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4803 孔子之喪 門人 疑所服하더니 子貢曰昔者 夫子之喪顔淵 若喪子而無服하시며 喪子路 亦然하시니 請喪夫子호대 若喪父而無服이니라
集說
≪集說≫ 以後章二三子絰而出言之컨대 此所謂無服이니 蓋謂弔服加麻也 疏云 士弔服 疑衰라하니라
謂環絰也 絰皆兩股로대 惟環絰一股
後章從母之夫 疏云 凡弔服 不得稱服이라
集說
○方氏曰 若喪父而無服 所謂
大全
≪大全≫ 嚴陵方氏曰 方孔子之生也 以子之喪處門人이어시니 及其沒也 門人以父之喪處孔子 報施之理也
이라하니 則師之於人 豈小補哉리오
故子貢於三年之外 又築室於場하야 獨居三年然後歸하니 以恩尤所重故也
世衰道微하야 禮敎不明乎天下하니 其執親之喪 不能三年者 蓋有之矣어든 而況於師乎


공자孔子문인門人들이 상복을 입는 것에 대해 결정하지 못하자, 자공子貢이 말하기를 “옛날에 선생님께서 안연顔淵초상初喪을 치르실 때, 마치 아들을 잃은 것과 같이 하였으나 복이 없었고 자로의 상에도 그렇게 하셨으니, 선생님의 상례를 치르되 아버지를 여읜 것과 똑같이 하면서 상복은 없이 치르도록 합시다.”라고 하였다.
集說
뒷장의 “제자들이 수질首絰을 하고 나왔다.”는 것으로 말하건대, 여기에서 이른바 “복이 없다.”는 것은 아마도 조복弔服에 삼으로 만든 환질環絰을 쓴 것을 말하는 것인 듯싶으니, 에 “에 대한 조복은 의최疑衰이다.”라고 하였다.
는 환질을 이른다. 오복五服의 수질과 요질腰絰은 모두 두 가닥으로 만들되 오직 환질만은 한 가닥으로 만든다.
뒷장에 나오는 “이모[종모從母]의 남편”에 대해 에 이르기를 “모든 조복을 상복喪服이라고 칭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
子貢廬墓圖子貢廬墓圖
集說
방씨方氏:“아버지를 여윈 듯이 하면서 이 없다”는 것은 이른바 심상心喪이다.
大全
엄릉방씨嚴陵方氏:바야흐로 공자孔子께서는 살아계실 때 자식의 상례喪禮로써 문인門人들의 을 치르셨으니, 공자가 돌아가심에 미쳐 문인들이 아버지의 상례로써 공자의 상을 치른 것은 은혜에 보답하는 도리이다.
예기禮記≫ 〈학기學記〉에 “스승은 오복五服의 친족에 해당되지 않지만, 오복의 친족이 스승을 얻지 못하면 화친할 수 없다.”라고 했으니, 스승이 인륜에 있어서 어찌 작은 보탬이겠는가?
그러므로 자공子貢삼년상三年喪을 치른 이후에도 마당에 집을 짓고 홀로 3년을 지낸 뒤에 떠나갔으니, 은혜가 더욱 중한 바이기 때문이다.
아! 세상이 쇠퇴하고 가 미약해짐에 의 교화가 천하天下에 밝아지지 않자 어버이의 상을 치르면서 3년상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자가 있는데, 하물며 스승에 있어서이겠는가.


역주
역주1 五服 : 죽은 자와 친하고 소원한 관계에 따라 입게 되는 다섯 가지 喪服을 뜻한다. 斬衰服, 齊衰服, 大功服, 小功服, 緦麻服을 가리킨다.
역주2 心喪 : 죽음에 대해 애도함이 喪을 치르는 것과 같지만 실제적으로 喪服을 입지 않는 것을 뜻한다. 주로 스승이 죽었을 때 제자들이 치르는 상을 가리킨다.
역주3 學記曰……五服弗得不親 : 옛날 배우는 자들은 사물의 비슷한 類를 비교하여 알았으니, 북이 五聲에 해당되지 않지만 오성이 북을 만나지 못하면 조화롭지 않으며, 물이 五色에 해당되지 않지만 오색이 물을 만나지 않으면 빛나지 않으며, 배움이 五官에 해당되지 않지만 오관이 배움을 얻지 못하면 다스려지지 못하며, 스승이 五服의 친족에 해당되지 않지만 오복의 친족이 스승을 얻지 못하면 화친할 수 없다.[古之學者 比物醜類 鼓無當於五聲 五聲弗得不和 水無當於五色 五色弗得不章 學無當於五官 五官弗得不治 師無當於五服 五服弗得不親](≪禮記≫ 〈學記〉)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