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42802 其變而之吉祭也 比至於祔 必於是日也接이니 不忍一日末有所歸也일새니라
集說
≪集說≫ 上文所言 皆據正禮 此言變者 以其變易常禮也 所以有變者 以有他故하야 未及葬期而卽葬也
據士禮 速葬速虞之後 卒哭之前 其日尙賖하니 不可無祭
往也
虞往至吉祭 其禮如何 曰虞後比至於祔 遇剛日이면 而連接其祭 若丁日葬則巳日再虞하고 後虞改用剛日이면 則庚日三虞也
此後遇剛日則祭하야 至祔而後止 孝子不忍使其親一日無所依歸也


그 변고가 있어서 〈을 하고〉 길제吉祭로 넘어가게 된 경우에는 부제祔祭에 이르기까지 반드시 이날에 졸곡제卒哭祭부제祔祭를 연달아 지내야 하니, 차마 하루라도 이 돌아갈 곳이 없게 할 수가 없어서이다.
集說
윗글에서 말한 것은 모두 정례正禮에 근거한 것이니, 여기에서 이라고 말한 것은 그 상례常禮를 바꾸었기 때문이고, 변고가 있다는 것은 다른 연고가 있어서 장사葬事할 시기에 미치지 않았는데 곧바로 장사를 지내는 것이다.
의례儀禮≫ 〈사상례士喪禮〉에 근거해보면, 신속히 장사를 지내고 신속히 우제虞祭를 지낸 뒤에 졸곡卒哭을 지내기 전까지는 그 날짜가 아직 많이 있으므로 제사가 없을 수가 없다.
는 간다[]는 뜻이다.
우제에서 넘어가 길제吉祭에 이르기까지 그 가 어떠한가? 우제 뒤에 부제祔祭에 이르기까지 강일剛日을 만나서 그 제사가 연속되니, 만약 정일丁日에 장사를 지냈다면 사일巳日재우제再虞祭를 지내고, 뒤의 우제虞祭를 다시 강일剛日을 사용하였다면 경일庚日삼우제三虞祭가 된다.
이 뒤에 강일剛日을 만나면 졸곡제卒哭祭를 지내고서 부제에 이른 뒤에 제사를 마치니, 이는 효자가 차마 그 어버이로 하여금 하루도 귀의歸依할 곳이 없도록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역주
역주1 渴葬 : 사망에서부터 장사 지내기까지 일정한 기간이 있는데, 장사를 지낼 기일이 되기 전에 미리 장사를 지내 매장하는 것을 말한다.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