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1)

당시삼백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昌齡
蟬鳴
八月
出塞
處處黃蘆草
從來
莫學
矜誇


〈변방의 노래〉
왕창령
매미가 빈 뽕나무 숲에서 울어대는
팔월의 蕭關길
변방을 나가고 들어오는 사이 날은 추워지고
곳곳마다 누런 갈대들
예로부터 幽幷의 군사들은
모두 사막에서 늙는다네
배우지 말라, 저 유협객들이
紫騮馬 좋다고 자랑하는 것을


역주
역주1 塞下曲 : 《樂府詩集》 등 몇몇 본에서는 이 시의 제목을 ‘塞上曲’으로 달아놓았지만, 《全唐詩》에 의거해 ‘塞下曲’으로 한다.
역주2 空桑林 : 《全唐詩》의 주에는 ‘桑樹間’이라고 되어 있다.
역주3 蕭關 : 지금의 甘肅省 固原縣 남동쪽에 위치하는데, 당나라 때에 중요한 관문 중 하나였다.
역주4 入塞寒 : 《全唐詩》의 주에는 ‘復入塞’라고 되어 있다.
역주5 幽幷 : 幽州와 幷州의 병칭이다. 유주는 지금의 河北省 지역이고, 병주는 지금의 山西省 지역이다. 이 지역의 풍속이 호협을 숭상한다고 하여 ‘호협한 기운’을 의미하기도 한다. 六朝시대 宋나라 鮑照의 〈擬古八首〉 세 번째 수에, “幽州와 幷州에서는 말타기와 활쏘기를 중시하여, 소년들은 말달려 사냥하기를 좋아하네.[幽幷重騎射 少年好馳逐]”라는 구절이 있다.
역주6 向沙場 : ‘共塵沙’라고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역주7 遊俠兒 : 의리를 숭상하는 젊은 사람을 뜻한다. 曹植의 〈白馬篇〉에, “묻노니 어느 집 자제인가, 幽州와 并州의 유협객이라오. 어려서 고향을 떠나, 사막에서 명성을 떨쳤다오.[借問誰家子 幽并遊俠兒 少小去鄉邑 揚聲沙漠垂]”라는 구절이 있다.
역주8 紫騮 : 밤색 털의 준마를 지칭한다. 이 구절에서는 자신이 가진 훌륭한 병기의 상징물로 쓰였다. 楊烱의 시에, “협객들은 周遊를 중시하여, 금 채찍으로 자류마를 다그치네.[俠客重周游 金鞭控紫騮]”라는 구절이 있다.
동영상 재생
1 036 새하곡 319

당시삼백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