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5501 弔喪호대 弗能賻어든 不問其所費하며, 問疾호대 弗能遺어든 不問其所欲하며, 見人호대 弗能館이어든 不問其所舍니라.
集說
[集說] 以貨財助喪事 曰賻.
此三事 不能則皆不問者 以徒問爲可愧也.
大全
[大全] 臨川王氏호대 不問其所費하고 不問其所欲하고 不問其所舍 口惠而實不至일새니라.
○ 嚴陵方氏호대 表記호대 有客不能館이어든 不問其所舍라 하니, 則知人謂行人矣.
儒行호대 孔子至舍 哀公館之者 以此니라.


상가喪家에 가서 조문하면서 부조금을 낼 수 없으면 그 비용을 묻지 않으며, 병문안을 가서 증여를 할 수가 없으면 그가 원하는 것을 묻지 않으며, 사람을 만났을 때 그를 묵게 해줄 수 없으면 그가 묵을 곳을 묻지 않는다.
集說
[集說]재화財貨상사喪事를 돕는 것을 라 한다.
이 세 가지 일을 할 수 없다면 모두 묻지 않는 것은 한갓 묻기만 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되기 때문이다.
大全
[大全]임천왕씨臨川王氏 : 그 비용을 묻지 않고, 그가 원하는 것을 묻지 않으며 묵을 곳을 묻지 않는 것은 말로만 은혜를 베풀고 실행이 따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엄릉방씨嚴陵方氏 : 〈《예기禮記》의〉 〈표기表記〉편에 “손님이 찾아왔을 때 숙소를 제공할 수 없으면 그에게 묵을 곳을 묻지 않는다.”고 말한 것에서 그 사람이 행인行人임을 알 수 있다.
〈《예기禮記》의〉 〈유행儒行〉에 “공자가 〈나라에서 나라로 돌아와〉 자기의 집에 도착하니 애공哀公이 〈찾아와서 예를 갖추고〉 공관公館을 주어 예우하였다.”라고 한 것이 이 경우이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