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4301 御同於長者하야는 雖貳 不辭하며 偶坐不辭니라.
集說
[集說] 御 侍也.
益物也.
侍食者 雖獲殽饌之重而不辭其多者 以此饌 本爲長者設耳.
偶者 配偶之義 因其有賓而己亦偶配於坐 亦以此席 不專爲己設이라 不辭也니라.
大全
[大全] 馬氏호대 禮者 而已.
主人之禮 在我也 不辭之非禮也,
主人之禮 不在我也 辭之亦非禮也.
子貢 主伯高之喪 孔子 語之曰하사대 라 하시니 與此同義니라.
○ 藍田呂氏호대 御同於長者 侍於長者也, 偶坐者 因彼有賓也.
辭遜 行之美者也 辭其所當辭然後 成其美也,
如不有其義하고 不當其物이면 則其美者 適所以爲病歟인져.


어른을 모시고 함께 앉아 음식을 먹을 때에는 아무리 음식을 더 내오더라도 사양하지 않으며, 배석하였을 때에도 사양하지 않는다.
集說
[集說]는 모신다는 뜻이다.
는 음식물을 더 많이 내오는 것이다.
모시고 식사하는 사람이 거듭해서 음식을 내오더라도 〈음식이〉 많다고 사양하지 않는 것은, 이 음식은 본시 어른을 위하여 장만한 것이기 때문이다.
는 짝이 된다는 뜻이니, 손님이 있기 때문에 자기 또한 같은 좌석에 짝이 되어 앉아 있게 된 경우에는, 이 자리가 자기만을 위하여 차린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양하지 않는다.
大全
[大全]마씨馬氏 : 예는 베풀고 보답하는 것일 뿐이다.
주인이 예우하는 대상이 나인데도 사양하지 않는 것은 예에 맞는 행동이 아니다.
주인이 예우하는 대상이 내가 아닌데 사양하는 것도 예에 맞는 행동이 아니다.
자공子貢백고伯高의 상에 주상主喪을 보게 되었을 때에 공자가 〈문상을 가서〉 말하기를 “네가 주상主喪이 되었기 때문에 찾아온 이에게는 절을 하고, 백고를 알기 때문에 찾아오는 이에게는 절하지 말아라.” 하였는데, 이 대목과 같은 뜻이다.
남전여씨藍田呂氏 : 어른을 함께 모신다는 것은 어른을 모시는 것이고, 우좌偶坐는 상대가 손님이 있기 때문에 〈함께 앉아 있는〉 것이라는 뜻이다.
사양과 겸손은 아름다운 행동이지만 응당 사양할 것을 사양하여야 만이 그 미덕을 이루게 된다.
만일 사양할 의리가 없고 사양할 일에 해당되지 않는데 사양하면 그 미덕은 다만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역주
역주1 施報 : 施與한 것이 있으면 報答하는 것이 있는 것이다. 《禮記》 〈曲禮〉에 “가장 귀한 것은 덕이고, 그 다음은 남에게 베풀고 보답하는 것이니, 예는 오고 가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왔는데 가지 않는 것은 예가 아니며 갔는데 오지 않는 것도 역시 예가 아니다.[太上貴德 其次務施報 禮尙往來 往而不來 非禮也 來而不往 亦非禮也]”라 하였다. 이는 예의 성격을 가장 핍진하게 설명한 대목이다.
역주2 爲爾哭也來者……弗拜也 : 자공이 백고의 상을 主喪한 내용은 《禮記》 〈檀弓 上〉에 보인다. 이 글에서 爲爾哭也來者라는 것은 네가 〈主喪이 되어〉 곡하기 때문에 〈너를〉 찾아 〈문상〉 온 사람이란 뜻이다. 즉 백고를 위하여 온 것이 아니라 바로 자공을 위하여 온 사람이란 뜻이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