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0701 太上 貴德하고 其次 務施報하니
禮尙往來
往而不來 非禮也 來而不往 亦非禮也니라.
集說
[集說] 太上 帝皇之世 但貴其德 足以及人이요 不貴其報.
其次 三王之世 至三王而備.
以施報爲尙하니라.
大全
[大全] 馬氏호대 禮之設 所以緣人情也
라 하니라.
又曰호대 禮得其報則樂이니
聖人 因人情之所樂하야 制爲往來之禮 所以使天下之人으로 亹亹而不倦也.
夫獻而必有酬하며 酬而必有酢 此往來之禮 見於燕飮也 主人 出迎則客 固辭하며 就東階則主人 固辭 此往來之禮 見於際接也.
服之三年者 其報必期하고 服之期者 報亦如之 此往來之禮 見於喪紀也,
其往而不來하며 來而不往이면 則禮失其報 而爲禮者 有時而怠矣니라.


상고上古시대에는 을 귀하게 여겼고, 그 다음 시대에는 은혜를 베풀고 은혜를 갚는 것에 힘썼다.
는 오고 가는 것[往來]을 숭상한다.
가기만 하고 오지 않는 것은 가 아니며, 오기만 하고 가지 않는 것도 가 아니다.
集說
[集說] 태상은 제황帝皇의 시대인데, 이때는 다만 그 이 충분히 남에게 미처 가는 것을 귀하게 여겼고 갚는 것을 귀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 다음 시대는 삼왕三王의 시대인데, 삼왕三王의 시대에 와서야 완비되었다.
그래서 〈삼왕三王의 시대에 와서야〉 은혜를 베풀고 은혜에 보답하는 것을 숭상하게 되었다.
大全
[大全]마씨馬氏 : 를 정한 것은 인정을 따라 살기 위해서이다.
그러므로 는 천하 사람들이 이롭게 여기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마씨우왈馬氏又曰 : 는 그 보답을 얻게 되면 즐거운 것이다.
성인은 바로 이 즐거운 마음을 따라서 가고 오는 를 만들었으니 이는 천하의 사람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계속하여 〈예를 행함에〉 게을리 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주인이 손님에게 술을 올리면 손님이 반드시 답배를 올리고 답배를 올리면 주인은 반드시 다시 손님에게 답배를 올리는 것은 가고 오는 예가 연음燕飮에 표현된 것이고, 주인이 나아가서 맞이하면 손님이 고사固辭하며 손님이 동쪽 계단으로 가면 주인이 고사하는데 이는 가고 오는 예가 손님의 접대에 표현된 것이다.
입을 삼년三年인 자는 상대가 입는 복도 또한 그 기간과 같고, 복이 기년期年인 자는 상대가 입는 복도 또한 그와 같으니, 이는 가고 오는 예가 상사喪事에 표현된 것이다.
갔는데 오지 않거나 왔는데 가지 않으면 예가 그 보답을 잃은 것이어서 경우에 따라 게을러 질 수 있다.


역주
역주1 報者 天下之利也 : 鄭玄의 注에 報는 곧 禮라고 했다. 왜냐하면 예는 서로 왕래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子言之 仁者天下之表也 義者天下之制也 報者天下之利也 注 報謂禮也 禮尙往來] 《禮記注疏》 卷54 〈表記〉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