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2)

당시삼백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自 兄弟離散 各在一處 因望月有感 聊書所懷 寄上 兼示
白居易
弟兄羈旅各西東
田園寥落干戈後
骨肉流離道路中
共看明月應垂淚
一夜鄕心
[集評]○ 此詩與題意處處拍合 絲絲入扣 而一氣流轉 極自然宛暢之妙
出以口語 看似輕松 而沈痛在骨 乃白詩之上乘 - 現代 蘇仲翔, 《元白詩選注》


〈河南 지방이 난리를 겪고서부터 關內 지방은 굶주림에 시달리는데 형제마저 이산가족이 되어 각자 다른 지방에 살게 되었다. 달을 보자니 느낀 바가 있어 이에 애오라지 품은 생각을 써서 浮梁에 있는 大兄, 於潛에 있는 七兄, 烏江에 있는 十五兄에게 부치고 아울러 符離와 下邽에 있는 아우와 누이에게 보이다〉
백거이
난리에 흉년이 들고 가업도 몰락했는데
형제마저 각자 떨어져 타향살이
전란 뒤 전원은 황폐해지고
혈육은 길 위에 떠돈다
천리길에 홀로 떨어진 기러기 신세요
뿌리 뽑혀 흩어진 가을 쑥대로구나
밝은 달 함께 보며 응당 눈물 흘릴 테니
이 밤 고향 그리는 마음은 다섯 곳에서 같으리라
[集評]○ 이 시는 본문이 제목의 뜻과 곳곳에서 부합해 한 글자도 짜임새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한결같은 기운으로 관통해, 극히 자연스럽고 유창한 묘미가 있다.
구어체로 쓰여서 수월해 보이지만 침통함이 뼈에 스며드니 白居易의 시 가운데 上品이다.


역주
역주1 河南經亂 : ‘河南’은 唐나라 때의 지명이다. 동쪽으로는 바다, 서쪽으로는 函谷關, 남쪽으로는 淮水, 북쪽으로는 黃河를 포괄하는 지역을 가리킨다. 德宗 貞元 15년(799) 2월, 宣武軍(治所 河南 開封) 節度使 董晉이 죽자 부하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3월에는 彰義軍(治所 河南 汝南) 節度使 吳少誠도 반란을 일으켜 조정에서 토벌하지 않을 수 없어 하남 지방은 전란의 한가운데 있게 된다. 당시 白居易의 집이 河南 新鄭에 있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역주2 關內阻飢 : ‘關內’는 陝西省과 關中 지방, 甘肅省의 동부를 포괄하는 지역이다. ‘阻飢’는 오래된 成語로, 《尙書》 〈舜典〉에 “백성들이 굶주림에 허덕인다.[黎民阻飢]”는 용례가 보이는데, ‘阻’는 어려움을 겪는다는 뜻이다. 반란으로 河南을 경유해 江南의 곡식을 실어오는 運河가 막혀 關內 지방이 식량조달이 안 된데다 이해 關中에 흉년이 겹쳐 기근으로 고생한 사정을 말한다.
역주3 浮梁大兄 : ‘浮梁’은 현재 江西省 景德鎭을 말한다. ‘大兄’은 白居易의 長兄 幼文을 말한다. 당시 浮梁主簿였다.
역주4 於潛七兄 : ‘於潛’은 현재 浙江省 臨安縣이다. ‘七兄’은 白居易의 從兄으로 於潛縣尉였다. ‘於潛’은 ‘于潛’으로 쓰기도 한다.
역주5 烏江十五兄 : ‘烏江’은 현재 安徽省 和縣의 烏江鎭이다. ‘十五兄’은 白居易의 從兄 白逸로 烏江主簿였다.
역주6 符離及下邽弟妹 : ‘符離’는 현재 安徽省 宿縣 符離集으로 幼文의 가족과 宗族이 이곳에 살았다. ‘下邽’는 현재 陝西省 渭南縣으로 白居易의 莊田이 있어 親屬이 이곳에 살았다.
역주7 時難年荒世業空 : ‘年荒’이 ‘年饑’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時難’은 당시의 전란을, ‘年荒’은 關中에 흉년이 든 사실을 말한다. ‘世業’은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내려온 産業을 말한다.
역주8 弔影分爲千里雁 : ‘弔影’은 자신의 그림자를 위로한다는 말로 신세가 외로움을 뜻한다. ‘千里雁’은 형제가 각지로 분산되었음을 말하는데, 雁은 雁行으로 형제를 비유하는 말이다.
역주9 辭根散作九秋蓬 : ‘根’은 家庭을 말한다. ‘九秋’는 가을 90일을 말한다. ‘蓬’[쑥]은 가을이 되면 말라 뿌리가 뽑혀 바람에 날아다닌다.
역주10 五處 : 제목에 언급된 다섯 곳으로 보기도 하고, 혹자는 浮梁‧於潛‧烏江‧符離‧洛陽으로 보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 下邽는 고향으로 보아 포함하지 않고 대신 당시 白居易가 낙양에 있었다는 사실을 감안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208 자하남경란 관 … 210

당시삼백수(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