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歐陽脩(3)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九州皆有名山以爲鎭이어늘 而洛陽 天下中이라 하야 自古常以王者制度臨四方하니 宜其山川之勢 雄深偉麗하야 以壯萬邦之所瞻이라
由都城而南以東 山之近者 以連嵩少 首尾盤屈踰百里하니
從城中하야 因高以望之하면 衆山逶迤하야 或見或否하되 惟嵩最遠最獨出하야 其嶄巖聳秀하야 拔立諸峰上而不可掩蔽
蓋其하야俱備天子 其秩甚尊하니
則其高大殊傑當然
城中可以望而見者之居洛北者 爲尤高
巡檢使 이라
李君始入其署 卽相其西南隅而增築之하고 治亭於上하되 敞其南北하야 嚮以望焉
見山之連者峰者岫者 絡繹聯亘하야 卑相附하고 高相摩하며 亭然起하고 崒然止하며 來而向하고 去而背하야 傾崖怪壑 若奔若蹲하며 若鬪若倚하니
世所傳嵩陽三十六峰者 皆可以坐而數之
因取其蒼翠叢列之狀하야 遂以叢翠 名其亭하다
亭成 李君與賓客 以酒食登而落之하니 其古所謂居高明而遠眺望者歟인저
旣而欲紀其始造之歲月하야 因求修辭而刻之云하다


10. 총취정叢翠亭에 대한 기문記文
구주九州는 모두 명산名山으로 을 삼는데, 낙양洛陽은 천하의 중심인지라 나라는 을 조성하고 나라는 도읍으로 삼아 예로부터 늘 왕자王者제도制度로 사방에 임하였으니, 산천의 형세가 웅장하고 깊고 크고 아름다워 만방萬邦에서 우러러볼 만큼 장대壯大하였다.
도성都城으로부터 남쪽과 동쪽으로 가까이 있는 산은 이궐산伊闕山, 만안산萬安山, 환원산轘轅山, 구지산緱氏山으로 숭산嵩山소실봉少室峰과 연결된 것이 수미首尾가 이리저리 굽어 100가 넘는다.
성중城中에서 높은 곳에 올라 바라보면 산들이 구불구불 이어져 어떤 것은 보이고 어떤 것은 보이지 않되, 숭산嵩山만은 가장 멀리 있고 유달리 높아 깎아지른 바위가 우뚝 솟아 여러 봉우리들 위로 솟아 있어 가려지지 않는다.
대개 숭산嵩山의 이름이 사전祀典에 수록되어 있고 다른 사악四嶽과 함께 천자가 순수巡狩하여 망제望祭하는 곳을 완비하고 있음에 등급이 매우 높다.
따라서 숭산嵩山이 높고 크고 유달리 걸출한 것은 당연하다.
안에서 숭산嵩山을 바라볼 수 있는 곳은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는 낙양洛陽 북쪽의 순검서巡檢署이다.
순검사巡檢使내전內殿숭반崇班이다.
이군李君이 처음 순검서巡檢署에 들어와 서남쪽 모퉁이에 나아가 살펴보고는 땅을 더욱 쌓아올리고 위에 정자를 짓되 남북쪽을 틔워놓아 멀리 조망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자 산에 이어진 것, 봉우리, 등성이가 끊이지 않고 길게 뻗어, 낮은 것은 뭇 산 아래에 서로 붙어 있고, 높은 것은 서로 하늘에 잇닿아 있으며, 산봉우리가 우뚝이 솟아오르고 올연히 서 있고, 앞으로 오고 등져 가서 기울어진 벼랑과 괴이한 골짜기가 달리는 듯 걸터앉은 듯 싸우는 듯 기대고 있는 듯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니 세상에 전해지는 숭산嵩山의 남쪽 서른여섯 개의 봉우리를 모두 앉아서 헤아려볼 수 있다.
이에 짙푸르고[창취蒼翠] 모여 늘어선[총렬叢列] 모습을 취하여 마침내 총취叢翠로 정자를 명명하였다.
정자가 완성되었을 때에 이군李君이 빈객들과 술과 음식을 가지고 정자에 올라 낙성落城하니 옛날에 이른바 높고 밝은 곳에 거처하며 먼 곳을 바라본다는 것일 것이다.
이윽고 처음 조성된 연월을 기록하고자 하여 나에게 글을 지어주면 그것을 새기겠다고 청하였다.


역주
역주1 : 이 글은 歐陽脩가 西京留守推官으로 있을 때인 明道 元年(1032)에 지은 것이다.
역주2 周營漢都 : 洛陽은 西周 때에 邑으로 건립되어 東漢의 都城이 되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3 闕塞萬安轘轅緱氏 : 闕塞는 伊闕山으로 또 다른 이름은 龍門山이다. 洛陽의 남쪽에 있다. 萬安은 洛陽의 동남쪽에 있는 산 이름이고, 轘轅은 河南 偃師縣 동남쪽에 있는 산 이름이며 緱氏는 河南 偃師縣 동남쪽에 있는 산 이름이다.
역주4 名在祀典 : 祀典은 제사의 禮儀와 制度 등을 기록해둔 典籍을 이른다. 《禮記》 〈王制〉에 “천자는 천하의 名山과 大川에 제사를 지내니, 五嶽은 三公에 준하고 四瀆은 諸侯에 준한다.[天子祭天下名山大川 五岳視三公 四瀆視諸侯]”라고 한 말이 있다.
역주5 四嶽 : 嵩山은 五嶽의 하나인데, 五嶽 중 嵩山을 제외한 나머지 산을 가리키는 말로 泰山, 華山, 衡山, 恒山을 가리킨다.
역주6 巡狩望祭 : 巡狩는 천자가 諸侯國을 시찰하는 것을 말하고, 望祭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제사의 주체를 향하여 지내는 祭祀를 말한다.
역주7 巡檢署 : 巡檢使의 官署를 이른다.
역주8 內殿崇班 : 宋나라 때 무신의 階官을 말한다.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