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0607 하야 供給鬼神 非禮 不誠不莊이니라.
集說
[集說] 禱 以求爲意하고 以文爲主하고 以養爲事하고 以安爲道하니 四者 皆以供給鬼神이라.
出於心하고 形於貌하니 四者 非禮則不誠不莊이니라.
○ 今按供給者 謂奉薦牲幣器皿之類也.
大全
[大全] 藍田呂氏호대 宦學事師 學者之事也 班朝治軍 涖官行法 仕者之事也 禱祠祭祀하야 供給鬼神 交神明之事也 皆有待於禮者也.
家臣也, 雜記호대 .
蓋仕爲家臣而未升諸公이니 蓋亦學爲仕者也.
宦者 學爲仕之稱也니라.
學者 學道藝者也
二者之學 皆有師하니 師弟子之分 不正이면 則學之意 不誠하고 學之意 不誠이면 則師弟子之情 不親而敎不行이라.
曰非禮 不親이니라.
班朝者 正朝位也 治軍者 齊軍政也
涖官行法者 臨官府以行法令也
三者 皆仕者所以治衆也.
禮明乎尊卑上下之別이면 則分無不守하고 令無不從이니 此所以非禮 威嚴不行也.
禱祠祭祀 則郊社宗廟之常祀也 內則盡志하고 外則盡物하니 所以供給鬼神이라.
鬼神 無常享이요 이라.
禮者 敬而已 無敬則不誠이라
曰非禮 不誠不莊이라 하나니라.


도사禱祠제사祭祀에서 귀신에게 〈제물을〉 공급하는 것이 에 맞지 않으면 정성스럽지 않고 공경스럽지도 않다.
集說
[集說]는 〈귀신에게 복을〉 비는 것이 목적이고 축사祝辭가 위주이고 는 봉양하는 것을 일로 삼고 는 편안하게 하는 것으로 를 삼으니, 이 네 가지는 모두 귀신에게 공급하는 것이다.
정성은 마음에서 나오고 공경은 모습으로 나타나니, 이 네 가지 〈제사를 지냄에 있어〉 에 맞지 않으면 정성스럽지도 않고, 공경스럽지도 않은 것이다.
금안今按 : 공급은 희생犧牲폐백幣帛기명器皿 등을 바치는 것을 말한다.
大全
[大全]남전여씨藍田呂氏 : 벼슬하고 학문하는 데 있어 스승을 섬기는 것은 배우는 이의 일이고, 조정의 위차位次를 정하고 부대部隊를 통솔하고, 벼슬에 나아가고 법령을 시행하는 일은 벼슬하는 자의 일이며, 도사禱祠와 제사에서 귀신에게 제물을 공급하는 것은 신명神明과 교통하는 일인데, 이들은 모두 를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字는 가신家臣의 뜻이니, 〈잡기雜記〉에 “대부의 가신家臣[宦]이었던 자가 그 대부를 위하여 을 입었다.”고 한 것이 보인다.
대개 벼슬해서 가신家臣이 되었으나 제공諸公에 오르지 못한 것이니 또한 배워서 벼슬한 경우이다.
그런 까닭에 배워서 벼슬한 것을 이라고 칭한다.
배운다고 하는 것은 도리[道]나 기술[藝]을 배우는 것이다.
벼슬하는 것이나 학문하는 것에는 모두 스승이 있으니 사제지간의 분수가 바르지 않으면 배움의 뜻이 성실하지 않고 배움의 뜻이 성실하지 않으면 사제지간의 정리가 친해지지 않아서 가르침이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예가 아니면 서로 친애親愛하지 않는다고 한 것이다.
반조班朝는 조정의 위차位次를 정하는 것이고, 치군治軍은 군사를 다스린다는 말이다.
벼슬에 올라 법을 행하는 것은 관부官府에 임하여 법령을 시행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는 모두 벼슬하는 사람이 백성을 다스리는 것이다.
상하上下존비尊卑의 사이에서 분명하게 되면 모두 분수를 지키고 법령을 따르니 이것이 예가 아니면 위엄이 행해지지 않는 까닭이다.
도사禱祠제사祭祀는 교사와 종묘에서 일정하게 지내는 제사이니 안으로는 정성을 다하고 밖으로는 제물에 아낌이 없게 하니 귀신에게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귀신은 아무 때나 흠향하지 않으니 정성스러울 때에만 흠향한다.
라는 것은 공경하는 것일 뿐이니 공경하지 않는다면 정성스럽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예가 아니면 정성스럽지도 않고 엄숙하지도 않다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禱祠祭祀 : 禱祠의 禱는 복을 구하는 것이고 祠는 얻기를 구하는 것이니, 즉 禱祠는 소원을 성취하기 위해 비는 것을 말한다.[鄭云求福曰禱 求得曰祠] 《禮記注疏》 卷1
역주2 宦於大夫者之爲之服也 : 家臣이 대부를 위하여 복을 입는다는 뜻이다. 관중이 환공을 섬기면서 도둑 중에 유능한 두 사람을 뽑아서 자기의 家臣으로 삼았다가 다시 환공에게 천거하여 환공의 신하가 되게 하였다. 그런데 관중이 죽자 환공이 그 두 명에게 명령을 내려서 관중을 위하여 복을 입게 하였다. 이것을 보고 공자가 家臣이 대부를 위하여 복을 입은 것은 관중에게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였다.[孔子曰 管仲遇盜 取二人焉 上以爲公臣 曰其所與遊辟也 可人也 管仲死 桓公使爲之服 宦於大夫者之爲之服也 自管仲始也 有君命焉爾也] 《禮記注疏》 卷43 〈雜記 下〉
역주3 享于克誠 : 이윤이 다시 왕에게 “하늘은 친한 사람이 없으니 오직 공경하는 자와 친하고, 백성은 일정하게 흠모하는 사람이 없으니 누구든지 어질다면 흠모하며, 귀신은 일정하게 〈어떤 이의 제사를〉 흠향하는 법이 없으니 오직 능히 정성스러운 제사를 흠향하니 천자의 지위는 참으로 어려운 것입니다.”라고 하였다.[伊尹 申誥于王曰 嗚呼 惟天 無親 克敬 惟親 民罔常懷 懷于有仁 鬼神 無常享 享于克誠 天位艱哉] 《商書》 〈太甲 下〉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