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0102 曰 仲子舍其孫而立其子 何也 伯子曰 仲子亦猶行古之道也로다
昔者 文王 舍伯邑考而立武王하시며 微子舍其孫腯而立衍也하니 夫仲子亦猶行古之道也로다
子游問諸孔子한대 孔子曰 否 立孫이니라
集說
≪集說≫ 曰 弓之問也 尙也 亦猶 擬議未定之辭 伯邑考 文王長子
微子舍孫立衍 或是殷禮
文王之立武王 先儒以爲權이라하고 或亦以爲遵殷制라하니 皆未可知
否則以德不以長이니 亦如大王 傳位季歷之意歟인저
集說
○應氏曰 檀弓 黙而不復言한대 子遊疑而復求正이니 非夫子明辨以示之 孰知舍孫立子之爲非乎
大全
≪大全≫ 長樂陳氏曰 木之正出爲本이요 旁出爲枝 子之正出爲嫡이요 旁出爲庶
故伐枝不足以傷木이나 伐其本則木弊矣 廢庶不足以傷宗이나 廢其嫡則其宗絶矣
本固而枝必茂하고 嫡正而庶必寧하니 此天地自然之理也
先王 知其然이라 於是貴嫡而賤庶하야 使名分正而不亂하고 爭奪息而不爭이라
故子生 하며 하며 冠則하고 하며 死則嫡子斬하고 庶子期하니 其禮之重輕隆殺如此
豈有他哉리오 以其傳重與不傳重之故也
禮曰 庶子不祭祖 明其宗也라하고 又曰 庶子不祭禰 明其宗也 史曰 父不祭於支庶之宅이라하니 此嫡庶之分 不可不辨也일새니라
昔公儀仲子舍孫立子한대 而檀弓弔以免하고 하니 皆重其服以譏之하야 欲其辨嫡庶之分而已
蓋嫡一而已 立之足以尊正統而一人之情이로대 庶則衆矣 立之則亂正統而啓覬覦之心이라
宋莒齊晉之君 不察乎此하야 每每趨禍하니 良可悼也


묻기를 “중자仲子가 그 적손適孫을 버려두고 그 서자庶子를 후계자로 세운 것은 어째서인가?”라고 하자, 백자伯子가 대답하였다. “중자는 아마도 옛 도를 행하려고 했나보다.
옛날에 문왕文王은 장자인 백읍고伯邑考를 버려두고 무왕武王을 세웠으며 미자微子는 적손인 을 버려두고 아우 을 세웠으니, 중자는 그래도 옛 도를 행하려고 했나보다.”
자유子游가 〈의심하여〉 공자께 묻자 공자께서 “아니다. 적손을 세워야 한다.”라고 하셨다.
集說
단궁檀弓이 질문한 것이다. 는 ‘아마도[]’라는 뜻이니, 역유亦猶는 헤아려보고 의논은 했지만 아직 결정하지 못한 말이다. 백읍고伯邑考문왕文王장자長子이다.
미자微子적손嫡孫을 버려두고 동생인 을 세운 것은 아마도 나라의 인 듯하다.
문왕文王께서 무왕武王을 후계자로 세운 것에 대해서는 선유先儒권도權道라고 말하기도 하고, 혹은 또한 나라의 제도에 따른 것이라고도 하는데, 모두 알 수 없다.
그렇지 않다면 〈후계자를 세우는 것은〉 을 기준으로 세우는 것이지 나이를 기준으로 세우는 것이 아니니, 또한 태왕太王계력季歷에게 왕위를 전해준 뜻과 같을 것이다.
集說
응씨應氏단궁檀弓이 잠자코 다시 말하지 않자 자유子游가 의심하여 공자孔子께 다시 시정해주기를 구하였으니, 공자께서 분명하게 분별해서 보여주지 않았다면 누가 적손嫡孫을 버려두고 서자庶子를 세운 것이 잘못이 된다는 것을 알겠는가.
大全
장락진씨長樂陳氏:나무의 몸통에서 바르게 뻗어나온 것이 줄기가 되고, 곁으로 나온 것이 가지가 되니, 정실正室로부터 나온 자식이 적자嫡子가 되고 방계傍系에서 나온 자식이 서자庶子가 된다.
그러므로 가지를 자르더라도 나무를 해치기에는 부족하지만 줄기를 자르면 나무는 죽게 될 것이고, 서자를 폐함이 종통宗統을 해치기에는 부족하지만 적자를 폐하면 종통이 끊어질 것이다.
줄기가 굳건하면 가지가 반드시 무성하고 적자를 바로 세우면 서자가 반드시 편안한 법이니, 이것이 바로 천지자연天地自然의 이치이다.
선왕先王이 그러함을 아는지라 이에 적자를 귀하게 여기고 서자를 천하게 여겨서 명분名分을 바로잡아 어지럽지 않도록 하고, 다투고 빼앗음이 종식되어 싸우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자식이 태어났을 때 총자冢子태뢰太牢를 써서 접견하고 서자는 소뢰少牢를 써서 접견하며, 총자는 부인과 밥을 먹기 전에 먼저 보고 서자는 부인과 밥을 먹고 나서 천천히 보며, 관례冠禮를 할 때 적자는 조계阼階에서 치르고 서자는 방 밖에서 치르며, 죽었을 때 적자에게는 참최복斬衰服을 입고 서자에게는 기년복期年服을 입으니, 중경重輕융쇄隆殺가 이와 같은 것이다.
어찌 다른 이유가 있겠는가? 전중傳重(종묘의 제사를 물려줌)과 부전중不傳重의 차이 때문이다.
예기禮記≫ 〈상복소기喪服小記〉에 이르길 “서자가 할아버지에게 제사 지내지 못하는 것은 종통이 따로 있음을 밝힌 것이다.”라고 하고, 또 이르길 “서자가 아버지에게 제사 지내지 못하는 것은 종통이 따로 있음을 밝힌 것이다.”라고 하며, ≪한서漢書≫ 〈위현열전韋賢列傳〉에 이르길 “아버지는 지자支子나 서자의 집에서 제사 지내지 않는다.”라고 하니, 이것은 적자와 서자의 구분을 분별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옛날에 공의중자公儀仲子적손嫡孫을 버려두고 서자를 후계자로 세우자 단궁檀弓단문袒免을 하고서 조문하고, 사구司寇 혜자惠子가 적자를 버려두고 서자를 후계자로 세우자 자유子游마최麻衰를 입고서 조문하였으니, 모두 상복喪服을 〈정해진 예식禮式보다〉 과하게 함으로써 그 사실을 기롱하여, 적자와 서자의 구분을 분별하려고 했던 것일 뿐이다.
춘추시대春秋時代 선공宣公이 적자인 여이與夷를 버려두고 동생인 목공穆公을 후계자로 세웠고, 목공이 또 적자인 을 버려두고 여이를 후계자로 세웠는데 여이는 결국 시해를 당했다.
기공紀公태자太子 을 내치고 계타季佗를 총애하였다가 결국 화를 초래하였고, 헌공獻公세자世子 신생申生을 죽이고 해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웠는데 끝내는 나라를 혼란스럽게 만들었으며, 영공靈公태자太子 을 폐위시키고 공자公子 를 후계자로 세웠는데 끝내 나라를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무릇 적자는 한 사람일 따름이니 그를 후계자로 세우면 정통正統을 높이고 사람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기에 충분하되, 서자는 여럿이니 그를 후계자로 세우면 정통을 어지럽혀 정통을 넘보려는 마음을 열게 된다.
나라의 군주들은 이러한 점을 살피지 않아서 늘 재앙을 초래했으니, 참으로 서글퍼할 만한 일이다.


역주
역주1 冢子……少牢 : 무릇 자식을 접견하되 날짜를 고르니, 총자이면 太牢를 쓰고 서인은 特豚을 쓰고 士는 特豕를 쓰고 대부는 少牢를 쓰고 國君의 세자는 태뢰를 쓰니, 총자가 아닌 경우는 모두 한 등급을 낮춘다.[凡接子擇日 冢子則大牢 庶人特豚 士特豕 大夫少牢 國君世子大牢 其非冢子 則皆降一等](≪禮記≫ 〈內則〉) 太牢는 소․양․돼지 등 3가지 희생물을 갖춘 것을 뜻하고, 少牢는 양․돼지 등 2가지 희생물을 갖춘 것을 뜻한다.
역주2 冢子……已食而見 : 총자를 낳으면 부인과 밥을 먹기 전에 먼저 보되 반드시 아기의 오른손을 잡으며, 적자나 서자를 낳으면 부인과 밥을 먹은 뒤에 보되 반드시 머리를 쓰다듬는다.[冢子未食而見 必執其右手 嫡子庶子已食而見 必循其首](≪禮記≫ 〈內則〉)
역주3 嫡子於阼 : 適子가 堂 위의 동쪽 섬돌 위쪽에서 관례를 행하는 것은 주인을 대신함을 드러낸 것이다.[適子冠於阼 以著代也](≪儀禮≫ 〈士冠禮〉)
역주4 庶子於房外 : 만약 庶子일 경우에는 방 밖에서 남향하여 그대로 醮禮한다.[若庶子 則冠于房外 南面 遂醮焉](≪儀禮≫ 〈士冠禮〉)
역주5 司寇惠子舍嫡立庶 而子游弔以麻衰(최) : ≪禮記≫ 〈檀弓 上〉 035701 참조. 麻衰는 가는 삼으로 짠 포를 사용하여 만든 喪服이다. 본래 가는 삼으로 짠 포는 吉服에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麻衰를 弔服으로 착용할 경우 정상적인 조복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牡麻絰은 수삼으로 만든 首絰과 腰絰이다.
역주6 宋宣公……而與夷卒見殺 : 宋 宣公과 穆公이 후계를 세운 것은 ≪春秋左氏傳≫ 隱公 3년에 보이고, 與夷가 시해당한 것은 桓公 2년에 보인다.
역주7 莒紀公……而卒於召禍 : 일이 ≪春秋左氏傳≫ 文公 18년에 보인다.
역주8 晉獻公……而卒至於亂晉 : 晉 獻公이 申生을 살해하고 奚齊를 세운 일은 ≪春秋左氏傳≫ 僖公 4~5년에 보이며, 晉나라가 어지러워진 것은 僖公 9년에 보인다.
역주9 齊靈公……而卒以亂齊 : 일이 ≪春秋左氏傳≫ 襄公 19년에 보인다.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