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2)

당시삼백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送友人〉
李白
橫北郭
繞東城
此地爲別
萬里征
浮雲游子意
落日
揮手自茲去
[集評]○ 太白詩 浮雲游子意 落日故人情 對景懷人 意味深永
少陵詩 寒空巫峽曙 落日渭陽情 亦是寫景贈別 而語意淺短
杜詩佳處固多 此等句法却不如李 - 淸 仇兆鰲, 《杜詩詳注》
○ 蘇李贈言多唏噓語而無蹶蹙聲 知古人之意在不盡矣 太白猶不失斯旨 - 淸 沈德潛, 《唐詩別裁集》 卷10
○ 這詩典型的唐律
李白詩才奔放 適宜于縱橫錯落的歌行句法
碰上律詩 就象野馬被羈 只好俯首就範
這首詩是他的謹嚴之作 風格已逼近杜甫了 - 現代 施蟄存, 《唐詩百話》 236頁


〈벗을 보내며〉
이백
靑山은 북쪽 성곽에 비껴 있고
白水는 동쪽 성을 돌아간다
이 땅에서 한번 이별하면
외로운 쑥대처럼 만리를 떠돌리라
뜬구름은 길 떠난 그대 마음이요
情지는 해는 친구의 정이라오
손 흔들며 여기서 떠나니
떠나는 말들도 히히힝 우는구려
[集評]○ 李白의 시구 ‘뜬구름은 길 떠난 그대 마음이요, 지는 해는 친구의 정이라오.[浮雲游子意 落日故人情]’는 경치를 보고 사람을 그리워하는 것으로 의미가 깊고 오래간다.
杜甫의 시구 ‘[寒空巫峽曙 落日渭陽情]’도 경치를 묘사하면서 이별의 말을 부친 것인데 말뜻이 얕고 짧다.
杜甫의 시에는 아름다운 곳이 참으로 많은데 이런 구절의 언어구사는 도리어 李白만 못하다.
○ 蘇武와 李陵이 이별할 때 준 말은 한탄하는 말은 많지만 부자연스러운 소리는 없어 옛사람들의 뜻이 〈말을〉 다하지 않는 것에 있음을 알 수 있다. 李白도 이러한 뜻을 잃지 않고 있다.
○ 이 시는 전형적인 당나라 律詩이다.
李白은 詩才가 분방해서 종횡으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歌行體에 적합하다.
율시를 만나면 야생마가 굴레에 매여 어쩔 수 없이 고개를 숙이고 규범에 따르는 것과 같다.
이 시는 그의 근엄한 작품으로 풍격이 벌써 杜甫에 아주 가깝다.


역주
역주1 靑山 : 낙양 남쪽에 있는 南陽 서북쪽의 精山으로 보기도 한다.
역주2 白水 : 南陽 동쪽의 淯水로 보기도 한다. 淯水의 俗名이 白河이다.
역주3 : 강조를 나타내는 조사로 보기도 하는데, 아래 구절의 ‘萬’과 對句이므로 그에 맞추어 ‘한번’이라고 해석하였다.
역주4 孤蓬 : 외로운 쑥대를 말한다. 쑥은 말라 뿌리가 끊어지면 바람 따라 날아다닌다 해서 飛蓬으로도 불리는데, 옛 시가에서 먼 길 다니는 고독한 나그네를 비유하는 말로 항상 쓰였다.
역주5 故人 : 李白 자신을 가리킨다.
역주6 蕭蕭班馬 : 蕭蕭는 말이 우는 소리이다. 떠나가는 말을 말한다. ‘班’은 떠나다[別]라는 뜻이다. 《春秋左傳》 襄公 18년에 “무리를 떠나는 말소리가 들리는 걸 보면 제나라 군사가 도망친 것 같습니다.[有班馬之聲 齊師其遁]”라는 기록이 보이는데, 杜預는 주석에서 “班은 떠나간다[別]는 뜻이다.[班 別也]”라고 하였다. 무리를 떠나는 말을 班馬라고 한다.
역주7 차가운……정이라오 : 杜甫의 시 〈강릉으로 돌아가는 卿二翁 統節度鎭軍을 보내며[奉送卿二翁統節度鎭軍還江陵]〉에 나오는 구절이다. 仇兆鰲는 인용구절의 注에 ‘동이 트고 저녁이 되면서 이별을 아쉬워하는 정이 더욱 깊어진다.[自曙而夕 惜別情深]’라고 하였다.
동영상 재생
1 102 송우인 156

당시삼백수(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