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太保曁芮伯 咸進相揖하고 皆再拜稽首하여
[傳]冢宰與司徒 皆共群臣 竝進陳戒 不言諸侯 以內見外
曰敢敬告天子하노이다 皇天 改大邦殷之命이어시늘
[傳]大天改大國殷之王命 謂誅紂也
惟周文武誕受하사 克恤西土하시니이다
[傳]言文武大受天道而順之하여 能憂我西土之民 本其所起
○羑 馬云 道也라하니라


태보太保예백芮伯이 함께 나아가 서로 읍하고는 모두 재배하고 머리를 조아려
총재冢宰사도司徒가 모두 여러 신하․제후諸侯와 함께 아울러 나아가 경계하는 말을 진달하였다. ‘제후諸侯’를 말하지 않은 것은 안을 가지고 밖을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말씀드렸다. “감히 천자께 공경히 아뢰옵니다. 황천皇天대방大邦나라의 명을 바꾸시자,
위대한 하늘이 대국大國나라의 왕명王命을 바꾸었다는 것은 주살誅殺함을 이른다.
나라의 문왕文王무왕武王께서 크게 천도天道를 받아 순종하시어 능히 서쪽 지방의 백성들을 걱정하셨습니다.
문왕文王무왕武王이 크게 천도天道를 받아 순종하여 능히 우리 서쪽 지방의 백성들을 걱정하였다는 것은 그 일어난 바를 소급해서 말한 것이다.
○‘마융馬融이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諸侯 : 여기의 ‘諸侯’는 아래의 ‘不言諸侯 以內見外’로 볼 때 衍文인 것 같다. 아래에 있는 孔疏의 ‘皆共諸侯竝進’의 ‘諸侯’와 ‘諸侯竝皆進’의 ‘諸侯’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아래에 있는 經文의 ‘王若曰 庶邦侯甸男衛’에 대한 孔傳의 ‘不言群臣 以外見內’를 보면 ‘諸侯’는 衍文임이 분명하다고 할 수 있겠다.
역주2 羑(유)若 : 蔡傳은 ‘未詳’이라 했고, 蘇軾은 “‘羑’는 羑里이니, 文王이 갇혀 있던 羑里에서 나오자, 천명이 이로부터 비로소 순탄해졌다.[羑 羑里也 文王 出羑里之囚 天命自是始順]”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