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6601 故 君子하며 下卿位하며, 入國不馳하며 入里必式이니라.
集說
[集說] 式黃髮 敬老也, 下卿位 敬大臣也.
君出則過卿位而登車하고, 入則未到卿位而下車라 하니라. 入
國不馳 恐車馬 躪轢人也.
十室 猶有忠信하니, 二十五家之中 豈無可敬之人이리오.
入里門必式하니, 所謂不誣十室也.
○ 鄭氏호대 發句 言故, 明此衆篇雜辭也.
大全
[大全] 嚴陵方氏호대 黃髮則老之尤者, 詩 所謂黃髮兒齒 是矣.
土色也,
形生於土하야 而反於土하니, 髮至於黃 則形將反本故也.
○ 李氏호대 國君而下卿位 不已過乎.
曰君子之所以待天下之賢臣 其禮有隆而無殺者 篤于至誠而已矣니라.


그러므로 군자는 황발黃髮의 노인에게 의 예를 하고, 의 자리를 지날 때는 수레에서 내리며, 도성都城에 들어가서는 말을 달리지 않으며, 마을 문에 들어설 때에는 반드시 의 예를 한다.
集說
[集說]황발黃髮의 노인에게 식례式禮를 하는 것은 노인을 공경하는 것이고, 의 자리를 지날 때 〈수레에서〉 내리는 것은 대신大臣을 공경하는 것이다.
에 의하면, 임금이 나갈 때에는 의 자리를 지나가서 수레에 오르고, 들어올 때에는 의 자리에 이르기 전에 수레에서 내린다고 하였다.
국도國都에 들어 와서는 말을 달리지 않는 것은 거마車馬가 사람을 다칠까 염려해서이다.
열 집이 사는 작은 마을에도 오히려 충성스럽고 신의 있는 사람이 있는 법이니, 어찌 스물다섯 집이 사는 마을에 공경할 만한 사람이 없겠는가.
그러므로 마을 문에 들어설 때에는 반드시 의 예를 하는 것이니, 소위 ‘열 집이 사는 마을도 업신여기지 않는다.’는 것이 이것이다.
정씨鄭氏 : 의 첫머리에서 ‘그러므로[故]’라고 한 것은 이 대목이 여러 편의 글에서 따다가 섞어 놓은 것임을 밝힌 것이다.
大全
[大全]엄릉방씨嚴陵方氏 : 황발은 노인 중에서도 상노인이니 황발아치黃髮兒齒라고 한 것이 바로 이 말이다.
누런색은 흙의 색이다.
〈인간의〉 형체는 흙에서 만들어져 흙으로 돌아가니 머리카락이 누런색에 이르는 것은 형체가 장차 근본[土]으로 돌아가려는 까닭에 〈그런 것〉이다.
이씨李氏 : 국군國君으로서 의 자리를 지날 때는 수레에서 내리는 것은 너무 지나친 것[過恭]이 아닌가?
〈그렇지 않다.〉 군자가 천하의 어진 신하를 대하는 예는 높이기는 하지만 낮추지는 않으니 〈이는 어진 신하를 대하는〉 지극한 정성에 충실할 뿐인 것이다.


역주
역주1 黃髮 : 黃髮은 鮐背와 함께 나이가 매우 많은 노인을 지칭할 때 쓰이는 말이다. 노인이 백발이 다하면 누런 머리 즉 황발이 생기며, 鮐背는 고등어의 등이라는 뜻인데 노인의 등에는 고등어의 등에 난 것과 같은 반점이 생긴다고 하여 생긴 호칭이다. 또한 매우 늙은 노인을 지칭하는 말로 兒齒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노인이 이가 다 빠지고 나면 가는 이가 다시 나는데 이것이 마치 어린이 치아와 같다고 하여 兒齒라고 하여 노인의 대명사로 쓴다. 《漢語大詞典》 黃髮鮐背, 黃髮兒齒조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