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2)

예기집설대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30501 孔子曰 拜而后稽顙 頹乎其順也 稽顙而后拜 頎乎其至也 三年之喪으란 吾從其至者호리라
集說
≪集說≫ 此 言喪拜之次序也 拜賓也 稽顙者 以頭觸地 哀痛之至也 拜以禮賓하야 稽顙以自致 謂之順者 以其先加敬於人而后盡哀於己 爲得其序也
頎者 惻隱之發也 謂之至者 以其哀常在於親하야 而敬暫施於人 爲極自盡之道也
夫子從其至者之意
集說
○朱子曰 拜而后稽顙 先以兩手 伏地如常하고 然後引首向前扣地也 稽顙而后拜者 開兩手而先以首扣地하고 却交手如常也
大全
≪大全≫ 長樂陳氏曰 拜而后稽顙 先致敬也 稽顙而後拜 先致哀也
禮廢滋久 天下不知先稽顙之爲重하고 而或以輕爲重하니 是猶不知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절한 뒤에 머리를 조아리는 것은 그 순서를 따르는 것이고, 머리를 조아린 뒤에 절하는 것은 슬퍼하면서 공경을 극진히 하는 것이니, 삼년三年상례喪禮에는 나는 공경을 극진히 하는 것을 따르겠다.”라고 하셨다.
集說
이는 상중喪中에 절하는 차서次序를 말하였다. 는 손님에게 절하는 것이다. 계상稽顙은 머리가 땅에 닿는 것이니, 애통함이 지극한 것이다. 절을 하고서 손님에게 를 표하여 머리를 조아리면서 스스로 공경을 극진히 함을 ‘순서에 따른 것[]’이라고 이른 것은 먼저 남에게 공경을 더하고 난 다음에 자기의 슬픔을 극진히 하는 것이 순서에 맞기 때문이다.
이란 슬픔이 발로發露된 것이니, 그것을 ‘지극히 함[]’이라고 이른 것은 그 슬픔은 항상 어버이에게 있으면서 공경은 잠시 남에게 베푸는 것이 스스로 정성을 다하는 도리를 극진히 함이 되기 때문이다.
부자夫子께서 그 극진히 함을 따르신 것은 또한 상사喪事에 겉치레보다는 차라리 슬퍼하는 것이 더 낫다는 뜻이다.
集說
주자朱子:“절한 뒤에 머리를 조아리는 것”은 먼저 양손을 땅에 대고 엎드려 평상시와 같이하고 그런 뒤에 목을 길게 빼고 앞으로 향하여 땅에 닿도록 하는 것이요, “머리를 조아린 뒤에 절하는 것”은 양손을 벌려 먼저 머리가 땅에 닿도록 하고 손을 맞잡기를 평상시와 같이하는 것이다.
大全
장락진씨長樂陳氏:‘절한 뒤에 머리를 조아리는 것’은 먼저 공경을 지극히 하는 것이며, ‘머리를 조아린 뒤에 절하는 것’은 먼저 슬픔을 지극히 하는 것이다.
가 폐지됨이 더욱 오래됨에 천하가 먼저 머리를 조아리는 예가 중한 것임을 알지 못하고 간혹 가벼운 것을 중한 것으로 여기니, 이는 오히려 아래에서 절하는 것이 예가 되고, 위에서 절하는 것이 교만함이 됨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孔子께서는 절하는 예의 폐단을 바로잡으시어 말씀하시길 “나는 〈슬퍼하면서〉 공경을 극진히 하는 것을 따르겠다.”라고 하였고, 교만함의 폐단을 바로잡으시어 말씀하시길 “나는 아래에서 절하는 를 따르겠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與其易(이)也 寧戚 : 林放이 예의 근본에 대해 묻자, 孔子께서 말씀하시길 “휼륭하구나, 질문이여. 禮는 사치하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해야 하고, 喪은 겉치레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슬퍼해야 한다.”고 하셨다.[林放問禮之本 子曰 大哉 問 禮與其奢也 寧儉 喪與其易也 寧戚](≪論語≫ 〈八佾〉)
역주2 拜下之爲禮……吾從下 : 堂 아래에서 절하는 것이 禮이거늘 지금은 堂 위에서 절을 하니 교만하다. 비록 사람들과 어긋난다 하더라도 나는 당 아래에서 절하는 것을 따르겠다.[拜下禮也 今拜乎上 泰也 雖違衆 吾從下](≪論語≫ 〈子罕〉)

예기집설대전(2) 책은 2022.12.2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