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1)

당시삼백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夜四時歌 夏歌〉
李白
三百里
發荷花
五月西施採
人看
回舟不待月
歸去越王家
[集評] ○ 李白詩 鏡湖三百里 萏閻發荷花 蓋謂荷花發於萏也
按芙蕖其葉爲荷 其莖爲茄 其花未發爲菡萏 已發爲芙蓉
其實爲蓮 其根爲藕中爲菂 菂中有靑爲薏 芙蕖乃總名 - 朝鮮 李睟光, 《芝峯類說》 卷10, 〈唐詩〉


〈자야사시가 여름노래〉
이백
鏡湖라 삼백리에
연꽃이 꽃망울 터뜨리고
오월에 서시가 연밥을 따니
사람들 그 모습 보려 若耶溪를 메우는데
달뜨기 기다리지 않고 배를 돌려서
월나라 왕에게 시집갔다네
[集評] 이백의 시에, “경호라 삼백리에, 연꽃이 꽃망울 터뜨리고[鏡湖三百里 萏閻發荷花]”라는 구절이 있으니, 대개 荷花가 萏에서 활짝 핀 것을 이른다.
생각건대 芙蕖는 그 잎을 荷라 하고 그 줄기는 茄라 하며, 그 꽃이 아직 피지 않은 것을 菡萏이라 하고, 이미 핀 것을 芙蓉이라 하며,
그 열매를 蓮이라 하고 그 뿌리는 藕中 혹은 菂이라 하고, 菂 중에서도 푸른 것은 薏라 하니, 부거는 바로 총칭이다.


역주
역주1 鏡湖 : 원래의 명칭은 鑑湖이다. 浙江省 紹興縣 남쪽에 있다.
역주2 菡萏 : 아직 활짝 피지 않은 연꽃을 말한다. 《說文解字》에, “芙蓉이 아직 피지 않은 것을 菡萏이라 하고, 이미 핀 것을 芙蓉이라 한다.[芙蓉未發爲菡萏 已發爲芙蓉]”라고 되어 있다.
역주3 : 꽉 막혀 통하지 않는 것이다.
역주4 若耶 : 시냇물 이름으로, 若耶山 아래에서 발원하여 북쪽 鏡湖로 유입된다. 전하기를 西施가 비단 옷을 빨던 곳이라 한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김시습의 화사영시和思穎詩〉에, “경호삼백리鏡湖三百里 하계세오수何計洗吾愁”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이백李白 첫구에서 인용한 것이다. 조선, 허균許筠성소복부고惺所覆瓿稿, 2》
동영상 재생
1 040 자야사시가 하가 184

당시삼백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