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6202 逮事父母어든 則諱王父母하고, 不逮事父母어든 則不諱王父母니라.
集說
[集說] 及也.
庶人 父母 早死 不聞父之諱其祖 亦不諱其祖,
有廟以事祖者 則不然也니라.
大全
[大全] 馬氏호대 始死而諱 是知死而致死之 不仁也, 卒哭而不諱 是知死而致生之 不知也.
聖人 知其然이라 將葬則有賜諡易名之禮하고 하야 以明生事於此畢하고 鬼事於此始也.
○ 長樂陳氏호대 死而不諱 則安忍而忘親이며 二名而均諱 則易犯而難辟.
聖人 知其然하사 爲之諱名之禮하사 使之卒哭而諱하니 所以盡愛敬之心이라.
二名不偏諱 所以適言語之便이라.


〈내가〉 생전에 부모를 모셨으면 조부모를 휘하고, 미처 부모를 모시지 못하였으면 조부모를 휘하지 않는다.
集說
[集說]는 ‘미치다’의 뜻이다.
서인庶人은 부모가 일찍 돌아가셨으면 아버지가 자기 할아버지를 휘하는 것을 듣지 못하였을 것이므로 또한 그 할아버지를 휘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당이 있어 할아버지를 섬기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大全
[大全]마씨馬氏 : 죽자마자 하는 것은 죽음을 인정하여 죽은 자로 대접하는 것이니 불인不仁한 것이고 졸곡이 지나고도 하지 않는 것은 죽음을 인정하면서도 산 자로 대접하는 것이니 지혜롭지 않은 것이다.
성인聖人은 그런 연유를 알기 때문에 장사를 지낸 후에는 시호를 내려 이름을 바꾸어 주는 예를 만들었고, 졸곡이 지나면 종묘에서 고조의 를 나가게 하고 새로 모시게 된 의 이름을 휘하도록 명령하여, 생전의 일은 여기에서 끝나고 이제 귀신의 일이 비로소 시작된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장악진씨長樂陳氏 : 죽었는데도 휘하지 않는다면 잔인殘忍하게도 부모를 잊는 것이고, 이름 두 자를 따로따로 모두 휘하면 〈그 글자를〉 피하기 어려워 쉽게 를 범하게 된다.
성인이 그런 연유를 알아서 이름을 휘하는 예를 만들고 졸곡을 지내면 휘하게 하니 〈부모에 대한〉 애경愛敬의 마음을 극진하게 하는 것이다.
이름 두 자를 글자마다 휘하게 하지 않는 것은 언어 사용에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 체
역주2 卒哭則有舍舊諱新之令 : 졸곡이 지나면 종묘에서 遷位를 하게 되는데 이때 한 자리(고조의 아버지)는 종묘에서 나가게 되고 한 자리(죽은 아버지)는 새로 들어오게 되는데 이것을 ‘舍故而諱新’이라고 한다. 즉 이제 高祖의 이름은 더 이상 諱하지 않고 새로 종묘에 들어온 아버지의 이름을 諱한다는 뜻이다.[旣卒哭 宰夫執木鐸 以命于宮 曰舍故而諱新 注 故謂高祖之父當遷者也] 《禮記注疏》 卷10, [周禮大喪小喪 宰夫掌其戒令 故卒哭後 使宰夫執金口木舌以鐸振之 以命令于宮也 其令之之辭曰 舍故而諱新 故謂高祖之父當遷者 諱多難避 故使之舍舊諱而諱新死者之名也] 《禮記大全》 卷4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