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2)

당시삼백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道由白雲盡
春與靑溪長
時有落花至
遠隨流水香
閑門向山路
深柳讀書堂
每白日
照衣裳
[集評]○ 商璠云 眘虛詩 情幽興遠 思苦詞奇
忽有所得 便驚衆聽
頃東南高唱者 十數人 然聲律婉態 無出其右
雖氣骨不逮諸公 自永明以來 可傑立江表
至如……道由白雲靜 春與靑溪長 時有落花至 遠隨流水香 開門向溪路 深柳讀書堂 幽映每落日 淸輝照衣裳 竝方外之言也
惜其不永天年 隕碎國寶 - 宋 計有功, 《唐詩紀事》 卷25
○ 予謂不惟坡谷 唐人如王摩詰 孟浩然 劉眘虛 常建 王昌齡 諸人之詩 皆可語禪 - 淸 王士禎, 《居易錄》 卷20
○ 五律有淸空一氣 不可以煉句煉字求者 最爲高格
如太白牛渚西江夜 蜀僧抱綠綺 襄陽掛席幾千里 摩詰中歲頗好道 劉眘虛道由白雲盡諸首 所謂羚羊掛角 無迹可求 - 淸 施補華, 《峴傭說詩》
○ 唐人缺題之詩 或託興 或寓言 意本翻空 事非徵實 在讀者黙喩之 - 淸 兪陛雲, 《詩境淺說》


〈제목이 누락됨〉
유신허
길은 흰 구름 생기는 곳에서 다하고
봄은 푸른 시내와 더불어 길도다
때때로 떨어지는 꽃잎이 떠오는데
멀리 흐르는 물 따라서 향기롭다
한적한 문은 산길을 향해 나 있고
버들 짙은 곳은 글 읽는 집이라네
태양은 한낮에도 매양 그윽하지만
그 맑은 빛이 옷을 비춘다
[集評]○상번이 말하기를 “劉眘虛의 시는 정이 깊고 흥이 원대하며, 생각이 깊고 말이 기특하다.
문득 얻는 바가 있으면 곧 듣는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근자에 동남쪽에서 시 잘하는 자가 십수 인이 있었으나 성률의 아름다운 자태에 있어서는 그보다 나은 자가 없었다.
기골이 여러 작가들에게 미치지 못하였으나 永明(齊 武帝의 연호, 483∼493) 이후부터 강외에 우뚝 설 만하였다.
……‘道由白雲盡 春與淸溪長 時有落花至 遠隨流水香 開門向溪路 深柳讀書堂 幽暎每白日 淸暉照衣裳’ 등과 같은 시에 이르러서는 모두 방외의 말이다.
그가 타고난 수명이 길지 않아, 나라의 보배가 떨어져 부서졌으니 애석하구나.”라고 하였다.
○ 나는 東坡(蘇軾)와 山谷(黃庭堅)만이 아니라 王摩詰(王維)‧孟浩然‧劉眘虛‧常建‧王昌齡 등 당나라 사람의 시도 모두 禪을 말하였다고 생각한다.
○ 오언율시는, 淸空한 기운이 있어서 구절과 글자를 다듬는 것으로는 구할 수 없는 것이 가장 높은 격이다.
가령 太白(李白)의 “우저산 밑 西江의 밤[牛渚西江夜]”, “촉 땅의 승려 녹기금을 안고서[蜀僧抱綠綺]”, 襄陽(맹호연)의 “돛을 달고 몇천 리를 갔으나[掛席幾千里]”, 摩詰(왕유)의 “중년에는 자못 도를 좋아하다.[中歲頗好道]”, 劉眘虛의 “길은 흰 구름 생기는 곳에서 다하고[道由白雲盡]” 등과 같은 여러 작품은 이른바 이라고 하겠다.
○ 唐人의 缺題詩는 託興이거나 寓言이어서 뜻은 에 근본하고 일은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시를 읽는 자들이 묵묵히 깨닫는 데 달려 있다.


역주
역주1 闕題 : 원래 제목이 있었으나 유실되었으므로, 後代 사람들이 ‘無題’가 아닌 ‘闕題’라고 붙인 것이다.
역주2 劉眘虛 : 자는 全乙이고, 奉化鄕(지금의 江西省 奉新縣) 사람이다. 開元 11년(723) 진사에 급제하였고, 후에 崇文館校書郞, 夏县令 등을 지냈다. 孟浩然‧王昌齡 등과 친했으며, 賀知章‧包融‧張旭과 ‘呉中四友’로 불렸다. 《全唐詩》에 시 1권이 수록되어 있으며, 《奉化縣志》에 그의 略傳이 실려 있다.
역주3 幽映 : 희미하게 비추는 빛으로 짙은 잎 때문에 햇빛이 희미하게 비쳐드는 것을 말한다. 이 구절은 ‘白日每幽映’의 倒裝句이다.
역주4 淸輝 : 햇빛을 가리킨다.
역주5 영양이……없는 것 : 본서 104 〈夜泊牛渚懷古〉 시의 集評 주 참조.
역주6 翻空 : 글을 지으면서 생각을 얽을 때 기이한 생각이 연달아 나는 것을 형용한다. 劉勰의 《文心雕龍》 〈神思〉에 “뜻은 허공에서 날아들어 기이하기 쉽고, 말은 사실을 징험하여 교묘하기 어렵다.[意翻空而易奇 言徵實而難巧也]”라고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143 궐제 123

당시삼백수(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