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3)

당시삼백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昌齡
昨夜風開
前殿月輪高
新承寵
簾外春寒賜錦袍
[集評]○ 王龍標絶句 深情幽怨 音旨微茫
昨夜風開露井桃一章 只說他人之承寵 而己之失寵 悠然可思
此求響於絃指外也 - 淸 沈德潛, 《說詩晬語》
○ 只直寫去 而嘆羨怨妬 一齊俱見於此 - 淸 宋顧樂, 《唐人萬首絶句選》
○ 不寒而賜 賜非所賜 失寵者 思得寵之榮 而愈加愁恨 - 淸 王堯衢, 《古唐詩合解》


〈춘궁의 노래〉
왕창령
어젯밤 봄바람에 우물가 복사꽃 피고
未央宮 앞에는 달이 높이 떠올랐네
평양공주의 歌女가 새로이 은총 입어
주렴 밖 봄추위라 비단옷 내렸다네
[集評]○ 왕용표(王昌齡)의 절구는 정이 깊고 원망이 그윽하며 말과 뜻이 隱微한 맛이 있다.
‘昨夜風開露井桃’ 한 수는 단지 다른 이가 은총을 입었다고 말했을 뿐이지만, 그 자신은 총애를 잃었음을 적이 상상해볼 수 있다.
이는 현을 퉁기는 손 밖에서 餘音을 구하는 것과 같다.
○ 단지 있는 사실 그대로 묘사해나갔을 뿐인데도 탄식과 부러움, 원망과 질투가 일제히 여기서 모두 드러난다.
○ 춥지 않은데도 옷을 하사하니, 하사하지 않아도 될 것을 하사한 것이다. 왕의 총애를 잃은 이가 총애를 얻은 이의 영화를 생각함에, 더욱 근심과 한스러움이 더해진다.


역주
역주1 春宮曲 : 樂府 曲名으로 〈殿前曲〉이라는 설도 있다. 〈春宮曲〉은 〈長信秋詞〉‧〈西宮春怨〉‧〈西宮秋怨〉 등의 시와 더불어, 군주에게 받는 총애의 無常함과 버려진 이의 슬픔‧원망‧고독함 등을 드러낸 시 가운데 하나이다.
역주2 露井桃 : 우물가에 피어 있는 복사꽃을 의미한다. 《宋書》 〈樂志 鷄鳴古詞〉에 ‘복사꽃이 우물가에 피었다.[桃生露井]’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때 ‘露井’이란 덮개가 없는 우물을 뜻한다.
역주3 未央 : 未央宮으로서, 漢나라 궁전의 명칭이다.
역주4 平陽歌舞 : 평양공주의 歌女였던 子夫의 고사이다. 《漢書》 〈外戚傳〉에 “효무 위황후의 자는 子夫이다. 출생이 미천하여 평양공주의 가녀가 되었다. 한 무제가 霸上에서 제사를 올리고 돌아오는 길에 평양공주에게 들렀다. 술을 마심에, 가녀들이 황제 앞으로 나아가니 황제는 유독 자부를 아꼈다. 평양공주가 자부에 대해 아뢰고 궁으로 들여보냈다.[孝武衛皇后 字子夫 生微也 爲平陽主謳者 武帝祓霸上 還過平陽主 旣飮 謳者進 帝獨悅子夫 主因奏子夫送入宮]”라고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266 춘궁곡 426

당시삼백수(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