인 大人 중에 한 사람을 추대하여 여덟 부족을 통솔하게 하였으며 한 사람이 그 자리를 독점하지 않고 돌아가면서 맡았다. 이후 중국의 劉仁恭과의 관계 설정 문제로 새로 추대된 야율아보기는 권력을 독점하여 자리에서 물러나지 않고 부족을 계속 통솔하였다. 이후 야율아보기의 거란은 중국이 五代의 혼란한 시기를 맞은 틈을 타 그들의 대치 관계를 이용해 때에 따라 어느 한 쪽을 도우면서 점점 중국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야율아보기는 투항한 漢人을 등용하고 중국의 제도를 받아들이면서 계속 세력을 키워가던 도중 사망하였고 뒤를 이은 아율덕광은 石敬瑭이 後唐에 반란을 일으키면서 거란에 응원을 요청한 기회를 맞이하여 중국에 군대를 파병해 석경당의 즉위를 도왔다. 석경당은 後晉을 세우고 즉위 후 야율덕광에 대해 자신을 兒皇帝라 부르면서 거란을 섬겼는데 석경당의 사후에 出帝가 즉위해서는 이전의 관계를 파기하고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려 하였다. 때마침 후진 내부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야율덕광은 이를 기회로 여러 차례 중국에 침입하여 마침내 후진을 멸망시키고 얼마 뒤 病死하였다. 이상이 본집에 실린 〈사이부록〉 내용의 대강이다. 아울러 이러한 역사적인 사실과 함께 거란의 풍속과 內政 등도 실려 있어 거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역주2 蓋自因其衰盛 : 이 구절을 中國의 ≪二十四史全譯≫(漢語大詞典出版社, 2004)에서는 오랑캐들이 자신들의 盛衰에 따라 행동했다는 뜻으로 풀이하였다. 이 풀이도 뜻이 통하기는 하나 앞 문장과의 연결을 고려하면 오랑캐들이 중국에 도가 있고 없고를 판단 기준으로 삼은 것이 아니라 중국의 융성하면 와서 복종하고 쇠약하면 중국을 노리는 등 중국의 성쇠에 따라 자신들의 행동을 결정했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더 사리에 맞는 해석일 듯하다.
역주3 三代獫狁……其後有吐蕃回鶻(흘)之彊 : 獫狁은 玁狁으로도 표기한다. 현재 중국의 陝西, 甘肅, 內蒙古 일대에 살던 종족이다. 周나라 때 尹吉甫, 南仲 등이 험윤을 정벌한 일을 노래한 것이 ≪詩經≫의 〈唐風 杕杜〉, 〈小雅 采薇〉, 〈小雅 六月〉, 〈小雅 采芑〉, 〈小雅 出車〉 등이다. 匈奴는 기원전 3세기 말부터 몽골초원 일대에 있었던 유목 민족으로 秦 始皇帝 무렵에 부족이 통일되었으며 이후 세력을 확대하면서 漢나라 때에는 매우 강성해졌다. 이후 내분을 거듭하며 세력이 약화되다가 五胡十六國 때 완전히 와해되었다. 突厥은 Türk의 音譯으로 처음에는 몽골의 유목민족인 柔然에 소속되었다가 6세기 무렵 유연을 격파하고 독립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이루었다. 隋․唐 교체기의 중국의 혼란을 틈타 세력을 더욱 넓혔으나 당나라가 안정된 후 당나라의 공격으로 세력이 약해졌고 동족 간의 다툼으로 점점 더 쇠퇴하다가 위구르에 멸망당했다. 吐蕃은 7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티베트 지역에서 성장한 왕국으로 4,5세기부터 세력을 확장하여 6세기 무렵에는 국가체제를 정비하고 당나라와 대립하였다. 한때 서역 교역권을 장악하기도 했으나 불교를 받아들인 이후 당나라와 평화조약을 맺었다. 이후 국내에서 불교를 둘러싼 대립과 왕위계승 다툼으로 남북으로 분열되었고 마지막에는 농노의 반란으로 멸망하였다. 回鶻은 Uyghur의 음역이다. 몽골 고원과 중앙아시아 일대를 기반으로 활동하였으며 시대에 따라 高車, 韋紇, 回紇, 畏吾兒 등으로 불렸다. 회흘은 대체적으로 중국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돌궐과 대립하였다. 토번에 의해 멸망을 겪기도 하였으나 13세기 몽골 제국이 등장하기 전까지 甘肅과 新疆 지역에 흩어져 작은 세력을 유지하면서 실크로드의 교역을 지배하였으며 훗날 칭기즈칸에게 복속되었다.
역주4 後魏 : 중국 南北朝 시대의 北魏(386~534)로, 鮮卑族 拓拔氏의 후예인 珪가 건국하였다. 後燕을 격파하고 華北으로 진출하여 漢族의 문화를 흡수하였으며 세력을 확장하여 長江 이북 지역을 통일하였다. 후에 권세가인 宇文氏와 高氏의 내부 권력 다툼으로 분열하여 西魏와 東魏로 갈라졌다. 동위는 高洋에게 찬탈당하여 北齊가 되었고, 서위는 宇文覺에게 찬탈당하여 北周가 되었다.
역주5 庫莫奚 : 중국 북방의 종족인 東胡의 하나로, 奚族이라고도 한다. 중국의 南北朝 시대에는 北朝에 복속되었으며, 이후로 隋․唐과 突厥, 回鶻 등에 복속되었다. 거란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거란에 복속하여 점점 거란과 동화되었다. 악기 奚琴은 이들 해족의 악기라는 설이 있다.
역주6 梟羅箇沒里 : 현재 내몽골 지역을 흐르는 潢水를 가리킨다. 潢水는 黃水로 표기하기도 한다. 황수는 몽골어로 Šira Mören이라고 하는데, 梟羅個沒里는 바로 이 시라무렌의 음역이다.
역주7 黃龍 : 遼나라 때 설치한 黃龍府를 가리킨다. 淸나라 때 農安縣을 설치하고 吉林長春府에 소속시켰다.
역주8 其地北接室韋……南至營州 : 室韋는 失韋로도 표기하며 唐나라 때에는 黑龍江, 松花江 일대와 몽골고원에 걸쳐 살던 민족이다. 통일 국가를 형성하지는 못하고 흩어져 살았으며 이들 중 蒙兀室韋의 후예가 蒙古族이다. 高麗는 高句麗를 가리킨다. 奚國은 곧 庫莫奚이다. 營州는 北魏가 治所를 和龍에 두고 설치한 이래 隋나라 때 폐지되었고 당나라가 營州都督府를 설치하였다. 지금의 河北 옛 永平府 지역에 해당한다.
역주9 (收)[牧] : 저본에는 ‘收’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牧’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0 遙輦 : 요련은 거란의 氏族 명칭으로 이 씨족의 족장들의 姓氏이기도 하다. 唐나라 開元 연간에 大賀氏가 맡아오던 거란의 可汗 자리를 이들 부족이 차지하여 중국의 五代 시절까지 이어졌으며 이후 耶律氏에게 부족의 통치권이 넘어갔다. 이 당시에는 遙輦欽德이 痕德可汗으로 있었다.
역주11 劉仁恭 : ?~914. 深州 사람으로 그의 부친인 劉晟 때부터 范陽節度使 李可擧의 휘하에 있었다. 唐 昭宗 연간에 범양절도사 李匡籌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河東의 李克用에게 歸附하였는데, 이극용이 범양을 공격하여 함락하고서 조정에 청하여 유인공을 범양절도사로 삼았다. 이후 점차 세력을 키워 이극용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이극용의 徵兵 요청도 거절하면서 반목하고 河北에서 세력을 확장해가던 중 朱溫과 羅紹威의 군대에 패하여 기세가 꺾여 주온과 이극용의 세력 사이에서 스스로를 보전하였다. 말년에 荒淫無度하여 幽州의 大安山에 크게 궁전을 짓고 향락에 빠졌으며 仙術에 미혹되어 지내다가 아들 劉守光에 의해 유폐되었다. 이후 유수광이 이극용의 아들 李存勖에게 패하자 유인공도 함께 사로잡혀 죽임을 당하였다.
역주12 據有幽州 : ≪五代史記纂誤續補≫ 卷6에 다음과 같이 고증하였다. “살펴보건대 〈唐本紀〉에는 乾寧 元年(894)에 劉仁恭을 幽州 留後로 삼았고 4년(897)에 晉을 배반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劉守光傳〉에는 유인공이 유주 유후가 된 것은 晉이 실로 唐에 명을 청한 것으로 되어 있으니, 이때 어찌 ‘점거[據有]’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대개 阿保機가 君長의 자리를 맡은 지 9년째에 처음으로 雲中의 회합이 있었으니, 이때는 天復 5년(905)이다. 9년 전으로 미루어 올라가면 마땅히 건녕 3년(896)이 되어야 한다.[按唐本紀乾寧元年以仁恭爲幽州留後 四年叛晉 劉守光傳仁恭爲幽州留後 晉實請命于唐 此時安得曰據有 蓋阿保機立九年 始有雲中之會 是爲天復五年 推九年前 宜爲乾寧三年]”
역주13 摘星嶺 : 지금의 北京 房山의 다른 이름이다. ≪欽定日下舊聞考≫ 권130 〈京畿 房山縣〉에서 劉仁恭의 기사를 언급한 후 다음과 같이 고증하였다. “살펴보건대 방산은 王母山이라고도 부르니 ≪元和郡縣志≫에 보인다. 그러나 별도로 摘星이라는 명칭은 없다. ≪記纂淵海≫ 및 ≪大清一統志≫에는 모두 ‘방산의 摘星嶺이 높이 구름 위로 솟아 있다.’라고 하였고, 阮旻錫의 〈上房山記〉에는 ‘가장 높은 봉우리가 齋星陀이니 적성령이라고도 부른다.’라고 하였다. 이 嶺은 형세가 홀로 빼어나다. 그러므로 ≪唐書≫에서 마침내 적성령을 산의 이름으로 삼은 것이다. ≪水經注≫의 〈聖水〉 條 아래에 大房嶺을 大房山과 通稱하고 있는 것이 또한 그 예이다.[考房山又名王母山 見於元和郡縣志 别無摘星之名 記纂淵海及大清一統志皆謂房山摘星嶺高入雲霄 阮旻錫記謂峯之最高者爲齋星陀 亦謂摘星嶺也 此嶺形勢獨勝 故唐書遂以嶺名山 水經注於聖水條下 大房嶺與大房山通稱 亦其例也]”
역주14 阿保機 : 872~926. 契丹을 통합하여 遼나라를 건국한 耶律阿保機이다. 耶律은 姓氏이고 아보기는 이름이다. 본래 迭剌部의 수장인 耶律撒剌的의 장남으로 그의 어머니는 遙輦氏 출신인 蕭巖母斤이다. 907년에 요련씨의 痕德可汗의 뒤를 이어 可汗에 올랐으며 이때부터 선출 방식이던 가한을 세습으로 바꾸었다. 女眞을 정벌하고 渤海를 멸망시켰으며 발해 원정 후 돌아오다가 병사하였다.
역주15 劉守光 : ?~914. 幽州節度使 劉仁恭의 아들이다. 부친 유인공을 유폐하고 스스로 大燕皇帝라 칭하였으나 晉王 李存勖의 공격을 받아 부친과 함께 사로잡혀 참살되었다.
역주16 炭山 : 臧勵龢의 ≪中國古今地名大辭典≫에서는 다음과 같이 고증하였다. “살펴보건대 炭山의 이름은 遼나라 때 가장 드러났는데 예로부터 설이 많아 하나로 통일되지 않는다. 歐陽脩는 灤水가 탄산의 동북쪽에서 나온다고 했는데, 胡三省의 ≪資治通鑑注≫와 顧祖禹의 ≪方輿紀≫는 구양수의 설을 따랐으니, 대개 지금의 獨石口 바깥의 黑龍山이다. ≪明一統志≫에서는 ‘탄산은 萬全右衞 성 남쪽에 있다.’라고 하였는데, 尹耕의 ≪兩鎭三關通志≫와 孫世芳의 ≪宣府鎭志≫가 이를 따랐다. 지금 萬全縣 남쪽에 산이 있는데 그곳 사람들이 탄산이라고 칭하는 것이 이것이다. 고찰하건대 ≪遼史≫ 〈地理志〉에 탄산은 歸化州에 있다고 하였으니, 그 땅이 黑龍山과는 400리 쯤 된다. 그리고 난수가 이곳에서 나온다고는 말하지 않았으니 구양수의 설은 근거할 만한 것이 못 된다. ≪명일통지≫에서 지칭한 것은 그 산이 야트막하고 보잘것없어 대대로 군주가 巡游하는 땅에는 매우 걸맞지 않다. 오직 ≪口北三廳志≫에 興和城 동북쪽에 있다고 한 것이 가장 근사하니, 지금 그 말을 따른다.” 이 고찰을 따르면 탄산은 현재 중국 察哈爾省 張北縣 동북쪽에 있다.
역주17 ()[灤] : 저본에는 ‘’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灤’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8 述律 : 遼 太祖 耶律阿保機의 皇后인 述律平(879~953)으로 술률은 姓氏이다. 야율아보기가 907년에 天皇帝를 칭하고 建國하자 地皇后로 받들어졌으며 이후 다시 應天大明地皇后로 加上되었다. 야율아보기가 탕구트를 공격하러 떠났을 때 내부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황후가 이를 알고 군대를 이끌고 공격하여 평정하기도 하였으며 晉의 李存勖과 結盟하여 이존욱이 숙모의 예로 대우하기도 하는 등 거란의 軍政에 깊이 관여하며 큰 역할을 하였다. 야율아보기가 사망한 뒤 攝政하면서 국사를 주관하였고, 아들 耶律德光이 즉위하자 廣德至仁昭烈崇簡應天皇太后로 존숭되었다. 야율덕광 사후에 야율덕광 이전의 본래 황태자였던 耶律倍의 아들 耶律阮(世宗)이 스스로 황제에 오르자 황태후가 직접 親征하였으나 신하의 간언으로 뜻을 접었고 이후 祖州에 연금 당했다가 세상을 떠났다. 시호는 淳欽皇后이다.
역주19 李克用 : 856~908. 突厥 沙陀部으로 雲州를 거점으로 하여 세력을 키웠다. 黃巢의 난이 일어나자 唐나라 황제의 명을 받고 軍功을 세워 晉王에 봉해졌다. 후에 後梁을 세우는 朱溫과 대립하였으며 太原에서 포위되어 위협을 받던 중 병사했다. 아들 李存勗이 후량을 멸망시키고 後唐을 세우자 太祖로 추존되었다.
역주20 阿保機以兵三十萬會克用于雲州東城……阿保機遺晉馬千匹 : 저간의 사정과 말 1천 필을 주게 된 경위에 대해 ≪資治通鑑考異≫ 卷28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태조(이극용)가 阿保機의 族黨이 차츰 성대해진다고 여겨 그를 불렀다. 天祐 2년(905) 5월에 아보기가 部族 30만을 거느리고 雲州 東城에 이르렀는데, 장막 안에서 이야기하고 손을 맞잡으며 매우 기뻐하면서 형제가 되기로 약속하였다. 열흘을 머무르고 떠나면서 아우인 骨都舍利와 首領인 沮禀梅를 남겨두어 인질로 삼고 초겨울에 크게 擧兵하여 황하를 건너 反正하기로 약속하였다. 그런데 때마침 昭宗이 도적을 만나 중지하였다.[太祖以阿保機族黨稍盛召之 天祐二年五月 阿保機領其部族三十萬 至雲州東城 帳中言事握手甚歡 約爲兄弟 旬日而去 留男骨都舍利 首領沮禀梅爲質 約冬初大擧渡河反正 會昭宗遇盜而止]”
역주21 袍笏梅老 : 袍笏은 品級이 있는 文官을 가리킨다. 梅老는 문장상으로는 人名으로 보이기도 하나, 突厥 때 可汗과 함께 국사를 논의했던 부의룩(buyïruq, 梅錄)이라는 관직이 있었고 梅錄將軍이라는 관명이 있었으며 梅老 역시 音寫했을 때 이와 유사할 것으로 여겨지므로 혹 官名을 가리킬 수도 있으나, 未詳이다.
역주22 朝霞錦 : 朝霞는 태양이 막 솟아오를 때의 雲氣를 가리킨다. 이를 미루어보면 붉은 색을 주된 바탕으로 하여 무늬가 들어간 비단으로 이해할 수 있다. 조하금은 통일신라의 특산물로 唐나라에 조공물로 보내진 기록이 ≪三國史記≫ 〈新羅本紀〉에 보이며, 〈雜志〉에는 따로 조하금을 만드는 朝霞房을 둔 사실도 보인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거란의 조하금 역시 신라에서 遼河를 거쳐 거란으로 수출된 물품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역주23 記事 : 記事는 황제의 起居 및 政事의 기록을 가리킨다. 문맥상 중국의 제도에 관한 글을 보내준 것으로 이해되나 未詳이다.
역주24 莊宗 : 이극용의 아들로 후당을 창건하는 이존욱(885~926)의 廟號이다. 즉위한 뒤 거란을 공격하고 後燕과 後梁을 멸망시켰다. 말년에 魏州에서 兵亂이 일어나 나라가 혼란해지자 피신하던 중 伶人 郭從謙에게 살해당하였다.
역주25 終梁之世 契丹使者四至 : ≪五代史記纂誤續補≫ 권6에는 다음과 같이 고증하였다. “〈梁本紀〉를 살펴보건대 開平 원년(907) 4월에 거란의 아보기의 사신 袍笏 梅老가 온 것이 첫 번째이고, 5월에 거란이 사신을 보내온 것이 두 번째이고, 2년(908) 2월에 거란이 사신을 보내온 것이 세 번째이고, 3년(909) 閠8월에 거란이 사신을 보내온 것이 네 번째이다. 그리고 乾化 원년(912) 4월에 거란의 아보기가 사신을 보내온 것이 다섯 번째이니, 진실로 네 번만 온 것이 아니다.[按梁本紀開平元年四月 契丹阿保機使袍笏梅老來 一至也 五月契丹遣使者來 二至也 二年二月 契丹遣使者來 三至也 三年閏八月 契丹遣使者來 四至也 乾化元年四月 契丹阿保機遣使者來 五至也 固不至四至也]”
역주26 蔚州 : 지금의 河北省 蔚縣이다.
역주27 執其振武節度使李嗣本 : ≪五代史記纂誤續補≫ 권6에는 “살펴보건대 〈義兒傳 李嗣本傳〉에는 이사본이 戰歿했다고 되어 있다.[按義兒嗣本傳 作嗣本戰歿]”라고 고증하였다.
역주28 魏博 : 唐나라 때 설치한 方鎭의 이름으로 지금의 하북성 大名縣과 磁縣 및 河南省 滑縣, 山東省 冠縣 등이 관할지역이었다.
역주29 祈溝關 : 祈溝는 岐溝로도 표기한다. 지금의 하북성 涿縣 서남쪽 30리에 있었다. 唐나라 말엽에 關門을 설치하였다.
역주30 新州 : 唐나라 말엽에 설치한 州로 지금의 하북성 涿鹿縣에 治所가 있었다.
역주31 (聞)[間] : 저본에는 ‘聞’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間’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2 (水)[火] : 저본에는 ‘水’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 및 ≪舊五代史≫ 〈李嗣本列傳〉에 의거하여 ‘火’로 바로잡았다.
역주33 隷書之半增損之……以代刻木之約 : 契丹文字는 거란족이 遼를 건국한 후 만들어 사용한 문자이다. 거란문자는 大字와 小字로 나뉘는데 대자는 耶律阿保機가 漢字를 참작하여 만든 表意文字이며, 소자는 야율아보기의 동생 耶律迭刺가 위구르 문자를 참조하여 만든 表音文字이다. 여기에서 말한 것은 야율아보기의 대자를 가리킨 것이다. 요나라가 멸망한 후 金나라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었으므로 현재 그 뜻이 失傳되어 해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국립중앙박물관에 契丹小字七言絶句銅鏡이 소장되어 있다.
역주34 橫帳 : 御營이다. ≪遼史≫ 卷45 〈百官志〉에 “遼나라 풍속에 동쪽을 향하여 좌측을 숭상하였으므로 御帳은 동쪽을 향하고, 遙輦氏의 九帳은 남쪽을 향하고, 皇族인 三父帳은 북쪽을 향하였다. 그리하여 동서쪽이 經이 되고 남북쪽이 緯가 되었으므로 御營을 横帳이라 불렀다.[遼俗東嚮而尙左 御帳東嚮 遙輦九帳南嚮 皇族三父帳北嚮 東西爲經 南北爲緯 故謂御營爲横帳云]”라고 하였다.
역주35 西樓 : 遼나라의 祖州로 오늘날의 內蒙古 巴林左旗 부근이다. 야율아보기가 이곳에서 가을에 사냥을 하고 서루를 세웠으며 후에 성을 짓고 조주라 불렀는데, 야율아보기의 선조가 태어난 땅이므로 조주라고 이름한 것이다.
역주36 木葉山 : 요나라의 永州에 있던 산으로 潢河와 老哈河가 만나는 지점에 있다. 지금의 內蒙古自治區 동부에 있다. 전설에 따르면 흰 말을 타고 노합하를 내려온 神人과 푸른 소가 끄는 수레를 타고 황하를 내려온 天女가 이곳에서 결혼하여 여덟 자녀를 낳아 거란족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요사≫ 卷37 〈地理志〉에 “목엽산 위에 거란의 시조묘를 건립하였는데……매번 행군하거나 春秋의 時祭 때 반드시 흰 말과 푸른 소를 사용하여 근본을 잊지 않는 뜻을 나타낸다.[有木葉山 上建契丹始祖廟……毎行軍及春秋時祭 必用白馬青牛 示不忘本]”라고 하였다.
역주37 張文禮 : ?~921. 燕 땅 사람이다. 처음에는 劉仁恭의 牙將으로 있다가 滄州를 점거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였고, 鎭州로 도주하여 趙王 王鎔에게 의탁하였다. 晉王 李存勗이 後梁을 공격할 때 원조하였으며 후에 왕용을 살해하고 스스로 留後가 되었다. 겉으로는 이존욱에게 稱臣하면서 後梁과 내통하고 契丹과도 結交하다가 발각되어 이존욱이 토벌하자 놀라서 病死하였다.
역주38 王處直 : 863~923. 字는 允明으로 京兆 萬年 사람이다. 그의 사촌인 王郜가 義武軍節度使로 있을 때 왕처직은 後院中軍都知兵馬使로 있었는데, 朱溫이 義武軍을 공격하자 왕고는 달아나 李克用에게 歸附했고 왕처직은 주온에게 항복하여 太原郡王에 올랐다. 이후 주온이 後梁을 개국하자 北平王에 봉해졌다. 주온이 成德節度使 趙王 王鎔을 공격하자 왕처직은 脣亡齒寒 관계인 왕용이 제거되면 자신도 공격을 받을까 두려워 진왕 이존욱에게 의탁하였다. 이후 왕용이 張文禮에게 피살되고 이를 명분으로 이존욱이 장문례를 토벌할 때 호응하지 않아 이존욱의 노여움을 샀으며 아들을 몰래 거란에 보내 이존욱을 배반하였다. 그러나 거란과의 通交를 원하지 않았던 定州의 군졸들과 의붓아들 王都의 거사로 구금되었다가 피살되었다.
역주39 遣其子郁說(세)契丹 使入塞以牽晉兵 : ≪五代史記纂誤續補≫ 卷6에 다음과 같이 고증하였다. “살펴보건대 아래 글에 또 ‘王郁이 거란으로 떠나고 난 뒤 왕처직은 아들 왕도에게 유폐되었다.’라고 하여, 한결같이 왕욱이 본디 定州에 있던 사람처럼 말하였다. 그러나 〈王處直傳〉에는 ‘왕처직에게 孼子인 왕욱이 있었는데, 王郜가 晉나라로 달아날 때 왕욱 또한 달아나니 晉王이 자신의 딸을 아내로 삼아주고 新州防禦使로 삼았다. 왕처직은 莊宗이 반드시 장문례를 토벌하려는 것을 보고 더욱 스스로 의심하여, 이에 몰래 왕욱과 交通하여 그로 하여금 북쪽의 거란을 불러들여 변경으로 들어오게 하여 진나라를 견제하게 했다. 또 왕욱을 불러 후사로 삼겠다고 허락하였다. 왕도가 이 사실을 듣고 좋아하지 않았고 정주 사람들도 모두 거란을 불러들여서는 안 되니 스스로 우환을 남기게 될까 염려된다고 말했으나 왕처직은 따르지 않았다. 왕욱은 진나라로 달아난 뒤로부터 왕처직이 자신을 용납하지 않으리라 걱정해 왔는데, 이 일로 말미암아 크게 기뻐하면서 그 틈을 타서 후사의 자리를 취할 수 있으리라 여겼다.’라고 되어 있다. ≪資治通鑑≫과 ≪遼史≫ 〈王郁傳〉에 근거할 때 ≪新五代史≫의 이 부분은 잘못된 말이다.[按下又曰 郁已去 處直爲其子都所廢 壹似郁素在定者 王處直傳 處直有孽子郁,當郜之亡于晉也 郁亦奔焉 晉王以女妻之 爲新州防禦使 處直見莊宗必討文禮 益自疑 乃陰與郁交通 使郁北招契丹入塞以牽晉 且許召郁爲嗣 都聞之不悅 而定人皆言契丹不可召 恐自貽患 處直不聽 郁自奔晉 嘗恐處直不容 因此大喜 以爲乘其隙可取之 證以通鑑遼史郁傳 此失辭矣]”
역주40 趙王王鎔 王趙六世 : 王鎔(873~921)은 그 선조가 回紇 사람이다. 10살 때 부친 王景崇을 이어 成德軍節度使가 되었으며 朱溫이 後梁을 건국하자 신하를 자청하여 趙王에 봉해졌다. 후에 이존욱에게 붙었다. 軍政을 장악하지 못하고 신하들에게 휘둘리다가 장문례에게 살해당하였다. 왕용이 조나라에서 6대 동안 왕 노릇 했다는 것은, 왕용을 포함하여 그 윗대로 王景崇-王紹鼎-王元逵-王廷湊-王武俊의 6대가 성덕군 절도사를 지내면서 그 지역의 실권을 장악한 사실을 가리킨다.
역주41 (郁)[都] : 저본 및 사고전서본에는 ‘郁’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都’로 바로잡았다.
역주42 望都 : 지금의 河北省 保定市 望都縣이다.
역주43 環秸(갈) : 장막 안에 볏짚 등을 이용해 만든 깔개이다.
역주44 同光之間 : 同光은 五代 後唐 莊宗의 연호로 923~926년 사이에 사용되었다.
역주45 愼州 : 唐나라 때 설치한 羈縻州이다. 기미주는 변경 지역 또는 변경 밖에 거주하는 이민족 집단을 간접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구역으로, 각 구역의 이민족 수장에게 당나라의 관직인 都督이나 知事 등을 제수하고 변경 지역의 당나라 관리의 감독을 받게 했다. 투르크, 위구르, 티베트, 土谷渾, 契丹, 靺鞨 등 많은 이민족 지역에 설치된 바 있다. 愼州의 治所는 지금의 河北省 涿州市 서북쪽에 있었다.
역주46 穹廬 : 遊牧民族들의 이동식 천막집이다. 오늘날 몽골의 게르(Ger)도 穹廬에 속한다.
역주47 河南北有兩天子 : 당시 後唐 莊宗은 後梁을 멸망시키고 河南의 洛陽에 도읍했는데, 河北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부친 李克用의 養子였던 李嗣源에게 반란을 토벌하게 하였다. 그 와중에 장종은 낙양에서 부하에게 살해당했고 이사원은 아들 李從珂와 사위 石敬瑭 등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어 반란을 수습하고 帝位에 올랐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본 史抄의 本紀 부분의 〈唐莊宗紀〉와 〈唐明宗紀〉 및 雜傳 부분의 〈皇甫暉傳〉 등에 자세하다.
역주48 晉王 : 후당 장종의 부친인 이극용이다.
역주49 突欲 : 900~937. 耶律阿保機의 長子로 916년에 皇太子에 책봉되었고 926년 거란이 발해를 멸망시키고 세운 東丹國의 왕이 되었다. 황제가 되지는 못했으나 그의 아들 耶律阮이 遼나라 3대 황제인 世宗이 되자 義宗 文獻欽義皇帝로 추존되었다.
역주50 蹊(혜)田奪牛 : 작은 잘못을 지나치게 벌한다는 말이다. ≪春秋左氏傳≫ 宣公 11년에 “소를 끌고 남의 밭을 지났는데 밭의 주인이 그 소를 빼앗을 경우, 소를 끌고 남의 밭을 지나간 자에게 진실로 죄가 있지만 그렇다고 그 소를 빼앗는 것은 벌이 너무 무겁다.[牽牛以蹊人之田 而奪之牛 牽牛以蹊者 信有罪矣 而奪之牛 罰已重矣]”라고 하였다.
역주51 東丹國 : 동쪽에 있는 契丹이라는 뜻이다. 거란이 926년에 발해를 멸망시키고 발해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세운 나라이다. 遼 成宗 때인 928년에 없어졌다.
역주52 元帥太子耀屈之 : 902~947. 耀屈之는 遼나라 2대 황제인 太宗 耶律德光의 본명으로 堯骨로도 표기한다. 元帥太子는 그가 황제가 되기 전의 칭호이다. 야율아보기가 죽고 그의 모친 述律平이 攝政을 하였는데 술률평이 장자인 돌욕 대신 야율덕광을 황제로 삼자 돌욕은 後唐에 투항하여 明宗 이사원의 휘하로 들어갔다. 이후 명종이 죽고 후당에서 황위 계승을 둘러싼 내분이 일어나자 돌욕이 야율덕광을 불러들였고 야율덕광은 군대를 이끌고 남하하여 후당을 멸망시켰다. 이후 들어선 後晉 역시 야율덕광에 의해 멸망당했으나 漢族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開封을 포기하고 幽州로 돌아가던 중 病死하였다.
역주53 党項 : 중국 서북방의 이민족으로 唐兀로 표기하기도 하는 탕구트(Tangut)이다. 중국이 隋․唐의 통일왕조였을 때에는 중국의 원정군과 吐蕃의 성장으로 세력이 위축되어 있었으나 당나라 말기 黃巢의 난으로 중국이 어지러울 때 당항족 平夏部의 수장이었던 拓跋思恭이 당나라를 도와 난을 평정한 이래 李氏 성을 하사받고 節度使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역주54 王德明 : 五代 때 成德軍留後였던 張文禮(?~921)의 改名이다. 장문례는 劉仁恭의 牙將 출신으로 유인공의 아들 劉守文을 따라 滄州를 鎭守하다가 유수문이 幽州로 돌아간 사이 창주를 점거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곧 패배하여 趙王 王鎔에게 의탁하여 왕용의 의붓아들이 되어 이름을 왕덕명으로 고쳤는데, 뒤에 왕용을 살해하여 자리를 차지하고 다시 이름을 장문례로 고쳤다. 이후 晉王 李存勖을 섬기는 한편 몰래 後梁 및 契丹과도 내통하다가 이존욱이 자신을 치려한다는 소식을 듣고 發病하여 죽었다.
역주55 崇文令公 : 韓延徽가 거란에서 崇文館大學士를 지냈으므로 이렇게 부른 것이다.
역주56 王都 : ?~929. 본래 성명은 劉雲郞으로 中山 徑邑 사람이다. 처음에는 李應之라는 사람의 養子였다가 이응지가 義武軍節度使 王處直의 병을 낫게 해 준 이후 신임을 얻자 당시 아들이 없던 왕처직이 왕도를 양자로 들였다. 후에 왕처직이 몰래 契丹의 耶律阿保機와 내통하면서 晉王 李存勖을 배반하려 했는데, 定州 사람들은 그것을 원하지 않아 마침내 왕도를 왕처직 대신 추대하였다. 왕도는 왕처직을 연금한 뒤 결국 살해하고 이존욱에게 투항하였다. 이존욱은 자신의 아들 李繼岌을 왕도의 여식에게 장가보내고 왕도를 의무군절도사로 삼았다. 그 뒤 평소 왕도를 싫어했던 明宗 李嗣源이 즉위한 후 그를 제거하려 하자 왕도는 거란과 내통하여 위기를 벗어나려 했는데 명종이 보낸 토벌군에 성이 함락되자 스스로 焚死하였다.
역주57 王晏球 : 873~932. 五代 때 後梁과 後唐의 장수이다. 字는 瑩之로 洛陽 사람이다. 朱溫에게 발탁되었고 주온이 후량 太祖로 즉위하자 右千牛衛將軍이 되었다. 후량 末帝 때 龍驤四軍指揮使로 있다가 말제의 사망 소식을 듣고 후당에 투항하여 李氏 성을 하사받아 李紹虔으로 개명하였다. 이후 明宗 때에 청하여 본래 이름을 회복하였다. 王都가 반란을 일으키자 招討使가 되어 토벌하고 거란군을 패퇴시켰으며 이 공으로 天平軍節度使가 되었다.
역주58 蠟丸書 : 밀랍을 뭉쳐 그 안에 서신을 넣은 것으로 비밀스럽게 통신할 때 사용하였다.
역주59 惕(척)隱 : 契丹의 관직명으로 皇族에 관한 일을 담당했다. ≪遼史≫ 卷45 〈百官志〉에 “大惕隱司는 太祖가 설치하였으니 皇族의 政教를 관장하였다.[大惕隱司 太祖置 掌皇族之政教]”라고 하였다.
역주60 趙德鈞 : ?~937. 본명은 趙行實이다. 後唐 莊宗 이존욱을 섬겨 李紹斌이라는 이름을 받고 北平王에 봉해졌으며 幽州 지방에서 강력한 군세를 지니고 행세하였다. 후당 말엽에 거란과 내통하면서 나라를 찬탈하려고 시도하다가 거란 및 石敬瑭이 세운 後晉 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거란에 잡혀가 옥중에서 죽었다.
역주61 (十)[人] : 저본에는 ‘十’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人’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2 瑞州 : 오늘날의 遼寧省 지역에 해당한다.
역주63 (灾)[突] : 저본에는 ‘灾’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突’로 바로잡았다.
역주64 榆關 : 隋나라 開皇 3년(583)에 최초로 설치하였으며 지금의 山海關 부근에 있다. 산해관이 설치되고 난 뒤로는 산해관의 별칭으로도 쓰였다.
역주65 兎耳覆舟山 : 두 산 모두 河北省 撫寧縣 부근에 있다.
역주66 唐時置東西狹石淥疇米磚長揚黃花紫蒙白狼等戍 : 모두 榆關 인근에 설치했던 변경의 요새들이다. ≪新唐書≫ 卷39 〈地理志〉의 平州 北平郡(지금의 河北省 盧龍縣) 조항에는 본문에 나오는 요새를 포함하여 溫溝, 白望, 昌黎, 遼西까지 모두 12개의 요새를 永泰 元年(765)에 설치했다고 되어 있다. ≪신당서≫에는 ‘淥疇’가 ‘錄疇’로 되어 있다.
역주67 鹽溝 : 閻溝로도 표기하며 오늘날의 北京市 方山縣 일대이다. 이곳에 鹽溝河가 있었다.
역주68 揆剌泊 : ≪遼史拾遺≫에는 “納蘭泊”, ≪文獻通考≫에는 “庫爾泊” 등으로 문헌에 따라 표기가 조금씩 다르다. 정확한 위치는 未詳이나 ≪通鑑釋文辨誤≫ 卷12에서는 “史炤의 ≪通鑑釋文≫에 ‘납란박은 地名이니 幽州와 가깝다.’라고 하였다. 내가 살펴보건대 歐陽公의 〈四夷雜錄〉에 ‘당시 유주에서 방비를 세우니 거란 군주가 서쪽으로 橫帳을 옮겨 납란박에 거하면서 雲州와 朔州로 나와 노략질하였다.’라고 하였으니, 납란박은 운주와 삭주의 邊塞 바깥에 있는 것이지 유주와 가까운 곳이 아니다.[史炤釋文曰 納蘭泊 地名 近幽州 余按歐陽公四夷雜錄 時幽州有備 契丹主西徙橫帳 居納蘭泊 出寇雲朔之間 則納蘭泊在雲朔塞外 不近幽州也]”라고 하였다.
역주69 石敬瑭 : 892~942. 沙陀部 사람으로 李克用의 部將이던 臬捩鸛의 아들이다. 後唐 莊宗과 明宗을 섬겨 전공을 올렸으며 명종의 딸과 혼인하였다. 명종이 帝位에 오르는데 공이 있었으며 河東節度使로 太原을 鎭守하였다. 末帝(廢帝)가 그를 제거하려 하자 契丹에 稱臣하면서 耶律德光과 父子 관계를 맺고 그의 원조를 받아 후당을 멸하고 後晉을 세워 高祖가 되었다.
역주70 應順清泰 : 應順은 후당 閔帝 李從厚의 연호로 934년에 사용되었고, 清泰는 후당 末帝 李從珂의 연호로 934~936년에 사용되었다.
역주71 (敞)[敝] : 저본에는 ‘敞’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敝’로 바로잡았다.
역주72 石敬瑭反 : 石敬瑭이 後唐의 末帝(廢帝) 李從珂에게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역주73 雁門 : 지금의 山西省 代縣이다.
역주74 晉安寨 : ≪舊五代史≫ 卷48 〈末帝紀 下〉에 “나머지 무리를 수습하여 晉祠 남쪽의 진안채를 지켰다.[收合餘衆 保于晉祠南晉安寨]”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晉祠는 산서성 太原縣 서남쪽 甕山 기슭에 晉水가 발원하는 곳에 있는 사당으로, 晉나라의 시조이자 周 成王의 아우인 唐叔虞를 봉안한 곳이다.
역주75 團柏谷 : 산서성 祁縣 동남쪽 60리 지점에 있다. 團柏鎭이라고도 한다.
역주76 (皆)[自] : 저본에는 ‘皆’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自’로 바로잡았다.
역주77 楊光遠 : ?~944. 字는 德明,本名은 阿檀으로 沙陀部 사람이다. 후당 莊宗을 섬겨 幽州馬步軍都指揮使가 되었고, 석경당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張敬達을 따라 석경당을 토벌하다가 晉安寨에서 거란군에게 포위당하였다. 결국 장경달을 살해하고 後晉에 투항하여 宣武軍節度使가 되었다. 후진에서 天平軍節度使, 魏博行府節度使, 西京留守 등을 역임했고 平盧節度使로 나갔을 때 거란과 결탁하여 후진에 반란하였다가 李守貞에게 패배하여 피살되었다.
역주78 大相溫 : 遼나라의 將帥 職名으로 ≪遼史≫ 卷46 〈百官志〉에 보이는 ‘大詳衮’이 바로 이것이다. 동일 기사가 ≪舊五代史≫ 卷48 〈末帝紀 下〉에서는 “晉 高祖가 오랑캐 왕과 함께 潞州에 이르렀다. 오랑캐 왕이 蕃將 대상곤을 보내 5천의 騎兵을 거느리고 진나라 고조를 전송하여 남쪽으로 가게 하였다.[晉髙祖與戎王至潞州 戎王遣蕃將大詳衮率五千騎 送晉髙祖南行]”라고 되어 있다. ≪구오대사≫ 〈권48考證〉에 “大詳衮은 舊本에는 大相温으로 되어 있으니, 지금 고친다.[大詳衮舊作大相温 今改]”라고 하였다.
역주79 天顯 : 遼 太宗 耶律德光의 연호로 926~938년 사이에 사용되었다.
역주80 (刓)[邧] : 저본에는 ‘刓’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邧’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1 蓨縣 : 蓨縣은 지금의 河北省 景縣이다. 漢나라 때 脩縣을 설치하였고 隋나라 때 蓨縣으로 고쳤다.
역주82 莊明之世 德鈞鎭幽州十餘年 : ≪五代史記纂誤續補≫ 卷6에 다음과 같이 고증하였다. “살펴보건대 위의 글에서는 ‘莊宗 말년에 趙德鈞이 幽州를 鎭守할 때’라고 하였고, ≪舊五代史≫ 〈趙德鈞傳〉에는 ‘장종을 따라 梁나라를 평정하고 滄州節度使로 승진하고 同光 3년(925, 장종3)에 자리를 옮겨 유주를 진수하였다.’라고 하였다. 장종과 明宗의 治世는 겨우 11년이고, 동광 3년에 유주를 진수했을 때부터 長興 4년(933, 명종7)에 이르기까지는 9년에 그친다. 그런데 ≪구오대사≫에서도 ‘십여 년’이라고 하였으니, 이는 廢帝 때까지 겸하여 말한 것이다. 이 부분은 오류이다.[按上文莊宗之末 趙德鈞鎭幽州 薛史德鈞傳 從平梁 遷滄州節度使 同光三年移鎭幽州 莊明之世僅十一年 以同光三年鎭幽州 至長興四年 止九年 薛史亦作十餘年 蓋兼廢帝時言之 此誤]”라고 하였다.
역주83 飛狐 : 漢나라 때의 廣昌縣으로, 隋나라 때 비호로 이름을 고쳤다. 지금의 河北省 淶源縣에 해당한다.
역주84 吳兒 : 골짜기의 이름으로 지금의 山西省 黎城縣 동북쪽 太行山의 입구이다. ≪資治通鑑≫의 胡三省의 주석에 “오아곡은 潞州 黎城 동북쪽, 涉縣 서남쪽에 있다.”라고 하였다.
역주85 西唐 : 지금의 산서성 沁縣 서북쪽으로 西湯으로도 표기한다.
역주86 犬兔俱斃 : 쫓는 자와 쫓기는 자가 모두 죽고 엉뚱한 사람이 이익을 차지한다는 뜻이다. 여기서는 조덕균 부자가 황제의 자리를 탐하다가 조덕균 부자와 폐제가 모두 죽고 거란이 이익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말이다. ≪戰國策≫ 〈齊策〉에 “齊나라가 魏나라를 치려 하자 淳于髡이 齊王에게 말하기를, ‘韓子盧라는 개는 천하에서 가장 빠른 개이고 東郭逡이라는 토끼는 海內에서 가장 빠른 토끼입니다. 한자로가 동곽준을 쫓아 세 바퀴나 산을 돌고 다섯 번이나 산을 뛰어올랐습니다. 토끼는 앞에서 온 힘을 다해 달렸고 개는 뒤에서 몸이 부서지도록 쫓다가 개와 토끼가 모두 지쳐서 각각 그 자리에서 죽었습니다. 농부가 이것을 보고 아무런 수고도 들이지 않고 이익을 독차지했습니다.’라고 하였다.[齊欲伐魏 淳于髡(곤)謂齊王曰 韓子盧者 天下之疾犬也 東郭逡者 海內之狡兔也 韓子盧逐東郭逡 環山者三 騰山者五 兔極於前 犬廢於後 犬兔俱罷(피) 各死其處 田父見之 無勞倦之苦而擅其功]”라고 하였다.
역주87 及已立晉 又得雁門以北幽州節度管內 : ≪五代會要≫ 卷29에 “晉나라 天福 원년(936) 11월에 高祖가 帝位에 올랐다. 耶律德光이 援助한 공로가 있으므로……雁門 이북과 幽州에 소속된 縣들을 할양하였다.[晉天福元年十一月 高祖踐位 以德光有援助之力……割雁門以北及幽州所屬縣]”라고 하였다.
역주88 三十萬 : ≪五代會要≫ 卷29에는 十三萬으로 되어 있다.
역주89 太常鹵簿 : 太常의 鹵簿라는 뜻이다. 태상은 국가의 儀禮와 禮樂 등을 담당했던 太常寺이다. 鹵簿에서 鹵는 방패, 簿는 행렬의 차례를 기록한 장부로 帝王이 거둥할 때의 儀仗 또는 그 행렬을 가리킨다.
역주90 出帝 : 914~964. 後晉 高祖 石敬瑭의 조카인 石重貴이다. 少帝로도 불린다. 진나라에서 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내고 鄭王과 齊王에 연이어 봉해졌다. 석경당이 죽자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는데 거란에 대해 자신을 손자라고 할 뿐 신하라 칭하지 않고 독자 노선을 걸어 거란과 반목하였다. 즉위 초에 두 차례에 걸친 거란의 침공을 막아냈으나 開運 3년(946)에 거란의 침입을 막지 못하고 포로로 잡혀 負義侯에 봉해졌으며 18년 뒤 建州에서 죽었다.
역주91 景延廣對契丹使者語 獨不遜 : 본 史抄 卷8의 〈晉臣景延廣傳〉에 자세하다.
역주92 劉知遠 : 895~948. 突厥 沙陀族 출신으로 後唐 明宗을 섬기다가 이후 石敬瑭을 도와 後晉을 건국하는데 공을 세우고 군권을 장악했으며 河東節度使, 中書令 등을 역임하였다. 거란이 후진을 침공했을 때 사령관이 되어 出兵을 거부하다가 出帝가 거란에 잡혀가자 晉陽에서 帝位에 올라 五代 後漢을 세우고 汴京에 도읍하였다. 즉위 1년 만에 병사하였으며 廟號는 高祖이다.
역주93 秀容 : 지금의 山西省 忻縣 일대에 해당한다.
역주94 元城 : 지금의 河北省 大名縣에 해당한다. 五代 후당 때 興唐으로 부르다가 후진 때 다시 元城이라 하였다.
역주95 黎陽 : 지금의 하북성 浚縣 일대에 해당한다.
역주96 馬家渡 : 麻家渡로도 쓰며, 지금의 山東省 鄄城縣 일대로 黃河의 나루였다.
역주97 戚城 : 지금의 河南省 濮陽縣 북쪽에 있다.
역주98 鼓城 : 본래는 春秋시대 鼓國의 昔陽邑으로 隋나라 때 昔陽縣을 설치하였다가 鼓城으로 이름을 고쳤다. 治所가 지금의 河北省 晉縣에 있었다.
역주99 安陽河 : 지금의 하북성 북쪽 경계에 있는 洹水이다.
역주100 紫披襖 : 披襖는 披襖子로 겉에 걸쳐 입는 禮服의 일종이다. 또 披風이라는 망토의 일종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이는 武士들이 두르던 것이기도 하다. 문맥상 紫披襖는 晉나라 君臣 혹은 軍士의 복색을 가리키는 듯하다.
역주101 漳水 : 지금의 山西省에서 發源하여 衛河로 흘러들어가는 漳河이다.
역주102 [南] : 저본에는 빈칸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와 四庫全書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03 澶州 : 지금의 하북성 濮陽縣 일대이다. 후대인 宋나라 때 遼 成宗과 宋 眞宗이 澶淵의 맹약을 맺고 화친했던 곳이기도 하다.
역주104 古北 : 지금의 하북성 密雲縣 동북쪽에 있는 古北口이다. 虎北口, 長城口라고도 한다.
역주105 陽城衛村 : 陽城은 지금의 河北省 淸苑縣 서남쪽의 지명이고, 衛村은 지금의 山西省 潞城縣 경내의 촌락 이름이다.
역주106 奚車 : ≪資治通鑑≫ 卷284의 주석에 “奚族 사람들은 산을 벌목하고 밭농사를 짓고 수레를 깎아 만드는 것을 생업으로 하니, 거란의 수레는 모두 해족에게서 취한다. 살펴보건대 輜車의 제도는 중국과 같은데 뒤가 넓고 앞은 줄였으며 材木이 부실해 부서지기 쉬우므로 무거운 것은 실을 수 없고 山地를 다니기에 편하다. 바퀴통이 길고 바퀴는 넓으며, 바퀴의 테는 두께가 4치가 못 되고 수레의 뒤턱 나무는 5치가 못 된다. 수레를 탈 때 낙타에게 멍에를 지우고 수레 위에는 물들인 휘장을 달며 부유한 자는 毛氈 휘장과 무늬 비단을 장식한다.[奚人業伐山陸種斵車 契丹之車皆資于奚 按輜車之制如中國 後廣前殺而無般 材儉易敗 不能任重而利于行山 長轂廣輪 輪之牙 其厚不能四寸 而軫之材不能五寸 其乗車駕之以駞 上施㡛帷 富者加氈幰文繡之飾]”라고 하였다.
역주107 高牟翰 : ?~959. 高模翰, 高松으로도 표기하며 본래 渤海 사람이다. 발해가 멸망할 때 高麗로 망명했다가 죄를 짓고 다시 遼나라로 도망쳤다. 요나라 군대가 石敬瑭을 도우러 출병할 때 많은 공을 세웠으며 後晉이 요나라를 배반하자 統軍副使가 되어 후진을 격퇴하였다. 계속 승진하여 開府儀同三司, 左相에까지 이르렀다.
역주108 瀛州 : 後魏때 설치한 지역 명칭으로 시대에 따라 河間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지금의 河北省 河間縣이다.
역주109 中渡 : 지금의 하북성 定縣 동남쪽에 있던 다리 이름이다.
역주110 欒城縣 : 春秋시대 때 晉나라의 欒邑으로 漢나라 때 關縣을 설치하고 後漢 때 欒城縣으로 고쳤다. 시대에 따라 廢置를 거듭하다가 唐나라 때 欒氏로 이름을 고쳤고 五代 後唐 때 옛 이름을 회복하였다. 지금의 하북성 趙縣 서남쪽이다.
역주111 龍鳳赭(자)袍 : 龍鳳 무늬가 새겨진 赭袍이다. 자포는 赭黃袍로 붉은색과 황색이 들어간 천자의 곤룡포를 가리킨다.
역주112 傅(往)[住]兒 : ‘住’는 저본에는 ‘往’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住’로 바로잡았다. 傅住兒는 ≪舊五代史≫와 ≪遼史≫에서는 富珠哩로 표기하고 있다.
역주113 太常 : 국가의 祭祀와 禮樂을 담당하던 관청이다.
역주114 封丘門 : 汴京 北城에 있던 城門의 이름이다.
역주115 赤岡 : 지금의 河南省 開封市 동북쪽의 지명이다.
역주116 黃龍府 : 지금의 吉林省 農安縣에 治所를 두었던 遼나라의 행정 구역이다.
역주117 門廡殿廷……以爲猒勝 : 개를 찢어 가죽을 건다는 것은 磔攘을 가리킨다. 책양은 犧牲을 찢어 갈라 사방의 문에 걸어두는 것이다. ≪禮記≫ 〈月令〉에도 이러한 방식이 보인다. 猒勝은 주문이나 저주 등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제압하여 복종시키는 주술을 가리킨다.
역주118 氈(전)裘左衽 : 氈裘는 북방의 유목민족들이 입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이고, 左衽은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는 것으로 오랑캐의 풍속이다.
역주119 (唐高)[高唐]英 : 저본에는 ‘唐高英’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高唐英’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20 貂蟬冠 : 文武高官들이 쓰던 冠으로 담비 꼬리와 매미 날개로 장식하였다. 문관들이 쓰는 모자에는 매미의 날개 같은 무늬를 수놓아 청렴함을 상징하고, 무관의 모자에는 담비의 꼬리로 장식하여 추운 북방 지방에서 고생함을 상징했다고 한다.
역주121 晉遣馮道奉冊北朝 : 契丹의 도움을 받아 石敬瑭이 後晉을 건국한 후, 야율덕광이 中書令 韓熲을 보내 석경당을 英武明義皇帝로 봉하는 冊文을 받들어 올리게 하자 석경당이 다시 趙瑩과 馮道 등을 보내 야율덕광과 그 모친의 尊號를 적은 冊文을 받들어 올린 일을 말한다.
역주122 靴袍 : 鞾袍라고 쓰기도 하며 天子가 입는 복식의 일종이다. 靴는 검은 가죽신이며 袍는 붉은색의 비단옷이다.
역주123 (禦)[御] : 저본에는 ‘禦’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御’로 바로잡았다.
역주124 陵寢下宮 : 下宮은 親廟라는 말과 같다. 능침에 세운 전각을 가리킨다.
역주125 (擧)[奉]表起居 : 起居表를 올린다는 말이다. 기거표는 안부를 묻는 表文이다. ‘奉’은 저본에는 ‘擧’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奉’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26 (孝)[學] : 저본에는 ‘孝’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學’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27 (十)[千] : 저본에는 ‘十’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千’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28 胡兵人馬……號爲打草穀 : 契丹의 兵制에 따르면 거란군은 본래 人馬에게 별도로 양식이나 건초를 제공하지 않고 기병들이 침략지를 약탈하여 자급하게 하였으며 이를 打草穀이라 하였다.(≪遼史≫ 卷34 〈兵衛志上 兵制〉)
역주129 漢高祖 : 五代 後漢의 高祖 劉知遠이다.
역주130 自黎陽渡河……登愁死岡 : 黎陽은 지금의 河南省 濬縣 인근에 있던 지명이다. 湯陰은 지금의 하남성 湯陰縣 서남쪽에 治所를 두었다. 愁死岡은 愁思岡이라고도 한다. ≪資治通鑑≫ 卷220 〈唐紀36〉의 주석에 “愁思岡은 鄴城 서쪽에 있다. 歐陽脩의 ≪新五代史≫에 근거하면 相州 탕음현에 있다. 薛居正의 ≪舊五代史≫에서는 ‘탕음현 경계에 한 언덕이 있는데 그 지역 사람들은 愁死岡이라 부른다.’라고 하였다.[愁思岡在鄴城西 據歐史在相州湯陰縣 薛居正曰湯陰縣界有一岡 土人謂之愁死岡]”라고 하였고, ≪明一統志≫ 卷28 〈彰徳府 愁思岡〉에 “安陽縣 경내에 있다. 陳思王 曺植이 魏 文帝에게 용납받지 못하여 이곳에서 슬프게 읊조렸으므로 이런 명칭이 붙었다. 거란 군주가 晉 少帝 및 모후와 보좌하는 신하들을 잡아 이 언덕에 이르렀다. 후세 사람들이 와전하여 愁死岡이라 불렀다.[在安陽縣境内 陳思王植不爲魏文帝所容 於此悲吟因名 契丹主執晉少帝及母后輔臣至此岡 後人訛呼為愁死岡]”라고 하였다.
역주131 (觸髏千)[髑髏十] : 저본에는 ‘觸髏千’으로 되어 있으나, ≪新五代史≫에 의거하여 ‘髑髏十’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32 臨洺 : 漢나라 때의 易陽縣으로 지금의 河北省 永年縣에 治所가 있었다.
역주133 殺胡林 : 지금의 하북성 欒城縣 서북쪽에 있다. ≪困學紀聞≫ 卷10 〈地理〉의 주석에 “≪紀異錄≫에는 ‘숲 안에서 여우[狐]를 쏘아 죽였기 때문에 이름한 것이다.’라고 하였고, ≪續通典≫에는 ‘唐 則天武后 때 突厥을 습격하여 오랑캐들이 이곳에서 죽었으므로 이름한 것이다.’라고 하였다.[紀異錄云 林内射殺狐 因以名之 續通典云 唐天后時 襲突厥 群胡死於此 故以名之]”라고 하였다.
역주134 兀欲 : 918~951. 遼 世宗으로 자는 徳謹, 거란의 성은 耶律, 이름은 兀欲이다. 漢式 성은 劉, 이름은 阮이다. 거란의 성에 한식 이름을 붙여 耶律阮이라고도 부른다. 太宗 야율덕광의 조카이다. 947년에 태종이 죽은 뒤 恒州에서 즉위했고 述律太后가 세운 태종의 동생 李胡와 싸우다가 화해하고 태후와 이호를 祖州로 옮겼다. 951년 耶律察割에게 피살당했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7)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