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43802 文伯之喪 敬姜 據其牀而不哭曰 昔者 吾有斯子也 吾以將爲賢人也라하야 吾未嘗以就公室이러니
今及其死也하야 朋友諸臣 未有出涕者 而內人 皆行哭失聲하니 斯子也 必多曠於禮矣夫인저
集說
≪集說≫ 以爲賢人 必知禮矣 故凡我平日出入公室 未嘗與俱而觀其所行 蓋信其賢而知禮也라가 至死而覺其曠禮 故歎恨之하니라
集說
○鄭氏曰 季氏 魯之宗卿이니 敬姜 有會見之禮
大全
≪大全≫ 嚴陵方氏曰 曠與無曠 이니 言虛其道而不行이라
行哭 有行哭泣之禮也


문백文伯경강敬姜이 그 평상에 기대어 하지 않으면서 말하기를 “예전에 나는 이 자식을 두고서 장차 그가 현명한 사람이 될 것이라고 여겨 내 일찍이 그와 함께 공실公室에 나아가지 않았다.
그런데 지금 그가 죽음에 이르러 친구와 여러 신하들은 눈물을 흘린 사람이 없고, 오직 처첩妻妾(내인內人)들만 모두 곡하는 예를 행하여 목이 쉬었으니, 이 자식이 반드시 예를 소홀함이 많았기 때문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集說
현명한 사람은 반드시 를 알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무릇 내가 평소에 공실公室을 출입함에 있어서 일찍이 그와 더불어 함께 하면서 그의 소행을 관찰하지 않은 것은 대개 그가 현명해서 예를 알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었는데, 죽음에 이르러서야 그가 예에 소홀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므로 한탄한 것이다.
集說
정씨鄭氏계씨季氏나라 종실宗室 중의 이니, 경강敬姜이 만나보는 가 있다.
大全
엄릉방씨嚴陵方氏무광無曠은 “모든 관원들의 직책을 폐한다.”고 할 때의 과 같은 뜻이니, 그 도리를 폐하고 행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행곡行哭하고 눈물 흘리는 예를 행함이 있었다는 뜻이다.


역주
역주1 庶官之曠 : ≪書經≫ 〈虞書 皐陶謨〉에 “하루 이틀 사이에도 기미가 만 가지나 됩니다. 모든 관직을 폐하지 마소서. 하늘의 일을 사람이 대신한 것입니다.[一日二日 萬幾 無曠庶官 天工 人其代之]”라고 보인다.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