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1嵩山 :
현재 河南省 登封縣 북쪽에 主峰이 있는데 옛날에는 中嶽이라고 불렀다. 五嶽의 중앙에 위치하고 높아(옛사람들은 높이가 20里라 했다) 嵩高라고도 한다. 外方山이라고도 했는데 동쪽은 太室山, 서쪽은 小室山이라 하며 총칭이 ‘嵩山’이다. 太室山에는 中嶽廟가 있고, 小室山에는 유명한 少林寺가 있다.
역주2淸川帶長薄 :
‘淸’이 ‘晴’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淸川’은 伊水로 보기도 한다. ‘長薄’은, 屈原의 《楚辭》 〈九章 涉江〉에 “申椒와 木蘭 같은 香草가 숲에서 죽어가네.[露申辛夷 死林薄兮]”라는 글귀가 보이는데, 王逸은 주석에서 “나무가 우거진 것을 숲[林]이라 하고 풀과 나무가 뒤섞여 함께 자라난 것을 薄이라 한다.[叢林曰林 草木交錯曰薄]”고 했다. 초목이 무성한 것을 말하는데 쓰임새가 오래된 말이다. 陸機의 시 〈君子有所思行〉에 “曲池는 얼마나 물이 맑았던가, 淸川은 무성한 수풀을 띠고 있구나.[曲池何湛湛 淸川帶華薄]”라는 시구도 있다.
역주4流水如有意 :
물도 자기 마음을 이해하는 듯하다고 의인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一去不反으로 은거하려는 의지가 굳건함을 나타낸 것이다. ‘淸川’과 호응한다.
역주5暮禽相與還 :
‘禽’이 ‘雲’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暮禽’은 첫째 구절의 ‘長薄’과 호응한다. 도연명의 〈飮酒〉 詩에 “산 기운 날 저물어 아름다운데, 날아다니던 새들 서로 함께 돌아오는구나.[山氣日夕佳 飛鳥相與還]”라는 구절이 있고, 또 〈歸去來辭〉에 “구름은 무심하게 산굴에서 나오고, 새들은 날기에 지쳐 돌아올 줄 아는구나.[雲無心以出岫 鳥倦飛而知還]”라는 구절이 있는데 참고할 수 있다.
역주6迢遞嵩高 :
‘高’가 ‘山’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迢遞’는 아득히 먼 모양을 말한다.
역주7且閉關 :
‘閉’가 ‘掩’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且’는 장차라는 말로 미래형을 표시한다. ‘잠시’라는 뜻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시 전체가 아직 도연명처럼 완전한 은둔자가 되지 못한 처지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 뒤 시인의 행적을 볼 때 곧바로 벼슬에 나아갔으므로 ‘잠시’라고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閉關’은 문을 닫고 세상과 관계를 끊겠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