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1601 當室하여는 冠衣 不純采니라.
集說
[集說] 呂氏호대 當室 謂爲父後者.
問喪 曰童子不緦호대
唯當室라하니 亦指爲父後者.
所謂不純采者 雖除喪이나 猶純素也
惟當室者 行之 非當室者 不然也.
大全
[大全] 馬氏호대 孟子 曰 父母俱存하며 兄弟無故 一樂也라 하니, 樂於中者 文必稱於外.
冠衣 不純素 所以文之也.
孤子當室者 謂嫡室也 冠衣不純采者 異於諸子也.
蓋父之於長子 冠於阼 以著代也 服之三年 以稱情也 則嫡之於父 其可以不加隆乎.


고자孤子로서 아버지의 대를 잇는 자는 〈상복을 벗더라도〉 관과 심의에 채색 천으로 가선을 두르지 않는다.
集說
[集說]여씨呂氏 : 당실當室은 아버지의 후계자가 된 자를 말한다.
예기禮記》 〈문상問喪〉편에 “어린 아이는 시마복緦麻服을 입지 않는다.
그러나 오직 대를 잇는 자는 시마복을 입는다.”고 하였는데, 또한 아버지의 후계자가 된 자를 가리킨 것이다.
이른바 채색 천으로 가선을 두르지 않는다는 것은 비록 탈상脫喪하였더라도 그대로 흰색으로 옷에 가선을 두르는 것이다.
다만 아버지의 후계자만 그렇게 하고 후계자가 아닌 사람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大全
[大全]마씨馬氏 : 《맹자孟子》에 “부모가 모두 생존해 계시고 형제들이 무고한 것이 첫 번째의 즐거움이다.” 하였는데, 〈부모가 계시어〉 마음이 즐거운 자는 겉모습을 꾸미는 것도 반드시 그에 맞게 해야 한다.
과 옷에 흰색으로 가선을 두르지 않는 것이 바로 꾸미는 것이다.
고자孤子로서 을 맡았다는 것은 적실嫡室(正寢)을 맡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니 관과 심의에 색깔 있는 가선을 두르지 않는 것은 여러 아들들과 구별하는 것이다.
대개 아버지는 장자에게 대하여 〈주인의 위차位次인〉 에서 관례를 행하는 것은 를 잇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을 삼 년간 입는 것은 정리情理에 맞게 한 것이니, 이런즉 적자嫡子가 아버지에 대하여 더 융숭하게 하지 않아서야 되겠는가.


역주
역주1 孤子 : 孤子는 29세 이하인 자로서 아버지가 없는 사람을 가리킨다.[孤子謂二十九以下而無父者] 《禮記注疏》 卷1 〈曲禮 上〉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