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君奭 第十八
孔氏 傳 孔穎達 疏
召公爲保하고 周公爲師하니 相成王爲左右
太保也 太師也 馬云 保氏 師氏 皆大夫官이라하니라 左右 馬云 分陝爲二伯하여 東爲左하고 西爲右라하니라
召公不說하니 周公作君奭이라
君奭
[傳]尊之曰君이라이요 同姓也 陳古以告之 以名篇이라
[疏]‘召公’至‘君奭’
○正義曰:成王卽政之初, 召公爲保, 周公爲師, 輔相成王爲左右大臣.
召公以周公嘗攝王之政, 今復在臣位, 其意不說. 周公陳己意以告召公, 史敍其事, 作君奭之篇也.
周官篇云 “立太師‧太傅‧太保, 玆惟三公.” 則此‘爲保’‧‘爲師’ 亦爲三公官也.
此實太師‧太保而不言‘太’者, 意在師法保安王身, 言其實爲左右爾, 不爲擧其官名, 故不言‘太’也.
經傳皆言武王之時, 太公爲太師, 此言“周公爲師”, 蓋太公薨, 命周公代之.
於時太傅, 蓋畢公爲之, 於此無事, 不須見也. 三公之次, 先師後保,
此序先言保者, 篇之所作, 主爲召公不說, 故先言召公, 不以官位爲次也.
案經周公之言, 皆說己留在王朝之意, 則召公不說周公之留也.
故鄭‧王皆云 “周公旣攝王政, 不宜復列於臣職, 故不說.” 然則召公大賢, 豈不知周公留意而不說者.
以周公留在臣職, 當時人皆怪之, 故欲開道周公之言, 以解世人之惑, “召公疑之, 作君奭.” 非不知也.
史記燕世家云 “成王旣幼, 周公攝政, 當國踐阼, 召公疑之, 作君奭.”
鄭玄不見周官之篇, 言此師‧保, 爲周禮師氏‧保氏, 大夫之職, 言賢聖兼此官, 亦謬矣.
[疏]○傳‘尊之’至‘名篇’
○正義曰:周公呼爲‘君奭’, 是周公尊之曰君也. ‘奭’是其名, ‘君’非名也.
僖二十四年左傳, 富辰言文王之子一十六國, 無名‘奭’者, 則召公必非文王之子.
燕世家云 “召公奭與周同姓姬氏.” 譙周曰 “周之支族.” 譙周考校古史, 不能知其所出.
皇甫謐云 “原公名豐, 是其一也, 是爲文王之子一十六國.” 然文王之子, 本無定數, 竝原‧豐爲一, 當召公於中以爲十六, 謬矣.
此篇多言先世有大臣輔政, 是“陳古道以告之.” 呼君奭以告之, 故以‘君奭’名篇.


召公가 되고 周公가 되었으니, 成王을 보필하는 左右大臣이 된 것이다.
太保太師다. 馬融은 “保氏師氏는 모두 大夫 벼슬이다.”라고 하였다. 左右馬融이 “ 땅을 나누어 두 을 만들고 左伯, 西右伯으로 삼았다.”라고 하였다.
召公이 좋아하지 않자, 周公이 〈君奭〉을 지었다.
그를 높혀 ‘’이라 한 것이다. ‘’은 〈召公의〉 이름이고, 같은 姬姓이다. 옛 를 베풀어서 고하였기 때문에 편명을 한 것이다.
書序의 [召公]에서 [君奭]까지
正義曰成王의 집정 초에 召公가 되고, 周公가 되었으니, 곧 成王을 보필하는 左右大臣이 된 것이다.
召公周公이 일찍이 의 정사를 섭행하다가 이제 다시 신하의 직위에 있게 되므로 그 의중이 좋지 않았다. 周公이 자기의 생각을 펼쳐서 召公에게 고하니, 史官이 그 일을 서술하여 〈君奭〉편을 지은 것이다.
周官〉편에 “太師太傅太保를 세우니, 이것이 ‘三公’이다.”라고 하였으니, 여기의 ‘爲保’‧‘爲師’ 역시 三公의 벼슬인 셈이다.
이는 실로 太師太保이지만, ‘’를 말하지 않은 것은 주된 뜻이 의 몸에 대하여 스승으로 본보기가 되고 保安을 하는 데 있었기 때문이나 기실은 左右가 된 점을 말했을 뿐, 그 官名을 들기 위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를 말하지 않은 것이다.
經傳에서 모두 武王의 때에 太公太師가 된 것을 말하였으니, 여기서 “周公가 되었다.”라고 말한 것은 아마 太公하자, 周公에게 명하여 그를 대신하게 했던 것이리라.
이때에 太傅는 아마 畢公이 맡았을 것이나 이에 특별한 일이 없었기 때문에 그를 나타내 보일 필요가 없었을 것이리라. 三公의 차서는 먼저가 요 뒤가 인데,
書序에서 먼저 를 말한 것은 의 지어진 것이 주로 召公이 좋아하지 않은 점에 맞추어졌기 때문에 먼저 召公을 말한 것이지, 官位를 가지고 차서를 한 것은 아니다.
經文을 살펴보면 周公의 말은 모두 자기가 王朝에 머물러있게 된 속내를 말한 것들이었으니, 그것은 召公周公의 머물러있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鄭玄王肅은 모두 “周公이 이미 王政을 섭행한 몸으로 다시 신하의 직위에 앉는 것은 마땅치 않는 일이기 때문에 좋아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召公大賢인데 어찌 周公이 머물게 된 속내를 몰라서 좋아하지 않았겠는가.
周公이 신하의 직위에 머물러있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모두 괴이하게 여기기 때문에 周公의 말을 유도해서 세상 사람들의 의혹을 풀어주려고 했던 것이니, “召公이 의심하자 〈君奭〉을 지었다.”라고 한 것은 모른 것이 아니었다.
史記≫ 〈燕世家〉에 “成王이 아직 어리고 周公攝政하여 나라를 담당하니, 召公이 의심하자 〈君奭〉을 지었다.”라고 하였으나,
은 정권을 돌려준 뒤에 머물러 成王을 보필할 뜻을 말한 것으로 그 글이 매우 분명하니, 司馬遷이 망령되이 말했을 뿐이다.
鄭玄은 〈周官〉편을 보지 않고서 이 를 말할 때에 ≪周禮≫의 師氏保氏大夫이라 여기고는 賢聖한 사람이 이 벼슬을 겸했다고 말하였으니, 또한 틀린 말이다.
의 [尊之]에서 [名篇]까지
正義曰周公이 ‘君奭’이라 불렀으니, 이는 周公이 그를 높여 ‘’이라 한 것이다. ‘’은 바로 그의 이름이고, ‘’은 이름이 아니다.
春秋左氏傳僖公 24년 조에서 富辰이 말한 文王의 아들 16 속에 ‘’이란 이름을 가진 자가 없었으니, 召公은 필시 文王의 아들이 아니었을 것이다.
史記≫ 〈燕世家〉에 “召公 나라와 同姓姬氏이다.”라고 하였고, 譙周는 “나라의 支族이다.”라고 하였으니, 譙周古史를 상고하여 召公의 출처를 잘 알지 못했던 것이다.
皇甫謐은 “原公은 이름이 ‘’으로 그중 하나이니, 이가 文王의 아들 16이 된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文王의 아들은 본래 정해진 숫자가 없으니, 을 아울러 하나로 만들어 召公을 그중에 해당시켜 16을 만든 것은 틀린 것이다.
에는 先世大臣이 정사를 보필한 적이 있음을 많이 말하였으니, 이래서 “옛 를 베풀어 고했다.”라고 한 것이다. 君奭을 불러서 고했기 때문에 ‘君奭’으로 편명을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傳)[保] : 저본에는 ‘傳’으로 되어 있으나, 諸本 및 ≪經典釋文≫에 의거하여 ‘保’로 바로잡았다.
역주2 周公旣攝王政……馬遷妄爲說爾 : 蔡傳에서 이 대문을 인용한 것에 대하여 李瀷(≪書疾書≫)은 “正義에 ‘召公은 周公이 일찍이 王의 정사를 섭행하다가 이제 신하의 직위로 돌아와 있게 되자 그 의중이 좋지 않았다.’고 하였는데, 正義는 鄭玄이 지은 것이고 孔氏가 인용한 것이니, 孔氏의 말이 아니다. 孔氏는 ‘召公은 大賢인데 어찌 周公이 머무른 뜻을 몰라서 심기가 좋지 않았겠는가. 周公이 신하의 직위에 머물러 있는 것을 당시 사람들이 모두 괴상히 여기기 때문에 周公의 말을 꺼내게 해서 세상 사람들의 의혹을 풀려고 했던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司馬遷이 의심한 論을 망령된 말로 여겼는데, 蔡傳은 무엇을 상고해서 그렇게 말했을까.[正義曰 召公以周公嘗攝王之政 而復在臣位 其意不悅 正義者 鄭玄所著 而孔氏引之 非孔氏說也 孔氏則曰 召公大賢 豈不知而不悅者 以周公留在臣職 當時人皆怪之 故欲開道周公之言 以解世人之惑 又以馬遷疑之之論爲妄說 蔡傳何考而云然]”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