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20601 國君 不名卿老世婦하고, 大夫 不名世臣姪娣하고, 士 不名家相長妾이니라.
集說
[集說] 不名 不以名呼之也.
○ 疏호대, 上卿하니曰卿老.
世婦 兩媵也, 次於夫人而貴於諸妾也.
世臣 父在時老臣也.
姪是妻之兄女, 娣是妻之妹, 從妻來爲妾也.
이로대, 此有世臣者 子賢襲父爵也.
家相 助知家事者, 長妾 妾之有子者.
大全
[大全] 金華應氏호대 所謂故國者 非喬木之謂也 有世臣之謂也
古者 立國 必有世家大族하여 以培護其本根하고 且有世臣大老하여 以隆固其棟幹이라.
人君常寵異而尊禮之 所以存忠厚養恭敬也
氣脈 不墜乎先世하고 典刑 可厲乎後來리라.
國之卿老 家之世臣 士之家相 尊卑不同이나 而輔贊則一이니 敬之而不名 所以示夫外之有所統也니라.
若夫內助之賢而舊者 如世婦 如姪娣 如長妾 雖其分 不敵於女君이나 其貴 實隆於諸御하니 敬之而不名 所以示夫內之有所統也.
內外皆有所敬而不名이면 則受其所敬者 莫不竭其忠而盡心하고 覩其可敬者 莫不知所畏而稟命하리니
然後 國政家事 有所統一而緩急하고 有所憑藉而倚重矣리라.


국군國君경로卿老세부世婦의 이름으로 부르지 않고, 대부大夫세신世臣처질妻姪처제妻娣의 이름으로 부르지 않고, 가상家相장첩長妾의 이름으로 부르지 않는다.
集說
[集說]불명不名은 이름으로 부르지 않는 것이다.
: 상경上卿은 존귀하므로 경로卿老라 한다.
세부世婦는 두 명의 잉첩媵妾이니, 부인夫人의 다음이고 여러 보다는 높다.
세신世臣선왕先王재위在位 때부터 벼슬한 노신老臣이다.
은 처형의 딸이고, 는 처의 여동생이니 처가 시집올 때 따라와 이 된 여자들이다.
대부大夫는 작위를 세습하지 않는 법인데, 여기에 세신世臣이 들어 있는 것은 자식이 어질어서 부친의 작위를 세습 받은 경우이다.
가상家相은 도와서 집안일을 맡아보는 사람이고, 장첩長妾은 자식을 낳은 첩이다.
大全
[大全]금화응씨金華應氏 : 이른바 고국故國이란 교목喬木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세신世臣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옛날 나라를 세움에 반드시 세가世家대족大族을 두어서 그 〈나라의〉 뿌리를 북돋고 감싸며, 또 세신世臣대로大老를 두어서 그 줄기를 굳고 성하게 한 것이다.
인군이 항상 그들을 총애하여 를 갖추어 대우하는 것은 충후忠厚공경恭敬의 기풍을 보전하고 배양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한다면〉 나라의 기맥氣脈선대先代처럼 굳건해지고 기강은 대대로 엄정해 질 것이다.
경로卿老세신世臣가상家相존비尊卑의 구분은 있으나 돕는다는 것은 한가지이니 공경하여 이름을 부르지 않는 것은 밖이 다스려지는 바가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세부世婦처질妻姪처제妻娣장첩長妾과 같이 오랫동안 현명하게 내조한 이들은 비록 신분은 여군女君에 상대가 되지 못하나 귀함은 실로 다른 여자들보다 높으니 공경하여 이름을 부르지 않는 것은 안이 다스려지는 바가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안과 밖에 모두 공경하는 바가 있어 이름을 부르지 않으면 그 공경을 받은 이는 충성을 다하여 진심을 바칠 것이며, 그 공경하는 것을 본 이는 두려워 할 바를 알아서 명령을 받들 것이다.
이렇게 되면 국정國政은 하나로 귀일歸一되어 〈전쟁과 같이〉 급한 일을 해결하게 되고 가사家事는 의지할 만한 것이 생겨서 〈종통宗統의〉 무거움을 전하게 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大夫不世爵 : 大夫의 작위에 대하여 “제후의 세자는 나라를 세습하고 대부는 작위를 세습하지 않는다. 〈제후는 건국에 공이 있어 나라에 封해졌으므로 세자가 나라를 세습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는 덕으로써 임명하고 공으로써 작위를 주는 것이다.[諸侯世子世國 大夫不世爵 使以徳 爵以功] 《禮記注疏》 卷13 〈王制〉”라고 하였고 그 疏에 “제후의 대부가 작록을 세습하지 않는다고 한 것은 제후는 천자보다 낮으므로 〈그의〉 대부가 작록을 세습하지 않는다고 한 것이니 만약 커다란 공이나 덕이 있다면 역시 세습할 수 있는 것이다.[諸侯之大夫不世爵禄者 諸侯降於天子 故大夫不世爵禄 若有大功徳 亦得世之] 《禮記注疏》 卷13 〈王制〉”라고 하였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