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4602 有憂者 側席而坐하고, 有喪者 니라.
集說
[集說] 有憂 謂親疾이나 或他禍患이라.
獨也 獨坐一席하고, 不設待賓之席하니 爲有憂也.
一說 側席 謂偏設之하야 變於正席也라 하니 亦通이라.
單也,
貴賤之席 各有重數 居喪則否.
○ 呂氏 曰專席 不與人共坐也
大全
[大全] 張子호대 有憂者 心未安이라.
側席하고,
喪已然者 坐無容이라. 故 專席이니라.
○ 王氏호대 側席 與儀禮所謂으로이요, 專席 與郊特牲所謂으로이라.


근심이 있는 사람은 자기 자리만을 펴서 앉고,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은 홑자리에 앉는다.
集說
[集說] 근심이 있다는 것은 부모의 병환이나 기타 우환이 있는 것을 말한다.
의 뜻이 있으니, 홀로 한 자리에 앉고 손님을 맞는 자리를 준비하지 않는 것이니, 근심이 있기 때문이다.
일설에는, “측석側席은 한쪽으로 치우치게 자리를 마련하는 것으로 바르게 자리를 펴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는 데, 이 설에 따라도 뜻이 통한다.
의 뜻이다.
자리는 신분의 귀천에 따라 각기 중첩해서 까는 숫자가 정해져 있으나, 상중喪中에는 따르지 않는다.
여씨呂氏 : 전석專席은 남과 함께 앉지 않는 것이다.
大全
[大全]장자張子 : 근심이 있는 사람은 마음이 편치 않다.
그래서 한쪽으로 치우쳐 앉는다.
이미 상주喪主가 된 사람은 앉음에 격식을 차리지 않는 까닭에 혼자 앉는 것이다.
왕씨王氏 : 측석側席은 《의례儀禮》에서 이른바 측살側殺측수례側受醴과 같은 의미이고, 전석專席은 〈교특생郊特牲〉편에서 이른바 전석이작專席而酢자와 같은 의미이다.


역주
역주1 專席而坐 : 側席 및 專席에 대하여는 두 가지 상반된 해석이 있다. 즉 側의 훈을 獨(혼자, 단지)으로 보는 견해와 글자의 본뜻대로 한쪽에 치우친다고 보는 것이다. 專도 單(홑, 한겹)의 뜻으로 보는 경우와 홀로의 뜻으로 보는 경우가 있다. 전자는 鄭玄을 비롯한 古注의 견해인데 당시의 각종 儀禮制度를 바탕으로 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후자는 呂大臨을 비롯한 宋儒의 견해인데 사리 상 그렇게 보는 것이 합리적이란 주장이다. 《集說》에는 側은 獨의 뜻으로 專은 單의 뜻으로 풀어서 側席은 宋儒의 견해를 專席은 古注에 따랐다. 역자는 《集說》에 따라 번역하였다. 《大全》에서는 두 가지 상반된 주장을 모두 수록하였는데 여대림의 설은 아주 간략하게 수록하였고, 또 一說로 소개하고 있어서 古注에 무게를 둔 것처럼 보인다. 축약된 여대림의 설을 전재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呂大臨이 말하였다. 側席이란 편하게 앉지 않는 것이며 專席이란 다른 사람과 함께 앉지 않는 것이다. 〈부모의 병환 등으로 인하여〉 근심이 있는 사람은 신발도 제대로 신지 못하고 다니니 자리에 편하게 앉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喪을 당한 사람은 오직 슬퍼하고 돌아가신 부모 생각만 하여 다른 곳에 마음을 쓰지 않으니 다른 사람과 함께 앉지 않는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여막에 거처하는 것은 喪事가 아니면 언급하지 않으며 練祭 후에는 堊室에 거처하여 다른 사람과 함께 살지 않으니 이것이 모두 專席(혼자 앉는다)의 의미이다. 先儒가 側을 特으로 專을 單으로 만들었으나 아무런 근거가 없다. 단지 側을 特으로 본 것은 《儀禮》에 이른바 側降 側受(여기서 側은 獨의 뜻이다.)같은 것들로서 特으로 본 것이 비록 옳지만 그러나 〈이렇게 해석하면 이미 홀로 앉는다는 뜻의〉 專席과 차이가 없게 되니 〈이 글에서는〉 特으로 側을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呂大臨曰 側席坐不安也 專席不與人共坐也 有憂者 行不能正履 則坐不能安席 可知矣 有喪者 致於哀慕心不二事 則不與人共處 可知矣 居倚廬非喪事不言 旣練居堊室 不與人居 皆專席之義也 先儒以側爲特 以專爲單 旣無所據 而以側爲特 如禮所謂側降側受之類 所訓雖可然 與專席無别 則不可以特訓側也] 《讀禮通考》 卷55 喪儀節十八
역주2 側殺‧側受醴之側 : 側은 独의 의미다. 즉 혼자라는 뜻이다. 《儀禮注疏》 卷8 〈聘禮〉 第八 및 卷15 〈特牲饋食禮〉 참조. 주107 참조.
역주3 專席而酢之專 : 專은 홑 혹은 한 겹의 뜻이다.[專猶單也] 《禮記注疏》 卷25 〈郊特牲〉 참조. 주107 참조.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