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詩三百首(1)

당시삼백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시삼백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兼寄語
李頎
昔造胡笳聲
胡人落淚沾邊草
斷腸對
古戍蒼蒼烽火寒
大荒沈沈飛雪白
四郊秋葉驚
董夫子通神明
竊聽來妖精
言遲更速皆應手
將往復旋如有情
空山百鳥散還合
萬里浮雲陰且晴
嘶酸雛雁失群夜
川爲靜其波
鳥亦罷其鳴
幽音變調忽飄灑
長風吹林雨墮瓦
迸泉飛木末
野鹿走堂下
長安城連
高才脫略名與利
日夕望君抱琴至
[集評] ○ 此因房琯好董之調琴 而盛美其曲以戱之也
飜笳調以入琴 自文姬始 故先狀其曲之悲 而後敍董音律之妙
言其聲之通靈 其能感鬼神 下飛鳥而遏行雲矣
復爲雛雁胡兒分別之音 而川靜其波
鳥收其響 烏珠之類 咸起鄕土之思也
及其變調促節 大逞厥聲 則若風雨之猋疾 水泉之飛灑 野獸感之而游于堂廡矣
其技如此 是以給事居森嚴之地 處淸要之職 方脫略名利而望其抱琴來過也
此雖弄之 而無譏刺意 - 明 唐汝詢, 《唐詩解》 卷17


〈동대가 호가롱을 타는 것을 듣고 겸하여 방급사에게 말을 전하다〉
이기
그 옛날 蔡女가 胡笳聲에 정통하여
胡笳十八拍을 한 번 연주하니
胡人은 눈물 흘려 변방의 풀을 적시고
한나라 사신도 애끊는 마음으로 돌아가는 蔡女를 바라보는데
蒼然한 옛 수자리에 봉화대는 싸늘하고
침침한 황야엔 흰 눈이 휘날렸네
먼저 商絃을 뜯은 후 角絃 羽絃을 뜯으니
사방에 가을 낙엽이 놀라 우수수 떨어진다
董夫子는 神明과 통하여
깊은 솔숲 요정이 몰래 와 엿듣다
느렸다가 다시 빠름에, 손이 모두 따르고
가려다 다시 돌아옴에 마치 情을 품은 듯
빈 산의 뭇 새들 흩어졌다 다시 모여들고
만 리에 뜬 구름은 흐렸다 또 개인다
떼를 잃은 아기 기러기 밤에 슬피 우는 듯
오랑캐 아이 어미 그려 애간장 끊는 소리
그 소리에 하천은 물결을 조용히 하고
새들도 울음소리를 그친다
烏孫 마을에서 머나먼 고향 집을 생각하는 듯
邏娑城의 모래먼지에서 哀怨이 솟아나는 듯
그윽한 소리 가락이 바뀌니 홀연히 비바람이 뿌리고
긴 바람 숲에 불고 빗줄기가 기와에 떨어지는 듯
콸콸 뿜는 샘물이 나무 끝에 날리고
들 사슴은 울어대며 뜰아래로 달리는 듯
長安城은 東掖垣으로 이어지고
鳳凰池와 마주한 靑瑣門에서
높은 재주로 名利에서 벗어난 이가
밤낮 그대가 칠현금 안고 오길 기다린다네
[集評] ○ 이 작품은 房琯이 董庭蘭의 琴 연주를 좋아했기 때문에, 그 곡을 찬미하여 그를 희롱한 것이다.
호가의 음조를 바꾸어 琴調로 연주한 것이 채문희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먼저 그 곡의 비애를 묘사하였고, 이후에 동정란이 연주한 音律의 오묘함을 서술하였다.
그 소리가 신령과 통하여 능히 귀신을 감동시킬 수 있으며, 날던 새도 내려앉게 하고 흘러가는 구름도 멈추게 한다고 말하고 있다.
다시 어린 기러기와 (채문희가 두고 온) 오랑캐 아이들이 헤어질 때 울던 소리를 내어 시냇물이 물결을 잦아들게 하고 새들도 울음소리를 그치게 한다고 하였다.
烏珠(서역 변방국의 군왕)類의 이야기는 모두 고향을 그리워하는 생각을 일으킨다.
변조에 이르러서는 음절이 빨라지고 그 소리가 더욱 커져 마치 비바람이 빠르게 몰아치고 샘물이 공중에 날리고, 들판의 짐승들이 그 소리에 감흥하여 건물 아래에서 뛰어노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동정란의 기예가 이와 같으니, 이로 인해 방급사가 삼엄한 지역에 거처하고 있고 청요의 직책을 맡고 있지만 名利를 벗어버리고 동정란이 금을 안고 오기를 바란다고 한 것이다.
이 작품은 비록 희롱한다고 하였지만 풍자의 뜻이 없다.


역주
역주1 聽董大彈胡笳弄 兼寄語房給事 : 원래 제목은 〈동대가 호가를 타는 소리를 듣고 겸하여 말을 전하여 방급사를 놀리다[聽董大彈胡笳聲 兼寄語弄房給事]〉인데, 이 제목에는 이견이 있다. 兪守眞이 《唐詩三百首詳析》에서, “唐史를 살펴보니, 董庭蘭이 琴을 잘 연주하였는데, 房琯의 門客이 되었다. 일찍이 琴으로 胡笳의 소리를 연주하고 ‘胡笳弄’이라고 하였다. 제목 중에 ‘弄’자는 ‘胡笳’의 아래 있어야 한다. ‘弄’자가 琴曲의 다른 이름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여, 제목이 〈聽董大彈胡笳弄 兼寄語房給事〉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역주2 董大 : 동씨 형제들 중의 첫째를 일컬은 것으로 董庭蘭(695~765)을 지칭한다. 동정란은 隴西人으로 開元‧天寶 년간의 유명한 琴師이다. 《新唐書》 〈房琯傳〉에는 동정란이 房琯의 문객으로 있으면서 뇌물을 받았고 이로 인하여 방관이 좌천되었다는 기록이 전하는데, 政敵의 악의적 비방에 의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역주3 胡笳弄 : 琴曲의 이름이다. 蔡女가 歸國할 때 胡笳의 곡조를 琴曲으로 번안한 것으로, ‘胡笳十八拍’을 지칭한다. 胡笳는 북방 이민족이 불던 피리의 일종으로, 갈잎으로 만들었다는 설이 있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역주4 房給事 : 房琯(697~763)을 지칭한다. 방관은 河南人으로 字는 次律이다. 玄宗과 肅宗 代에 걸쳐 宰相을 지냈으며, 李頎, 孟浩然, 王維, 儲光羲, 綦毋潛, 高適, 杜甫 등과 교유하였다. 757년 두보가 拾遺의 벼슬을 얻게 된 것도 방관의 추천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당시 벼슬이 給事中이었으므로 ‘房給事’라 칭하였다.
역주5 蔡女 : 後漢시대 蔡邕의 딸로, 蔡琰을 지칭한다. 字가 文姬이므로 일반적으로 ‘채문희’라 칭한다. 董卓의 亂을 만나 남흉노에게 끌려가 左賢王의 첩이 되어 아들 둘을 낳고 12년간 억류되었다. 그 뒤 曹操에 의해 獻帝 建安 13년(208) 에 다시 중원으로 돌아와 董祠에게 시집갔는데 박식하고 재주가 뛰어났다고 한다. 자신의 기구한 운명을 〈悲憤歌〉라는 시로 남겼다.
역주6 一十有八拍 : 채염이 지은 ‘胡笳十八拍’을 지칭한다.
역주7 漢使 : 조조가 채염을 송환하기 위하여 흉노로 파견한 사신을 가리킨다.
역주8 歸客 : 채염이 흉노에서 조국인 한나라로 돌아오기 때문에 ‘歸客’이라 하였다.
역주9 先拂商絃後角羽 : 먼저 商絃을 뜯은 후 角絃 羽絃을 뜯는다. 商, 角, 羽는 五音에 속한다. 《三禮圖》에 琴의 첫 번째 줄은 宮, 그 다음은 商, 角, 徵, 羽, 小宮, 小商 등 모두 七絃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역주10 摵摵 : 낙엽이 떨어지는 소리이다.
역주11 : ‘山’으로 되어 있는 本도 있다.
역주12 斷絶胡兒戀母聲 : 채염이 한나라로 돌아올 때 흉노에서 낳은 두 아들을 두고 왔는데, 이 아이들이 엄마를 그리워 우는 소리를 연상케 한다는 뜻이다.
역주13 烏孫部落家鄕遠 : ‘烏孫部落’은 중국 서역의 新疆省에 있던 烏孫國을 지칭한다. 漢나라 武帝 때 和親을 도모하기 위하여 江都王 劉建의 딸 細君을 烏孫國王에게 시집보냈는데, 이때 고향을 떠나 異域萬里로 시집가는 왕세군의 슬픔을 연상케 한다는 뜻이다. ‘烏孫’이 ‘烏珠’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역주14 邏娑沙塵哀怨生 : ‘邏娑’는 지금의 西藏 라싸市로서 티베트의 옛 수도이다. 당나라 초기 강성해진 藏族의 吐藩國과 정략결혼을 위하여 文成公主와 金成公主를 이곳으로 시집보냈는데, 그녀들의 哀怨을 연상케 한다는 뜻이다.
역주15 颯颯 : 바람소리 또는 물소리이다. 여기서는 샘물소리를 형용하였다.
역주16 呦呦 : 사슴의 울음소리이다.
역주17 東掖垣 : 門下省을 지칭한다. 당나라 때 문하성은 中書省과 더불어 각기 皇宮의 동서 양쪽에 있었으므로 사람의 겨드랑이와 같다는 의미에서 ‘東掖垣’, ‘西掖垣’이라 불렀다.
역주18 鳳凰池 : 中書省 안에 있는 못으로 중서성을 지칭한다.
역주19 靑瑣門 : 門下省의 宮門이다. 당시 房琯의 관직인 給事中은 문하성 소속이었다.
동영상 재생
1 050 청동대탄호가롱… 834

당시삼백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