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3401 凡進食之禮하며 居人之左하고 羹居人之右하며
膾炙 處外하고 醯醬 處內하며
處末하고 酒漿 處右하며 以脯脩置者 左朐右末이니라.
集說
[集說] 肉帶骨 曰殽이오, 純肉切曰胾 骨剛이라하고 肉柔니라.
飯左羹右 分燥濕也.
膾炙 異饌이라 在殽胾之外하고 醯醬 食之主 在殽胾之內니라.
葱渫 烝葱이니
亦菹類 加豆也 處末이니라.
酒漿 或酒或漿也. 處羹之右
若兼設則左酒右漿이라.
○ 疏호대 訓始 始作卽成也.
脩亦脯.
訓治 治之乃成이라.
薄析 曰脯, 而施薑桂 曰腶脩.
謂中屈也 左朐 朐置左也.
脯脩 處酒左 以燥爲陽也.
○ 呂氏호대 其末在右 便於食也,
食脯脩者 先末이라.
大全
[大全] 嚴陵方氏호대爲主.
地産也일새 所以作陽德이니 居左하고,
爲主.
일새 所以作陰德이니 居右니라.


음식상을 올리는 를 왼쪽에 놓고 를 오른쪽에 놓으며, 밥은 사람의 왼쪽에 놓고 국은 사람의 오른쪽에 놓는다.
와 불고기는 〈의〉 바깥쪽에 놓고, 식초와 장은 안쪽에 놓는다.
찐 파는 끝에 놓고, 술이나 음료는 〈국의〉 오른쪽에 놓으며, 를 놓을 경우에는 포의 중간을 구부려서 왼쪽에 놓되 끝 부분이 오른쪽을 향하게 한다.
集說
[集說] 뼈에 붙어 있는 살코기를 라 하고, 살코기를 저민 것을 라고 하는데, 뼈는 단단하므로 왼쪽에 놓고, 살은 부드러우므로 오른쪽에 놓는다.
밥을 왼쪽에 놓고 국을 오른쪽에 놓는 것은 마른 음식과 젖은 음식을 구분해서이다.
와 불고기는 특별한 반찬이므로 의 바깥쪽에 놓고, 식초와 장은 이들 고기를 먹는데 주로 쓰므로 의 안쪽에 놓는다.
총설葱渫는 찐 파이다.
이 또한 절인 채소의 종류이니 에 속하는 것이므로 끝에다 놓는다.
주장酒漿은 술을 놓기도 하고 음료를 놓기도 하는데, 국그릇의 오른쪽에 놓는다.
술과 음료를 아울러 놓을 경우에는 술을 왼쪽에 놓고 음료를 오른쪽에 놓는다.
: 자의 뜻은 시작하다[始]이니, 시작하면 즉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도 또한 이다.
자의 뜻은 다스리다[治]이니, 다듬어야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얇게 찢은 것을 라 하고, 두들겨 부풀려서 생강과 계피로 조미한 포를 단수腶脩라 한다.
는 중간을 구부린 것을 말하니, 좌구左朐는 중간을 구부려서 왼쪽에 놓는 것이다.
를 술의 왼쪽에 놓는 것은 마른 것을 으로 치기 때문이다.
여씨呂氏 : 끝을 오른쪽으로 가게 놓는 것은, 먹는데 편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를 먹을 때에는 끝 부분을 먼저 먹는다.
大全
[大全]엄릉방씨嚴陵方氏 : 음식은 육곡六穀을 위주로 한다.
곡식은 땅에서 나는 것이어서 양덕陽德이 되므로 왼편에 놓는다.
육생六牲을 위주로 한다.
은 하늘이 내린 것이어서 음덕이 되기 때문에 오른편에 놓는다.


역주
역주1 : 효
역주2 : 자
역주3 : 사
역주4 : 예
역주5 : 추
역주6 六穀 : 六穀은 벼, 기장, 피, 보리, 조, 콩을 말한다. 《周禮》에서는 六穀을 黍, 稷, 稻, 粱, 麥, 苽라고 하였다. (《周禮注疏》 卷19)
역주7 六牲 : 六牲은 六畜으로서 소, 말, 양, 돼지, 개, 닭을 말한다.
역주8 天産 : 天産은 동물을 말한다.
역주9 加豆 : 加豆는 恒豆에 상대되는 말이다. 豆는 나무로 만든 굽이 있는 접시를 말한다. 恒豆는 일상적으로 올리는 것이다. 恒豆에는 菹와 醢를 쓴다. 菹는 초에 담근 沈菜인데 창포뿌리나 순채[蓴]와 같은 水草를 사용한다. 醢는 肉醬이다. 加豆는 제사에 六獻을 올린 뒤에 더 올리는 것이다. 그래서 더한다는 뜻으로 加豆라고 한다. 加豆는 恒豆와는 반대로 沈菜로는 육지에서 나는 것을 사용하고 醢는 바다에서 나는 것을 사용한다. 《禮記今注今譯》 345-346면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