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6201 子柳之母死커늘 子碩 請具한대
子柳曰 何以哉 子碩曰 請粥庶弟之母하노라 子柳曰 如之何其粥人之母하야 以葬其母也리오 不可하니라
旣葬 子碩 欲以賻布之餘 具祭器한대 子柳曰 不可하니라 吾聞之也호니 君子 不家於喪이라하니 請班諸兄弟之貧者하라
集說
≪集說≫ 子柳 魯叔仲皮之子 子碩之兄也 謂喪事合用之器物也 何以哉 言何以爲用乎 謂無其財也
鄭云 粥 謂嫁之也 妾賤하니 取之曰買 錢也
不家於喪 惡因死者而爲利也
猶分也 不粥庶弟之母者 義也 班兄弟之貧者 仁也
夫以粥庶母以治葬이면 則乏於財 可知矣로대 而不家於喪之言 確然不易하니 古人之安貧守禮蓋如此니라
大全
≪大全≫ 嚴陵方氏曰 이나 豈宜粥人之母以葬其親乎리오 豈宜以賻布之餘具之乎리오 此子柳所以不從子碩之請也


자류子柳의 어머니가 죽자 자석子碩상사喪事의 기물을 마련할 것을 청하였다.
자류子柳가 말하기를 “〈재물이 없는데〉 무엇을 가지고 하겠느냐?”라고 하자, 자석이 말하기를 “청컨대 서제庶弟의 어머니를 팝시다.”라고 하였다. 자류가 말하기를 “어떻게 남의 어머니를 팔아서 자기의 어머니를 장사葬事지낼 수 있겠느냐? 안 될 말이다.”라고 하였다.
이미 장사를 지내고 나서 자석이 부의賻儀로 들어온 재물 중에 남은 것을 가지고 제기祭器를 장만하려고 하자, 자류가 말하였다. “안 된다. 내 듣자하니 군자는 상사喪事로 인해 생긴 재화로 집안을 이롭게 하지 않는다고 하니, 여러 형제들 중에 가난한 자에게 나누어주도록 하자.”
集說
자류子柳나라 숙중피叔仲皮의 아들인데, 자석子碩의 형이다. 상사喪事에 마땅히 사용해야 할 기물을 이른다. 하이재何以哉는 무엇을 가지고 하겠느냐는 말이니, 재화가 없음을 이른다.
정현鄭玄이 말하길 “은 그를 개가改嫁시킴을 이른다. 은 천하니 첩을 취하는 것을 ‘산다[]’고 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는 돈이다.
“상사로 인해 생긴 재화로 집안을 이롭게 하지 않는다.[不家於喪]”는 것은 죽은 사람으로 인해 집안을 이롭게 하는 것을 싫어하는 것이다.
은 나누어줌과 같으니, 서제庶弟의 어머니를 팔지 않은 것은 이고, 형제 중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준 것은 이다.
서제의 어머니를 팔아서 장례葬禮를 치르려고 하였을진댄 재화에 있어서 궁핍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상사로 인해 생긴 재화로 집안을 이롭게 하지 않는다는 말은 확고하여 바꿀 수 없는 것이니, 옛날 사람이 가난을 편안하게 여기고 를 지켰던 것이 대개 이와 같다.
大全
엄릉방씨嚴陵方氏재력財力이 없으면 기뻐할 수 없지만, 어찌 남의 어머니를 팔아서 자기 어버이를 장사葬事지내는 것이 합당할 수 있겠는가. 전지와 녹봉이 없는 자는 제기祭器를 마련하지 않는 것이니, 어찌 부의賻儀로 들어온 재물 중에 남은 것을 가지고 제기를 장만하는 것이 합당할 수 있겠는가? 이것이 바로 자류子柳자석子碩의 요청을 따르지 않은 이유이다.


역주
역주1 無財 不可以爲悅 : 充虞가 청하기를 “지난날에 저의 不肖함을 알지 못하시어 저로 하여금 목수 일을 맡게 하셨는데, 하도 급하여 제가 감히 묻지 못했습니다. 지금에 저으기 묻기를 원하오니, 棺木이 너무 아름다운 듯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孟子께서 말씀하시길〉 “法制에 할 수 없으면 마음에 기쁠 수 없으며, 財力이 없으면 기쁠 수 없는 것이다. 법제에 할 수 있고 또 재력이 있으면 옛 사람들이 모두 썼으니, 내 어찌하여 홀로 그렇게 하지 않겠는가?……내가 들으니 ‘君子는 천하를 위하여 그 어버이에게 儉朴하게 하지 않는다.’ 하였다.”라고 하였다.[充虞請曰 前日不知虞之不肖 使虞敦匠事 嚴 虞不敢請 今願竊有請也 木若以美然……不得 不可以爲悅 無財 不可以爲悅 得之爲有財 古之人皆用之 吾何爲獨不然……吾聞之也 君子不以天下儉其親](≪孟子≫ 〈公孫丑 下〉)
역주2 無田祿者 不設祭器 : ≪禮記≫ 〈曲禮 下〉 021703 참조.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