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荊岐 旣旅하시고
[傳]已旅祭 言治功畢이라 此荊在岐東하니 非荊州之荊이라
[疏]傳‘已旅’至‘之荊’
○正義曰:洪水之時, 祭祀禮廢, 已旅祭, 而言治功畢.
治水從下, 自東而西, 先荊後岐. 荊在岐東, 嫌與上荊爲一, 故云‘非荊州之荊’也.
地理志云 “禹貢北條荊山, 在馮翊懷德縣南, 南條荊山, 在南郡臨沮縣北. 彼是荊州之荊也.
終南惇物 至于鳥鼠하시며
[傳]三山名이니 言相望이라
○終南 山名이니 漢書地理志 一名太一이라하고 秦記云 又名地肺라하니라 惇物 山名이니 漢書云 垂山也
[疏]傳‘三山’至‘相望’
○正義曰:以荊‧岐單名, 此山復名, 故辯之云 ‘三山名’也. 至於爲首尾之辭. 故‘言相望’也.
三山空擧山名, 不言治意, 蒙上‘旣旅’之文也. 地理志云 “扶風武功縣有太一山, 古文以爲終南. 垂山, 古文以爲惇物, 皆在縣東.”


荊山과 岐山에 이미 旅祭를 지내셨고,
‘이미 旅祭를 지냈다’는 것은 〈홍수를〉 다스리는 일이 끝났음을 말한 것이다. 이 荊山은 岐山의 동쪽에 있으니 荊州의 荊山이 아니다.
傳의 [已旅]에서 [之荊]까지
○正義曰:홍수 때에는 제사 지내는 예제가 폐지되었는데, 이미 旅祭를 지내어 〈홍수를〉 다스리는 일이 끝났음을 말하였다.
아래에서부터 홍수를 다스리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해나가므로 荊山을 먼저 말하고 岐山을 뒤에 말한 것이다. 荊山이 岐山 동쪽에 위치해 있어서 앞에 〈나온〉 荊山과 동일시할까 혐의스럽기 때문에 ‘荊州의 荊山이 아니다.’라고 한 것이다.
≪漢書≫ 〈地理志〉에 “禹貢의 北條荊山은 馮翊郡 懷德縣 남쪽에 있고, 南條荊山은 南郡 臨沮縣 동북쪽에 있다.”라고 하였으니, 저기서는 荊州의 荊山이다.
終南山과 惇物山으로부터 鳥鼠山에 이르셨으며,
세 산 이름이니, 서로 바라보고 있음을 말한 것이다.
○終南은 산 이름이니, ≪漢書≫ 〈地理志〉에 “일명 太一이라 한다.”라 하였고, ≪三秦記≫에는 “또 地肺라고 이름을 부른다.”라고 하였다. 惇物은 산 이름이니, ≪漢書≫에는 “垂山이다.”라고 하였다.
傳의 [三山]에서 [相望]까지
○正義曰:‘荊’과 ‘岐’는 한 글자로 된 이름이고 이 山은 두 글자로 된 이름이기 때문에, 변별하여 ‘세 산 이름’이라고 한 것이다. 첫 부분과 끝부분이 되는 말에 이르렀기 때문에 ‘서로 바라보고 있음을 말한 것’이라고 하였다.
세 산에 대해서 그저 산 이름만 거명하였을 뿐, 다스린 내용에 대해서 말하지 않은 것은 위에 있는 ‘旣旅(이미 旅祭를 지냈다.)’의 글을 이어받았기 때문이다. ≪漢書≫ 〈地理志〉에 “右扶風 武功縣에 太一山이 있으니 古文에서 ‘終南’이라 하였고, 垂山은 古文에서 ‘惇物’이라 하였으니, 모두 武功縣 동쪽에 위치해 있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東] : 저본에는 없으나, ≪漢書≫ 〈地理志〉와 아래의 疏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山)[三] : 저본에는 ‘山’으로 되어 있으나, 武英殿本‧薈要本에 의거하여 ‘三’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