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0201 敖不可長이며 欲不可從이며 志不可滿이며 樂不可極이니라.
集說
[集說] 朱子호대 此篇 雜取諸書精要之語하야 集以成篇하니
雖大意相似而文不連屬하니
如首章四句 乃曲禮古經之言이오 敖不可長以下四句 不知何書語로되 又自爲一節하니
皆禁戒之辭니라.
○ 應氏호대 敬之反 爲敖하고 情之動 爲欲하고
志滿則溢하고 樂極則反이니라.
大全
[大全] 馬氏호대 敖不可長者 欲消而絶之也 欲不可從者 欲克而止之也 志不可滿者 欲損而抑之也 樂不可極者 欲約而歸於禮也.
有周公之才之美라도 使驕且吝이면 其餘 不足觀이니 則驕敖之喪德也甚矣.
此所以不可長也니라.
蓋欲者 出於 遂之而不克以義 則無所不至矣
此所以不可從也.
夫聰明聖智 守之以愚하고 功被天下 守之以謙이니 有高世之行過人之功이나 而侈然有自大之心이면 則失其所以爲善이니,
此所以不可滿也.
樂者 人情之所不免也 蕩而無節이면 則悖天理而窮人欲矣.
聖人 知其不可絶也. 故 立中禮以防之.
蓋酒者 所以合歡이니, 必使之賓主百拜而不敢醉, 樂者 所以導和 必使之正以하야 而不敢流.
凡人情之所樂者 皆有禮以制之하야 而不得放焉이니 此所以不可極也.
雅《三圖》 雅《集成圖》 敔《三圖》雅《三圖》 雅《集成圖》 敔《三圖》


거만한 마음을 키워서는 안 되며, 욕심을 내키는 대로 부려서는 안 되며, 뜻을 가득 차게 해서는 안 되며, 즐거움을 극도로 누려서는 안 된다.
集說
[集說]주자朱子 : 이 편(〈곡례曲禮〉)은 여러 책에서 핵심이 되는 중요한 말을 두루 뽑아 모아 엮은 것이다.
그래서 대의大義는 서로 비슷하나 글은 연결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제1장의 네 구절은 곡례曲禮 고경古經에 나오는 말이나, ‘오불가장敖不可長’이하 네 구절은 어느 책에 나오는 것인지 알 수 없는 말로서 또한 따로 일절一節이 된다.
〈내용은〉 모두 경계하는 말이다.
응씨應氏 : 공경恭敬의 반대가 오만敖慢이고, 감정의 움직임이 욕심이다.
뜻이 가득히 차면 넘치게 되고 즐거움이 극도에 이르면 반대로 슬픔이 온다.
大全
[大全]마씨馬氏 : 거만한 마음을 키워서는 안 된다는 것은 〈거만한 마음을〉 녹여 없애려는 것이고, 욕심을 내키는 대로 부려서는 안 된다는 것은 〈욕심을〉 이겨서 그치게 하려는 것이며, 뜻을 가득 차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뜻을 줄여서 억제하려는 것이고, 즐거움을 극도로 누려서는 안 된다는 것은 절제節制해서 로 돌아가려는 것이다.
주공周公과 같은 훌륭한 재질才質을 지닌 사람이라도 교만하고 탐욕스럽다면 그 나머지는 볼 것이 없다고 한 것은 교오驕傲가 덕을 해치는 가장 큰 장애이기 때문이다.
이 점이 거만한 마음을 키워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맹자가 말하기를 “그 사람됨이 욕심이 많으면 비록 본심本心이 다소 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얼마 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욕심은 후천적인 것으로서 욕심대로 행하고 로써 극복하지 않으면 무소불위無所不爲한 지경에 이르게 될 것이다.
이 점이 욕심을 내키는 대로 부려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총명聰明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어리석은 듯한 태도로 지켜내고, 천하를 진동하는 대공大功을 이룬 이는 겸양謙讓으로써 지키는 법이니, 세상에 드높은 행실이 있거나 뛰어난 공로를 세운 이라도 스스로 자만하는 마음이 있으면 그가 행한 것을 잃게 된다.
이 점이 바로 가득 차게 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즐거워함은 인정상 피할 수 없는 것이지만 방탕放蕩하고 절제함이 없으면 〈행동이〉 천리天理에 어긋나고 욕심만 추구하게 된다.
성인은 이를 근절根絶할 수는 없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알맞은 를 정해서 이를 예방한 것이다.
즉 술은 합환合歡을 위한 것이므로 〈술을 마실 때는〉 반드시 빈주賓主간에 백 번을 절하게 하여 취하지 않게 하고, 음악은 화합和合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로써 바로잡고 로써 끝을 내어 감히 〈음악이 음탕하게〉 흘러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대체로 사람들이 즐기려는 것에는 모두 를 정해 두어 억제해서 방종하지 못하도록 하였으니, 이것이 극도로 누려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역주
역주1 孟子……寡矣 : 이 글의 인용된 부분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본심을 기르는 것으로 욕심을 줄이는 것보다 좋은 것이 없다. 그 사람됨이 욕심이 적으면 비록 本心이 보존되지 않더라도 보존되지 않는 것이 적을 것이며, 그 사람됨이 욕심이 많으면 비록 本心을 보존했다고 하더라도 보존되는 본심의 양이 적을 것이다.[孟子曰 養心 莫善於寡欲 其爲人也寡欲 雖有不存焉者 寡矣 其爲人也多欲 雖有存焉者 寡矣]” 《孟子》 〈盡心章句 下〉
역주2 人爲 : 人爲는 本然의 반대말이다. 즉 出於人爲라고 한 것은 욕심이 내 본연의 성품에서 나온 것이 아닌 후천적 욕구라는 뜻이다. 따라서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역주3 雅止以敔 : 雅와 敔는 모두 악기의 일종으로서 雅는 박자를 맞추는 악기이고, 敔는 나무로 엎드린 호랑이 모양을 만든 것으로 등위에 스물일곱 개의 톱니가 있어서 그것을 채로 긁으면 음악을 그친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