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1)

당시삼백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郡齋雨中與諸文士
兵衛森
宴寢凝淸香
海上風雨至
逍遙池閣涼
近消散
嘉賓復滿堂
自慙
未覩斯民康
性達形跡忘
鮮肥屬時禁
蔬果幸見嘗
俯飮一杯酒
仰聆
神歡體自輕
意欲凌風翔
方知
豈曰財賦强
[集評] ○ 詩話稱韋蘇州郡齋燕集首句 兵衛森畫戟 燕寢凝淸香 海上風雨至 逍遙池閣凉 爲一代絶唱
余讀其全篇 每恨其結句 云吳中盛文史 羣彦今汪洋 方知大藩地 豈曰財賦强 深爲未稱
後見宋人麗澤編 無後四句 三十年之疑 一旦釋之 - 明 楊愼, 《升菴集》 卷54, 〈韋應物蘇州郡齋燕集詩〉


〈군의 관사에서 비가 오는 가운데 여러 문사들과 연회를 열며〉
위응물
병사들의 호위와 畫戟이 삼엄한데
연회가 열린 방안엔 맑은 향이 어리었다
바닷가에서 바람과 비가 불어와
시원하게 연못가 누각을 거닌다
답답한 일들이 근래에 사라지고
손님들이 다시 마루를 가득 채웠는데
스스로 부끄러운 것은 높은 자리 앉아
백성들의 태평을 보지 못한 것이네
이치를 깨달으니 是非가 사라지고
성정이 활달해 일체의 구속을 잊을 수 있도다
생선과 고기는 금하는 때이지만
채소와 과일은 다행히 맛볼 수 있으며
고개 숙여 한 잔 술 마시고
고개 들어 금옥 같은 문장을 듣노라니
기분이 즐겁고 몸도 절로 가벼워져
마음은 바람타고 날아갈 듯
吳 땅엔 文史가 흥성하다더니
뛰어난 선비들이 이제 큰 바다를 이루었구려
이제 알겠노라, 큰 도읍의 땅에
어찌 재화만 풍족하다 하겠는가
[集評] 《詩話》에서 韋蘇州(韋應物)의 〈郡齋燕集〉 첫 구인 ‘兵衛森畫㦸 燕寢凝淸香 海上風雨至 逍遙池閣凉’을 一代의 絶唱이라고 칭하였다.
내가 그 시 전체를 읽으며, 매양 그 結句인 ‘吳中盛文史 羣彦今汪洋 方知大藩地 豈曰財賦强’이 첫 구에 미치지 못함을 한탄하였다.
뒤에 宋代 사람이 편찬한 《麗澤篇》에 뒤의 네 구가 없는 것을 보고, 삼십 년의 의문이 하루아침에 풀렸다.


역주
역주1 燕集 : ‘燕’은 宴의 뜻으로, ‘燕集’은 宴會를 뜻한다.
역주2 韋應物 : 737~792. 陝西省 長安人으로, 蘇州刺史를 지내 ‘韋蘇州’라고도 칭한다. 산수와 전원을 다룬 작품이 뛰어난 王維, 孟浩然과 함께 병칭된다.
역주3 畫戟 : 병기의 일종으로 여러 가지 색으로 장식하여 儀典에 사용하였다. 당나라 때에는 3品 이상의 高官이 거처하는 곳의 문에 화극을 세웠다고 한다.
역주4 煩疴 : 번민으로 인한 갑갑증을 뜻한다. 혹은 무더운 여름 날씨로 인한 증세로 보기도 한다.
역주5 居處崇 : 거처하는 자리가 높다는 뜻으로 위응물이 刺史의 지위에 있음을 의미한다.
역주6 理會是非遣 性達形跡忘 : 이치에 대한 깨달음이 있어 옳고 그름을 가릴 수 있고, 성정이 활달하여 일체의 구속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의미이다. ‘是非遣’의 ‘遣’은 풀다라는 의미로, 是非의 의심이 풀린다는 뜻이다. 形跡은 형상과 자취를 지칭하는데 모두 눈에 보이는 것이므로 구속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역주7 金玉章 : 금과 옥에서 나는 소리와 같이 아름다운 文章을 뜻한다. 여기서는 연회에서 수창하는 詩賦를 지칭한다.
역주8 吳中盛文史 : 蘇州가 옛 吳나라 도읍이었으므로, ‘吳中’이라 한 것이고, ‘文史’는 문학과 사학 등을 비롯한 학술과 문예 전반을 지칭한다. 소주가 예부터 뛰어난 학자와 문장가를 배출하여 文翰의 전통이 뛰어났음을 뜻한다.
역주9 群彦 : 재능과 학식이 뛰어난 선비들을 지칭한다. 《毛詩正義》에, “彦은 선비의 미칭이다.[彦 士之美稱]”라고 하였다.
역주10 汪洋 : 광활하여 끝이 없는 바다를 뜻한다. 여기서는 뛰어난 선비들이 많음을 비유한다.
역주11 大藩 : ‘藩’은 울타리라는 뜻으로 제후의 나라나 그 도읍을 뜻한다. 蘇州가 吳나라의 도읍이었으므로 ‘大藩’이라 하였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이 시는 관료들의 연회를 읊은 작품에 인용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서거정徐居正이 자주 인용하였다. 《사가시집四佳詩集8, 〈성천신사군시권成川辛使君詩卷……〉의 ‘畫戟香凝日抵年’과 21 〈송양중추출윤경주送梁中樞出尹慶州〉의 ‘戟寢凝香晝無事’의 시구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동영상 재생
1 027 군재우중여제문… 560

당시삼백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