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26202 凡視 上於面則敖하고, 下於帶則憂하고, 傾則姦이니라.
集說
[集說] 呂氏호대, 上於面者 其氣하니, 知其不能以下人矣,
下於帶者 其神하니, 知其憂在乎心矣,
視流則容側이라 必有不正之心 存乎胸中矣,
君子之所以愼也니라.
大全
[大全] 長樂劉氏호대 臣之事君 敬盡於心이면罔有弗正이라
然於視瞻 苟無等降이면 在禮爲愆矣니라.
視於天子諸侯大夫士 各不同焉이니라


대체로 시선이 〈상대의〉 얼굴보다 올라가면 거만해 보이고, 허리띠보다 아래를 내려다보면 근심이 있는 것 같고, 기울여 옆으로 보면 간사하게 보인다.
集說
[集說]여씨呂氏 : 〈시선이〉 얼굴보다 올라간 것은 그 기세가 거만하니, 그가 남에게 자신을 낮출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허리띠보다 내려 간 것은 그 정신이 떠났으니 그의 마음에 근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선을 이리저리 굴리면 용모가 기울어지니, 반드시 옳지 않은 마음이 가슴속에 있는 것이다.
이것이 군자가 〈시선을 놀리기를〉 조심하는 까닭이다.
大全
[大全]장락유씨長樂劉氏 : 신하가 임금을 섬김에 마음에 공경을 다하면 다섯 가지 일에 바르지 아니함이 없다.
그러나 눈길을 수평되게 하거나 낮추지 않는다면 예에 있어 허물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선을 두는 것이 천자, 제후, 대부, 사에 있어서 각각 같지 않은 것이다.


역주
역주1 五事 : 五事는 修身의 다섯 가지 조목으로 모습[貌], 말씨[言], 보는 것[視], 듣는 것[聽], 생각[思]을 말한다. [五事 一曰貌 二曰言 三曰視 四曰聽 五曰思 貌曰恭 言曰從 視曰明 聽曰聰 思曰睿] 《書經集註》 〈周書 洪範〉 6章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