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2801 伯魚之母死커늘 期而猶哭한대 夫子聞之하시고 曰誰與 哭者 門人曰 鯉也로소이다
夫子曰 嘻 其甚也로다 伯魚聞之하고 遂除之하니라
集說
≪集說≫ 伯魚之母出而死하니 父在 爲母期而有禫이로대 出母則無禫이라
伯魚乃夫子爲後之子일새 則於禮無服하니 期可無哭矣로대 猶哭이라 夫子所以歎其甚하시니라
大全
≪大全≫ 廣安游氏曰 天下之禮 苟循其情而爲禮 則子路伯魚不知其所終이요 約其不及之情而爲禮 則原壤宰予不可以爲訓이라
故禮者通乎賢不肖而爲之하니 不可以過 不可以不及也


백어伯魚의 어머니가 죽고나서 기년期年이 지났는데도 오히려 그때까지 〈백어가〉 을 하였다. 공자孔子께서 곡소리를 들으시고 말씀하시길 “누구냐, 곡하는 자가?”라고 하시자, 문인門人이 대답하기를 “입니다.”라고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아! 심하구나.”라고 하시자, 백어가 그 말씀을 듣고 마침내 곡을 그만두었다.
集說
백어伯魚의 어머니는 쫓겨나고서 죽었으니, 아버지가 살아 계실 때에는 어머니를 위하여 기년상期年喪을 하고 담제禫祭를 지내지만, 쫓겨난 어머니에 대해서는 담제를 지내지 않는다.
백어는 바로 공자孔子후사後嗣가 될 아들이므로 에 따르면 〈출모出母를 위해 입는 상복喪服이〉 없으니, 기년期年이면 을 하지 않아도 되는데 여전히 곡을 했기 때문에 공자께서 그것이 심하다고 탄식하신 것이다.
大全
광안유씨廣安游氏천하天下에 〈두루 통용되는〉 에 있어서 그 을 구차하게 따라 를 행한다면 자로子路백어伯魚는 그 마쳐야 할 바를 알지 못한 것이고, 미치지 못하는 을 요약해서 예를 행한다면 원양原壤재여宰予는 가르침으로 삼을 수 없다.
따라서 예란 현명한 자와 불초한 자에게까지 통용되어야 하는 것이니, 지나쳐서도 안 되고 미치지 못해서도 안 되는 것이다.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