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26001 生 曰父曰母曰妻, 死 曰考曰妣曰嬪이오,
026101 壽考曰卒이오, 短折曰不祿이라 하나니라.
集說
[集說] 嬪者 婦人之美稱이라.
猶賓也, 夫所賓敬也.
短折 夭橫而死也.
此言卒與不祿 與上文大夫士之稱으로 同者 彼以位之尊卑이오, 此以數之脩短으로 言也.
又按呂氏說 死寇曰兵之下 當以此二句 承之, 蓋錯簡也.
○ 謝氏호대, 易曰有子 無咎라 하고, 又曰意承考也라 하고, 又書言事厥考厥長之類 皆非死而後稱이니,
蓋古者通稱이오, 後世 乃異之耳.


살아 있을 때에는 라 부르고, 죽은 뒤엔 이라고 부른다.
장수하면 이라 하고, 단명하면 불록不祿이라고 한다.
集說
[集說]부인婦人의 미칭이다.
은 손님 자와 뜻이 같으니, 남편이 〈손님처럼〉 공경해야할 대상이라는 뜻이다.
단절短折요절夭折횡사橫死이다.
여기서 말하는 불록不祿이 위 글의 대부大夫의 죽음을 뜻하는 호칭과 같은 것은 거기서는 지위의 존비尊卑를 가지고 말한 것이고, 여기서는 목숨의 장단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여씨呂氏에 의하면 ‘사구왈병死寇曰兵’ 아래에 마땅히 이 두 구절[壽考曰卒 短折曰不祿]을 연결해야 한다.”고 하였으니, 착간錯簡인 것이다.
사씨謝氏 : 《역경易經》에 “아들이 있으면 아버지[考]에게 허물이 없다.”고 하였고, 또 “뜻으로 아버지[考]를 받든다.”라 하였고, 또 《서경書經》에 “그대들 아버지[考]와 그대들 윗사람을 섬겨라.”한 것들은 〈의 호칭이〉 모두 죽은 뒤의 호칭이 아니다.
대개 옛날에는 통칭하던 것이 후세에 그것을 달리한 것이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