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5203 五十 不致毁하고 六十 不毁하며 七十 唯衰麻 在身이오, 飮酒食肉하며 處於內니라.
集說
[集說] 五十 始衰
不極毁,
六十則又衰矣 不可毁,
七十之年 去死不遠이라 略其居喪之禮者
所以全其易盡之期也.
大全
[大全] 嚴陵方氏호대 毁瘠不形 慮或至於滅性故也.
居喪之禮 雖哭泣無時이나 不可以過哀而喪其明焉이요,
雖聞樂不樂이나이나 不可以過哀而聵其聰焉이라.
視聽 則不足以當大事也, 雜記호대 視不明聽不聰 君子病之者 以此니라.
前言爲人子者 居不主奧하며 行不中道하며 及其居喪하야는 則升降不由阼階하며 出入 不當門隧者 事死如事生也.
七十則衰麻之外 與平居無以異하니 飮酒食肉則不必有疾이오, 處於內則不必居門外之倚廬也.


거상居喪의 예는〉 나이 50에는 몸을 심하게 상하도록 하면 안 되고, 60에는 상하게 해서는 안 되며, 70에는 상복만 몸에 걸치고 술 마시고 고기 먹으며 집안에서 거처한다.
集說
[集說] 50이면 몸이 쇠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애훼哀毁를 극도로 하지 않는다.
60은 더 노쇠했기 때문에 애훼哀毁해서는 안 된다.
70의 나이는 죽을 때가 멀지 않았으므로 거상居喪의 예를 간략하게 한다.
〈이것은〉 몸을 보전하여 상기喪期를 쉽게 끝낼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大全
[大全]엄릉방씨嚴陵方氏 : 슬픔으로 몸을 상하여 수척해지더라도 뼈가 드러나는 정도까지는 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은 혹시라도 생명을 잃는 상황에 이르게 될 것을 염려하기 때문이다.
상중에 있을 때의 예는 비록 곡하는 데에 정해진 때가 없을 정도로 슬퍼하지만 지나치게 슬퍼하여 시력을 잃어서는 안 된다.
비록 음악을 듣더라도 아무런 즐거움이 없을 정도로 슬퍼하지만 지나치게 슬퍼하여 청력聽力을 잃어서도 안 된다.
시력과 청력이 약해지면 큰일을 맡을 수 없으니, 〈《예기禮記》의〉 〈잡기雜記〉에 “보는 것이 분명하지 않고 듣는 것이 또렷하지 않은 것을 군자는 병통으로 여긴다.”고 한 것은 이 때문이다.
앞에서 자식 된 사람은 방의 서남 쪽 구석[奧]에 거처하지 않으며, 길 한가운데로 걷지 않으며, 상중에 있을 때에는 오르내림에 동쪽 계단을 쓰지 않으며, 들고날 때에 문의 가운데로 가지 않는다고 한 것은 죽은 이 섬기기를 산 사람 섬기듯이 하는 것이다.
나이 70이 되면 상복을 입는 것 이외에는 평소와 다름없이 하니, 술 마시고 고기 먹는다는 것은 질병과 관계없이 그렇게 한다는 것이며, 내실에서 거처한다는 것은 문 밖의 여막廬幕에서 머물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