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24801 君 有疾飮藥이어시든 先嘗之하며, 親 有疾飮藥이어시든 先嘗之,
醫不三世어든 不服其藥이니라.
集說
[集說] 呂氏호대 醫三世 治人하고 用物 熟矣 功已試而無疑
然後服之之道也니라
大全
[大全] 嚴陵方氏호대 君於平居無事之時 其膳也 膳夫品嘗之하고 太子親視之하니 亦以致其謹而已
則於有疾之時 尤所不可忽也니라.
醫之爲術 苟非父祖子孫傳業이면 則術無自而精하니 術之不精이면 其可服其藥乎.
周官 良以此也.
雖然이나 經之所言 亦道其常而已 若夫非傳業而或自得於心者 未及三世라도 固在所取也니라


임금이 병이 들어 약을 먹을 경우에는 신하가 먼저 맛보고, 부모가 병이 들어 약을 먹을 경우에는 자식이 먼저 맛본다.
의원醫員이 삼대를 계승한 경우가 아니면 그가 〈처방한〉 약을 먹지 않는다.
集說
[集說]여씨呂氏 : 의원이 삼대三代를 계승했다면 치료한 사람이 많고, 약물藥物을 쓰는 것도 익숙해졌으며, 효과도 이미 시험되어 의심할 것이 없게 된다.
그런 뒤에야 그 약을 먹는 것이 질병에 신중하게 대처하는 방법이다.
大全
[大全]엄릉방씨嚴陵方氏 : 임금이 평소 아무 일이 없는 때에는 그 음식을 선부膳夫가 맛보고 태자는 몸소 그것을 지켜보니, 또한 그 삼가함을 극진히 하는 것이다.
그러니 질병이 있을 때라면 더욱 소홀하게 할 수 없는 것이다.
의료 기술은 그 성격상 아버지와 할아버지와 자손들 간에 전수된 것이 아니라면 그 의술의 근원이 없어서 치밀함이 없는 것이니, 의술이 치밀하지 않다면 그 약을 복용해서 되겠는가?
사도司徒는 세상의 일로써 〈백성에게〉 능숙함을 가르친다고 《주관周官》에서 언급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비록 그렇지만 이 경문經文의 언급한 바는 또한 일반적인 경우를 말한 것이니 가업家業이 아니지만 혹 마음에 자득自得한 경우라면 삼대三代가 되지 않았더라도 진실로 취할 바가 있는 것이다.


역주
역주1 謹疾 : 謹疾은 질병에 신중하게 대처한다는 뜻이다. 《論語》 〈述而〉편에서 “공자가 신중히 하던 바는 재계와 전쟁과 질병이었다.”라고 하였다.[子之所愼 齊戰疾 孔穎達 疏 : 君子敬身安體 若偶嬰疾病 則愼其藥齊以治之] 《論語注疏》 〈述而〉
역주2 司徒以世事敎能 : 세상의 일로써 능숙함을 가르치면 백성이 그 직업을 잃지 않는다고 한 것은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하던 일을 자손이 계승하여 하면 그 본업을 잃지 않는 까닭에 말한 것이다.[以世事敎能 則民不失職者 父祖所爲之業 子孫述而行之 不失本職故云] 《周禮注疏》 卷10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