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5)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史建瑭 鴈門人也 晉王爲鴈門節度使 其父爲九府都督하야 從晉王入關하야 破黃巢하야 復京師하고
擊秦宗權于陳州할새 常將騎兵爲先鋒하다 晉王東追黃巢于寃胊라가 還過梁할새 軍其城北하다
이어늘 獨敬思與薛鐵山賀回鶻等十餘人侍 晉王醉하야 留宿梁驛하니 梁兵夜圍而攻之
敬思登驛樓하야 射殺梁兵十餘人이라 會天大雨하니 晉王得與從者俱去하야 縋尉氏門以出하고 而敬思爲梁追兵所得하야 見殺이라
建瑭少事軍中爲裨校러니 自晉降丁會 與梁相距於潞州 建瑭已爲晉兵先鋒하니 梁兵數爲建瑭所殺하야 相戒常避史先鋒하다
梁遣王景仁攻趙 晉軍救趙하니 建瑭以先鋒兵出井陘하야 戰于柏鄕이라
梁軍爲方陣하야 分其兵爲二하야 汴宋之軍居左하고 魏滑之軍居右어늘
周德威擊其左하고 建瑭擊其右하니 梁軍皆走 遂大敗之 以功加檢校左僕射하다
晉攻燕한대 燕王劉守光乞師于梁하니 梁太祖自將擊趙하야 圍棗彊蓨縣이라
是時 晉精兵皆北攻燕이요 獨符存審與建瑭 以三千騎屯趙州 梁軍已破棗彊한대 存審扼下博橋하다
建瑭分其麾下五百騎爲五隊하야 一之衡水하고 一之南宮하며 一之信都하고 一之阜城하며
하야 約各取梁芻牧者十人會下博하다 至暮 擒梁兵數十하야 皆殺之하고 各留其一人하야 縱使逸去하야
告之曰 晉王軍且大至라하다 明日 建瑭率百騎하야 爲梁旗幟하고 雜其芻牧者하야 暮叩梁營하야 殺其守門卒하고 縱火大呼하야 斬擊數十百人하다
而梁芻牧者所出 各遇晉兵이라가 有所亡失하고 其縱而不殺者 歸而皆言晉軍且至라하다
梁太祖夜拔營去한대 蓨縣人追擊之하니 梁軍棄其輜重鎧甲 不可勝計 梁太祖方病이러니 由是增劇하다
而晉軍以故得幷力以收燕者 二人之力也 後從莊宗入魏博하야 敗劉鄩於故元城하니 累以功歷貝相二州刺史하다
晉軍討張文禮於鎭州할새 建瑭以先鋒兵下趙州하야 執其刺史王鋋하다
兵傅鎭州 建瑭攻其城門이라가 中流矢卒하니 年四十
建瑭分五百騎爲五隊하야 散入五縣하야 於以各獲梁之芻牧人者하야 什殺其九하고 而各縱其一以歸하야 而亂梁之軍하니 於以拔梁之營而追擊之
吾不意五代時 有戰將若此 而歐陽公所當叙事處 亦不下하니 可愛可愛로다


03. 史建瑭傳記
史建瑭鴈門 사람이다. 晉王(李克用)이 鴈門節度使로 있을 때 그 부친 史敬思九府都督이 되어 진왕을 따라 潼關에 들어가 黃巢를 격파하여 京師를 수복하였고,
陳州에서 秦宗權을 공격할 때 언제나 騎兵을 거느리고 先鋒이 되었다. 진왕이 동쪽으로 황소를 추격하여 寃胊에 이르렀다가 회군하여 나라를 지나갈 적에 그 성 북쪽에 주둔하였다.
梁王(朱溫)이 上源驛酒筵을 마련하였는데 사경사와 薛鐵山賀回鶻 등 10여 인만 모시고 있었다. 진왕이 취하여 의 상원역에서 留宿하니 나라 군대가 밤에 포위하고서 공격하였다.
사경사가 驛樓에 올라 나라 군사 10여 명을 射殺하였다. 마침 하늘에서 큰비가 내리니 진왕은 수행하는 이들과 함께 다 도주하여 尉氏門에 줄을 늘어뜨려 타고 나갔고, 사경사는 나라의 추격병에게 붙잡혀 죽임을 당하였다.
史建瑭은 젊은 시절 軍中에서 복무하여 裨校가 되었는데 나라가 丁會를 항복시키고 나서 나라와 潞州에서 대치하고 있을 때, 사건당이 이미 나라 군대의 先鋒이 되니 나라 군대가 자주 사건당에게 죽임을 당하여 서로 경계하며 늘 史先鋒을 피해 다녔다.
나라가 王景仁을 보내 趙州를 공격할 때 나라 군대가 조주를 구원하니 사건당이 선봉에 선 군사들을 이끌고 井陘을 지나서 柏鄕에서 전투하였다.
나라 군대가 方陣을 펼쳐 그 군대를 두 부대로 나누어 汴州宋州의 군대는 왼쪽에 자리잡고, 魏州滑州의 군대는 오른쪽에 자리잡았다.
周德威가 그 왼쪽 군대를 공격하고 사건당이 그 오른쪽 군대를 공격하니 나라 군대가 모두 달아난지라 마침내 크게 패배시켰다. 이 戰功으로 檢校左僕射의 직함을 더하였다.
天祐 9년(912)에 나라가 나라를 공격하자 燕王 劉守光나라에 援兵을 청하니 太祖가 직접 군대를 거느리고 趙州를 공격하여 棗彊蓨縣을 포위하였다.
이때에 나라의 정예병이 모두 북쪽으로 나라를 공격하고 있었고, 符存審史建瑭이 3천의 기병으로 조주에 주둔하고 있었다. 나라 군대가 이미 조강을 격파하자 부존심은 下博橋를 지켰다.
사건당이 자신의 麾下에 있는 5백의 기병을 나누어 다섯 부대로 편성하여 한 부대는 衡水로 가게 하고, 한 부대는 南宮으로 가게 하며, 한 부대는 信都로 가게 하고, 한 부대는 阜城으로 가게 하고는,
직접 나머지 한 부대를 이끌고서 각자 나라 군대의 꼴 베고 放牧하는 자들 열 명을 잡아서 下博에서 모이기로 약속하였다. 저녁에 이르러 나라 군사 수십 명을 포획하여 모두 죽이고 각 부대마다 그중에 한 사람씩 남겨 풀어주어 도망가게 하면서,
그들에게 말하기를 “晉王의 군대가 대규모로 올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튿날이 되어 사건당이 기병 백 명을 거느리고서 나라의 깃발을 들고 그 꼴 베고 방목하던 자들을 섞어서 저녁에 나라 營門에 이르러 그 문을 지키던 병졸을 죽이고 불을 지르고 크게 외치면서 수십 수백의 사람을 베어 죽였다.
나라에서 내보냈던 꼴 베고 방목하던 자들은 각자 나라 군대를 만났다가 이미 도망쳐 놓친 자들도 있고, 사건당이 풀어주고 죽이지 않은 자들은 돌아가 모두 나라 군대가 올 것이라고 말하였다.
太祖가 밤에 營寨를 뽑아 떠나자 蓨縣 사람들이 그를 추격하니 나라 군대가 輜重과 갑옷을 버리고 간 것이 이루 다 셀 수가 없었다. 양 태조가 이때 病中이었는데 이 일로 말미암아 병세가 더 심해졌다.
나라 군대가 이로 인해 힘을 합해 나라를 수복한 것은 〈사건당과 부존심〉 두 사람의 힘이었다. 뒤에 사건당이 莊宗을 따라 魏博에 들어가 옛 元城에서 劉鄩을 패배시키니, 여러 차례 戰功을 세워 貝州相州刺史를 역임하였다.
天祐 18년(921)에 나라 군대가 鎭州에서 張文禮를 토벌할 때 史建瑭先鋒兵을 거느리고 趙州를 함락하여 그 刺史 王鋋을 잡았다.
군대가 鎭州에 도착하였을 때 사건당이 진주의 城門을 공격하다가 날아오는 화살을 맞아 졸하니 향년 42세였다.
史建瑭이 5백의 騎兵을 나누어 다섯 부대로 편성하여 다섯 에 흩어져 들어가, 이에 각각 나라의 꼴 베고 방목하는 사람들을 포획하여 열에 아홉을 죽이고 각각 그중에 한 명을 풀어줘 돌아가게 하여 나라 군대를 교란시키니, 이에 太祖營寨를 뽑아 도망가거늘 추격하였다.
내가 五代 시대에 이와 같은 장군이 있었으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고, 歐陽公이 이 일을 서술한 부분 역시 太史公이 〈李廣傳〉을 서술한 것에 손색이 없으니, 이 글이 참으로 마음에 든다.


역주
역주1 史建瑭傳 : 史建瑭(876~921 字가 國寶로 代州 鴈門 사람이다. 사건당의 列傳은 ≪舊五代史≫ 卷55 〈唐書 第31 列傳7〉과 ≪新五代史≫ 卷25 〈唐臣傳 第13〉에 실려 있다. 歐陽脩는 ≪구오대사≫에 780여 자 분량인 사건당의 傳記를 570여 자로 축약하여 서술하였다.
사건당은 後唐 莊宗을 섬긴 武將으로, 전투에서 늘 先鋒將이 되어 용맹하게 싸워 사람들이 그를 史先鋒이라고 부르며 두려워하였다는 말이 그의 아들 史匡翰의 열전에 나온다. 항상 죽기를 불사하고 싸워서였는지 그는 장종이 後梁을 멸망시키는 것을 미처 보지 못하고 張文禮와의 전투에서 전사하고 말았다.
歐陽脩는 사건당의 전기를 가급적 간략하게 서술하면서 사건당의 사적을 드러낼 수 있는 일화를 생동감 있게 각색하였는데, 사건당의 부친 史敬思의 일화와 사건당이 趙州를 지킨 일화가 바로 그것이다.
첫째로 晉王 李克用이 黃巢를 물리치고 돌아가는 길에 後梁 太祖가 자신의 근거지 汴州에서 宴會를 베푼 뒤 이극용을 죽이려고 할 때 사경사가 죽음을 무릅쓰고 이극용을 지켜낸 일화를 놓고, ≪구오대사≫와 ≪신오대사≫에서 모두 비슷한 분량을 안배하여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그 서사 방식을 논한다면 ≪구오대사≫가 무미건조하게 사건을 서술하는 史實의 記述이라면 ≪신오대사≫는 逼眞한 묘사의 방식으로 전투의 긴박감을 전달하여 마치 鴻門宴에서 項羽에게 목숨이 위태롭게 된 劉邦이 張良‧樊噲와 함께 항우의 손아귀에서 탈출하는 장면을 묘사한 司馬遷의 筆致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이다.
둘째로, 후당의 名將 符存審과 함께 趙州를 지킬 때 후량의 대군과 마주하여 衆寡不敵인 상황에서 5백의 騎兵을 다섯으로 나누어 機智를 발휘해 승리를 거두었던 일화 역시 ≪구오대사≫와 ≪신오대사≫가 앞서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구오대사≫에서는 부존심이 梁軍의 맹렬한 공세에 대책을 세우는 장면에 이어 “사건당이 이에 휘하의 3백 기병을 나누어 다섯 부대로 삼고서 스스로 한 부대를 거느리고 깊이 들어갔다.”라고 하면서 이후의 전개 과정을 平平하게 서술하였다.
이에 반해 ≪신오대사≫에서는 부존심이 대책을 세우는 장면은 생략하고 곧바로 사건당의 활약에만 집중하여 서술하였는데, 이 부분을 生動하면서도 整齊된 문체로 묘사한 구양수의 능란한 솜씨는 뒤의 茅坤의 史評에서 잘 짚어내고 있다.
한편 열전 앞부분에서 부친인 사경사의 일화를 서술한 것은 사경당의 용맹이 來歷이 있음을 드러내려는 의도일 것이다. 하지만 죽음으로 主君을 지킨 사경사의 蔭德으로 사건당이 軍門에서 벼슬을 시작했다는 ≪구오대사≫의 언급을 ≪신오대사≫에서 생략한 것은 사건당이 초기에 立身하는 과정을 과감히 생략한 것과 궤를 같이하여 勇將으로서의 사건당의 면모에만 보다 집중시키기 위한 서사 전략으로 보인다.
역주2 敬思 : 史敬思(?~884, 沙陀族 출신이며 鴈門郡 代州 사람이다. 晉王 李克用이 親子와 養子 13명을 太保에 임명하여 13태보라고 일컬어졌는데 그 가운데 11태보로, 용맹하고 전투에 뛰어나 白袍史敬思이라고 불렸다.
역주3 晉王東追黃巢于寃胊……梁王置酒上源驛 : ≪五代史纂誤≫ 卷中에 “지금 살펴보건대, 本紀에 ‘李克用이 黄巢를 추격하여 寃句에 이르렀다가 회군하였다.’고 하였는데, 이때는 바로 中和 4년 갑진년(884. 光啓 2년 병오년(886) 朱全忠이 비로소 沛郡王에 봉해졌고, 天復 元年 신유년(901) 비로소 梁王에 봉해졌으니, 중화 4년 이극용이 황소를 추격했다가 회군하면서 梁나라를 지나갈 때에는 주전충이 아직 양왕에 봉해지지 않았다.[今按本紀 李克用追討黄巢于寃句而還 是時卽中和四年甲辰歲也 至光啓二年丙午歲 朱全忠始封沛郡王 天復元年辛酉歲 始封梁王 當中和四年克用追黄巢還過梁時 朱全忠未封梁王也]”라고 하였다. 寃朐는 寃句로 쓰기도 한다.
역주4 天祐九年 : 天祐는 唐 哀帝의 연호(904~907. 애제는 後梁 開平 2년(908) 後梁 太祖 朱全忠에게 피살되었는데, 아직 천하가 통일되지 않았으므로 歐陽脩가 唐의 마지막 연호로 계산한 것이다. 천우 9년은 바로 乾化 2년이다.
역주5 建瑭分其麾下五百騎爲五隊……而自將其一 : ≪舊五代史≫에는 “史建瑭이 이에 휘하의 3백 騎兵을 나누어 다섯 부대로 삼고서 스스로 한 부대를 거느리고 깊이 들어갔다.[建瑭乃分麾下三百騎爲五軍自將一軍深入]”라고 하여, 두 史書에 기병의 숫자가 다르다.(≪舊五代史考異≫)
역주6 十八年 : 앞의 唐 哀帝의 연호인 天祐(904~907 환산한 연도이다. 천우 18년은 바로 後梁 末帝의 龍德 2년이다.
역주7 : 사고전서본에는 ‘三’자로 되어 있고, ≪舊五代史≫에는 ‘六’자로 되어 있다.
역주8 太史公之敘李廣傳也 : 太史公은 ≪史記≫를 저술한 司馬遷이고, 〈李廣傳〉은 ≪史記≫ 〈李將軍列傳〉이다. 漢나라 장군 李廣의 아들 李陵을 변호하다가 宮刑을 당하기도 한 사마천은 이광의 인품을 극찬하면서 “복사꽃과 오얏꽃은 말이 없지만, 그 나무 밑에는 절로 길이 이루어진다.[桃李不言 下自成蹊]”라고 평하기도 하였다. ≪사기≫는 역사 인물들을 생동하는 형상으로 그려내었는바, 明나라 때 茅坤은 〈與蔡白石太守論文書〉에서 “지금 사람이 〈游俠篇〉을 읽으면 바로 삶을 가벼이 버리고 싶어지고, 〈屈原賈誼傳〉을 읽으면 바로 눈물이 나려 하고, 〈莊周魯仲連傳〉을 읽으면 세상을 떠나고 싶어지고, 〈李廣傳〉을 읽으면 바로 出戰하고 싶어지고, 〈石建傳〉을 읽으면 몸을 구부리고 싶어지고, 〈信陵平原君傳〉을 읽으면 선비를 좋아하고 싶어지니, 이렇게 되는 것은 어째서인가?”라고 하여 ≪사기≫의 생동하는 문장을 평하기도 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5)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