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26501 凡摯 天子이오, 諸侯, 卿, 大夫이요, 士, 庶人之摯 이니,
童子 委摯而退니라.
野外軍中 無摯하니, 以纓拾矢 可也니라.
集說
[集說] 摯 與贄同하니, 執物以爲相見之禮也.
釀秬黍爲酒 曰秬鬯이오, 和以鬱金之草則曰鬱鬯이오,
不以鬱和則直謂之鬯이니, 言其芬香 條暢於上下也.
天子 無客禮而言摯者 用以禮見於神而已.
命圭也, 公 桓圭 信圭 躬圭 穀璧이오 蒲璧이니,
此不言璧 略也.
取其群而不失類하고 且潔素也, 雁 取其知時하고 且飛有行列也,
取其性之耿介하고 且文飾也.
讀爲鶩이니, 野鴨曰鳧, 家鴨曰鶩이니
不能飛騰 如庶人之終守耕稼也.
童子 不敢與成人爲禮, 或見師友而執贄則奠委于地而自退避之也.
馬之繁纓이니, 卽馬鞅也.
射韝也, 矢 箭也,
或野外或軍中 隨所有用之也.
桓圭《三圖》 信圭《三圖》 躬圭《三圖》桓圭《三圖》 信圭《三圖》 躬圭《三圖》
穀璧《三圖》 蒲璧《三圖》穀璧《三圖》 蒲璧《三圖》


무릇 예물禮物은, 천자는 으로 하고, 제후는 를, 은 새끼 양, 대부는 기러기, 는 꿩, 서인은 오리를 사용한다.
동자童子는 예물을 땅에 놓고 물러간다.
야외野外에서나 군중軍中에서는 예물이 없으니, 말배띠끈, 깍지, 화살로 하는 것이 좋다.
集說
[集說]자와 뜻이 같으니, 상견례를 할 때에 가지고 가는 물건이다.
은 검은 기장[秬黍]으로 빚은 술로서 거창주秬鬯酒라 하고, 울금초鬱金草를 섞었으면 울창주鬱鬯酒라고 한다.
울금초를 섞지 않은 것을 이라고 하니, 그 향기가 상하에 퍼짐을 말한다.
천자에게는 객례客禮가 없는 것인데도 예물이라고 말한 것은 예를 갖추어 을 뵙기 때문이다.
명규命圭이니, 환규桓圭를 사용하고, 신규信圭를 사용하고, 궁규躬圭를 사용하며, 곡벽穀璧을 사용하고, 포벽蒲璧을 사용한다.
여기서 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생략한 것이다.
새끼 양은 무리를 지어 동류同類를 잃지 않는 점과 깨끗하다는 점을 취한 것이고, 기러기는 사시四時를 알고 날아갈 때에 항렬行列이 있음을 취한 것이다.
뀡은 그 성질의 깨끗함과 빛깔의 화려함을 취한 것이다.
(목)자로 읽으니, 들오리를 라 하고, 집오리를 이라 한다.
그 날아오르지 못하는 것이 서인庶人이 농사짓는 일을 끝내 지키는 것과 같다.
동자童子는 감히 성인成人과 대등하게 예를 행하지 못하니, 혹 사우師友를 뵙고 예물을 바치는 경우에는 예물을 땅에 두고서 스스로 물러난다.
은 말의 장식이니, 곧 말의 배띠끈이다.
은 활을 쏠 때에 끼는 깍지이고, 는 화살이다.
야외나 군중에서는 가지고 있는 물건에 따라 〈알맞게〉 사용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 목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