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
		                       		
		                        
		                        	
		                        		
		                            	[傳]桀都安邑
하니 湯升道從陑
는 라 陑
는 在河曲之南
이라  
									
                        			
                        			
                        		
	                     		
			                       	
			                       	
	                     		
	                     		
		                        
                        	
                        	
                        	
                        	
                        		
                        		
                        		
                        			
                        			
		                       		
		                       		
		                       		
		                        
		                        	
		                        		
		                            	○馬云 俗儒以湯爲謚하고 或爲號하니 號者는 似非其意요 言謚近之라 然이나 不在謚法이라 故로 無聞焉이라 
		                            	 
									
                        			
                        			
                        		
	                     		
			                       	
			                       	
	                     		
	                     		
		                        
                        	
                        	
                        	
                        	
                        		
                        		
                        		
                        			
                        			
		                       		
		                       		
		                       		
		                        
		                        	
		                        		
		                            	及禹를 俗儒以爲名이나 帝系에 禹名文命이요 王侯世本에 湯名天乙이니 推此言之컨대 禹豈復非謚乎아 
		                            	 
									
                        			
                        			
                        		
	                     		
			                       	
			                       	
	                     		
	                     		
		                        
                        	
                        	
                        	
                        	
                        		
                        		
                        		
                        			
                        			
		                       		
		                       		
		                       		
		                        
		                        	
		                        		
		                            	亦不在謚法이라 故로 疑焉이라하니라 桀은 夏之末天子라
		                            	 
									
                        			
                        			
                        		
	                     		
			                       	
			                       	
	                     		
	                     		
		                        
                        	
                        	
                        	
                        	
                        		
                        		
                        		
                        			
                        			
		                       		
		                       		
		                       		
		                       			
		                        			
		                        				
		                        				 
		                        			
		                       			
		                       			
		                       			
		                        			
		                       			
		                       			
		                       			
		                        			
		                       			
		                       			
		                       			
		                        			
		                       			
		                       			
		                       			
		                       				疏
		                       		
		                        
		                        	
		                        		
									
                        			
                        			
                        		
	                     		
			                       	
			                       	
	                     		
	                     		
		                        
                        	
                        	
                        	
                        	
                        		
                        		
                        		
                        			
                        			
		                       		
		                       		
		                       		
		                        
		                        	
		                        		
		                            	○正義曰:伊尹以夏政醜惡, 
而歸湯. 輔相成湯, 與之伐桀, 升道從陑, 出其不意, 
 
									
                        			
                        			
                        		
	                     		
			                       	
			                       	
	                     		
	                     		
		                        
                        	
                        	
                        	
                        	
                        		
                        		
                        		
                        			
                        			
		                       		
		                       		
		                       		
		                        
		                        	
		                        		
		                            	遂與桀戰於鳴條之野. 將戰而誓戒士衆, 史敍其事, 作湯誓.
		                            	 
									
                        			
                        			
                        		
	                     		
			                       	
			                       	
	                     		
	                     		
		                        
                        	
                        	
                        	
                        	
                        		
                        		
                        		
                        			
                        			
		                       		
		                       		
		                       		
		                       			
		                        			
		                        				
		                        				 
		                        			
		                       			
		                       			
		                       			
		                       				疏
		                       		
		                        
		                        	
		                        		
									
                        			
                        			
                        		
	                     		
			                       	
			                       	
	                     		
	                     		
		                        
                        	
                        	
                        	
                        	
                        		
                        		
                        		
                        			
                        			
		                       		
		                       		
		                       		
		                        
		                        	
		                        		
		                            	○正義曰:此序湯自伐桀, 必言‘伊尹相湯’者, 序其篇次, 自爲首尾, 以上云伊尹醜夏, 遂相成湯伐之, 故文次言‘伊尹’也. 
		                            	 
									
                        			
                        			
                        		
	                     		
			                       	
			                       	
	                     		
	                     		
		                        
                        	
                        	
                        	
                        	
                        		
                        		
                        		
                        			
                        			
		                       		
		                       		
		                       		
		                        
		                        	
		                        		
		                            	計太公之相武王, 猶如伊尹之相成湯, 泰誓不言‘太公相’者, 彼文無其次也. 且武王之時, 有周‧召之倫, 聖賢多矣. 
		                            	 
									
                        			
                        			
                        		
	                     		
			                       	
			                       	
	                     		
	                     		
		                        
                        	
                        	
                        	
                        	
                        		
                        		
                        		
                        			
                        			
		                       		
		                       		
		                       		
		                        
		                        	
		                        		
		                            	湯稱伊尹云 “聿求元聖, 與之戮力.” 伊尹稱 “惟尹躬暨湯, 咸有一德.” 則伊尹相湯, 其功多於太公, 故特言‘伊尹相湯’也. 
		                            	 
									
                        			
                        			
                        		
	                     		
			                       	
			                       	
	                     		
	                     		
		                        
                        	
                        	
                        	
                        	
                        		
                        		
                        		
                        			
                        			
		                       		
		                       		
		                       		
		                        
		                        	
		                        		
		                            	‘桀都安邑’, 相傳爲然, 卽漢之河東郡安邑縣是也. 
		                            	 
									
                        			
                        			
                        		
	                     		
			                       	
			                       	
	                     		
	                     		
		                        
                        	
                        	
                        	
                        	
                        		
                        		
                        		
                        			
                        			
		                       		
		                       		
		                       		
		                        
		                        	
		                        		
		                            	史記吳起對魏武侯云 “夏桀之居, 左河濟, 右太華, 伊闕在其南, 羊腸在其北, 修政不仁, 湯放之也.” 
		                            	 
									
                        			
                        			
                        		
	                     		
			                       	
			                       	
	                     		
	                     		
		                        
                        	
                        	
                        	
                        	
                        		
                        		
                        		
                        			
                        			
		                       		
		                       		
		                       		
		                        
		                        	
		                        		
		                            	地理志云 “上黨郡壺關縣有羊腸阪, 在安邑之北.” 是桀都安邑必當然矣. 
		                            	 
									
                        			
                        			
                        		
	                     		
			                       	
			                       	
	                     		
	                     		
		                        
                        	
                        	
                        	
                        	
                        		
                        		
                        		
                        			
                        			
		                       		
		                       		
		                       		
		                        
		                        	
		                        		
		                            	將明陑之所在, 故先言‘桀都安邑.’ 桀都在亳西, 當從東而往, 今乃升道從陑. 
		                            	 
									
                        			
                        			
                        		
	                     		
			                       	
			                       	
	                     		
	                     		
		                        
                        	
                        	
                        	
                        	
                        		
                        		
                        		
                        			
                        			
		                       		
		                       		
		                       		
		                        
		                        	
		                        		
		                            	升者, 從下向上之名. 言陑當是山阜之地, 歷險迂路, 爲出
不意故也. 
 
									
                        			
                        			
                        		
	                     		
			                       	
			                       	
	                     		
	                     		
		                        
                        	
                        	
                        	
                        	
                        		
                        		
                        		
                        			
                        			
		                       		
		                       		
		                       		
		                        
		                        	
		                        		
		                            	陑在河曲之南, 蓋今潼關左右. 河曲在安邑西南, 從陑向北, 渡河乃東向安邑.
		                            	 
									
                        			
                        			
                        		
	                     		
			                       	
			                       	
	                     		
	                     		
		                        
                        	
                        	
                        	
                        	
                        		
                        		
                        		
                        			
                        			
		                       		
		                       		
		                       		
		                       			
		                        			
		                        				
		                        				 
		                        			
		                       			
		                       			
		                       			
		                       				疏
		                       		
		                        
		                        	
		                        		
		                            	[疏]鳴條在安邑之西, 桀西出拒湯, 故戰於鳴條之野. 陑在河曲之南, 鳴條在安邑之西, 皆彼有其跡, 相傳云然. 
		                            	 
									
                        			
                        			
                        		
	                     		
			                       	
			                       	
	                     		
	                     		
		                        
                        	
                        	
                        	
                        	
                        		
                        		
                        		
                        			
                        			
		                       		
		                       		
		                       		
		                        
		                        	
		                        		
		                            	湯以至聖伐暴, 當顯行用師, 而出其不意, 掩其不備者, 湯承
之後, 嘗爲桀臣, 慙而且懼, 故出其不意. 
 
									
                        			
                        			
                        		
	                     		
			                       	
			                       	
	                     		
	                     		
		                        
                        	
                        	
                        	
                        	
                        		
                        		
                        		
                        			
                        			
		                       		
		                       		
		                       		
		                        
		                        	
		                        		
		                            	武王則三分天下有其二, 久不事紂, 紂有浮桀之罪, 地無險要之勢, 故顯然致罰, 以明天誅. 
		                            	 
									
                        			
                        			
                        		
	                     		
			                       	
			                       	
	                     		
	                     		
		                        
                        	
                        	
                        	
                        	
                        		
                        		
                        		
                        			
                        			
		                       		
		                       		
		                       		
		                        
		                        	
		                        		
		                            	又殷勤誓衆, 與湯有異, 所以湯惟一誓, 武王有三.
		                            	 
									
                        			
                        			
                        		
	                     		
			                       	
			                       	
	                     		
	                     		
		                        
                        	
                        	
                        	
                        	
                        		
                        		
                        		
                        			
                        			
		                       		
		                       		
		                       		
		                       			
		                        			
		                        				
		                        				 
		                        			
		                       			
		                       			
		                       			
		                       				疏
		                       		
		                        
		                        	
		                        		
									
                        			
                        			
                        		
	                     		
			                       	
			                       	
	                     		
	                     		
		                        
                        	
                        	
                        	
                        	
                        		
                        		
                        		
                        			
                        			
		                       		
		                       		
		                       		
		                        
		                        	
		                        		
		                            	○正義曰:鄭玄云 “鳴條, 南夷地名.” 孟子云 “舜卒於鳴條, 東夷之
.” 或云 “陳留平邱縣, 今有鳴條亭是也.” 
 
									
                        			
                        			
                        		
	                     		
			                       	
			                       	
	                     		
	                     		
		                        
                        	
                        	
                        	
                        	
                        		
                        		
                        		
                        			
                        			
		                       		
		                       		
		                       		
		                        
		                        	
		                        		
		                            	皇甫謐云 “伊訓曰 ‘造攻自鳴條, 朕哉自亳.’ 又曰 ‘夏師敗績, 乃伐三朡.’ 湯誥曰 ‘王歸自克夏, 至於亳.’ 
		                            	 
									
                        			
                        			
                        		
	                     		
			                       	
			                       	
	                     		
	                     		
		                        
                        	
                        	
                        	
                        	
                        		
                        		
                        		
                        			
                        			
		                       		
		                       		
		                       		
		                        
		                        	
		                        		
		                            	三朡在定陶, 於義不得在陳留與東夷也. 今安邑見有鳴條陌‧昆吾亭. 左氏以爲昆吾與桀同以乙卯日亡, 韋顧亦爾. 
		                            	 
									
                        			
                        			
                        		
	                     		
			                       	
			                       	
	                     		
	                     		
		                        
                        	
                        	
                        	
                        	
                        		
                        		
                        		
                        			
                        			
		                       		
		                       		
		                       		
		                        
		                        	
		                        		
		                            	故詩曰 ‘韋顧旣伐, 
, 不得與桀異處, 同日而亡, 
 
									
                        			
                        			
                        		
	                     		
			                       	
			                       	
	                     		
	                     		
		                        
                        	
                        	
                        	
                        	
                        		
                        		
                        		
                        			
                        			
		                       		
		                       		
		                       		
		                        
		                        	
		                        		
		                            	明昆吾亦來安邑, 欲以衛桀, 故同日亡, 而安邑有其亭也. 且吳起言險以指安邑, 安邑於此而言, 何得在南夷乎.” 謐言是也.
		                            	 
									
                        			
                        			
                        		
	                     		
			                       	
			                       	
	                     		
	                     		
		                        
                        	
                        	
                        	
                        	
                        		
                        			
                        			
                        				
                        				 
                        			
			                        
                        		
                        		
                        		
	                     		
			                       	
			                       	
	                     		
	                     		
		                        
                        	
                        	
                        	
                        	
                        		
                        		
                        		
                        			
                        			
		                       		
		                       		
		                       		
		                       			
		                        			
		                       			
		                       			
		                       			
		                        			
		                       			
		                       			
		                       			
		                       				疏
		                       		
		                        
		                        	
		                        		
									
                        			
                        			
                        		
	                     		
			                       	
			                       	
	                     		
	                     		
		                        
                        	
                        	
                        	
                        	
                        		
                        		
                        		
                        			
                        			
		                       		
		                       		
		                       		
		                        
		                        	
		                        		
		                            	○正義曰:此經皆誓之辭也. 甘誓‧泰誓〮‧牧誓, 發首皆有序引, 別言其誓意, 記其誓處. 
		                            	 
									
                        			
                        			
                        		
	                     		
			                       	
			                       	
	                     		
	                     		
		                        
                        	
                        	
                        	
                        	
                        		
                        		
                        		
                        			
                        			
		                       		
		                       		
		                       		
		                        
		                        	
		                        		
		                            	此與費誓惟記誓辭, 不言誓處者, 史非一人, 辭有詳略. 序以經文不具, 故備言之也.
		                            	 
									
                        			
                        			
                        		
	                     		
			                       	
			                       	
	                     		
	                     		
		                        
                        	
                        	
                        	
                        	
                        		
                        			
                        			
                        				
                        				 
                        			
			                        
                        		
                        		
                        		
	                     		
			                       	
			                       	
	                     		
	                     		
		                        
                        	
                        	
                        	
                        	
                        		
                        		
                        		
                        			
                        			
		                       		
		                       		
		                       		
		                       			
		                        			
		                       			
		                       			
		                       			
		                       				傳
		                       		
		                        
		                        	
		                        		
		                            	[傳]契始封商하니 湯遂以爲天下號라 湯稱王은 則比桀於一夫라
		                            	 
									
                        			
                        			
                        		
	                     		
			                       	
			                       	
	                     		
	                     		
		                        
                        	
                        	
                        	
                        	
                        		
                        			
                        			
                        				
                        				 
                        			
			                        
			                        	非台小子 敢行稱亂이라 有夏多罪일새 天命殛之하시나니라
			                         
                        		
                        		
                        		
	                     		
			                       	
			                       	
	                     		
	                     		
		                        
                        	
                        	
                        	
                        	
                        		
                        		
                        		
                        			
                        			
		                       		
		                       		
		                       		
		                       			
		                        			
		                       			
		                       			
		                       			
		                       				傳
		                       		
		                        
		                        	
		                        		
		                            	[傳]稱은 擧也니 擧亂은 以諸侯로 伐天子라 非我小子 敢行此事라 桀有昏德일새 天命誅之니 今順天이니라
		                            	 
									
                        			
                        			
                        		
	                     		
			                       	
			                       	
	                     		
	                     		
		                        
                        	
                        	
                        	
                        	
                        		
                        			
                        			
                        				
                        				 
                        			
			                        
                        		
                        		
                        		
	                     		
			                       	
			                       	
	                     		
	                     		
		                        
                        	
                        	
                        	
                        	
                        		
                        		
                        		
                        			
                        			
		                       		
		                       		
		                       		
		                       			
		                        			
		                       			
		                       			
		                       			
		                       				傳
		                       		
		                        
		                        	
		                        		
		                            	[傳]汝
는 汝有衆
이요 我后
는 桀也
라 正
은 也
니 言奪民農功而爲割剝之政
이라  
									
                        			
                        			
                        		
	                     		
			                       	
			                       	
	                     		
	                     		
		                        
                        	
                        	
                        	
                        	
                        		
                        		
                        		
                        			
                        			
		                       		
		                       		
		                       		
		                        
		                        	
		                        		
									
                        			
                        			
                        		
	                     		
			                       	
			                       	
	                     		
	                     		
		                        
                        	
                        	
                        	
                        	
                        		
                        			
                        			
                        				
                        				 
                        			
			                        
                        		
                        		
                        		
	                     		
			                       	
			                       	
	                     		
	                     		
		                        
                        	
                        	
                        	
                        	
                        		
                        		
                        		
                        			
                        			
		                       		
		                       		
		                       		
		                       			
		                        			
		                       			
		                       			
		                       			
                        			
			                        
                        		
                        		
                        		
	                     		
			                       	
			                       	
	                     		
	                     		
		                        
                        	
                        	
                        	
                        	
                        		
                        		
                        		
                        			
                        			
		                       		
		                       		
		                       		
		                       			
		                        			
		                       			
		                       			
		                       			
                    			
                   			
                        	
                        	
                        	
                        	
	                       	
	                       	
	                       	
	                       	
							                       	
	                        
	                        
	                        	
	                        
	                        	
	                        
	                        	
	                        
	                        	
	                        
	                        	
	                        
	                        	
	                        
	                        	
	                        
	                        	
	                        
	                        	
	                        
	                        	
	                        
	                        	
	                        
	                        	
	                        
	                        	
	                        
	                        	
	                        
	                        	
	                        
	                        	
	                        
	                        	
	                        
	                        	
	                        
	                        	
	                        
	                        	
	                        
	                        	
	                        
	                        	
	                        
	                        	
	                        
	                        	
	                        
	                        	
	                        
	                        	
	                        
	                        	
	                        
	                        	
	                        
	                        	
	                        
	                        	
	                        
	                        	
	                        
	                        	
	                        
	                        	
	                        
	                        	
	                        
	                        	
	                        
	                        	
	                        
	                        	
	                        
	                        	
	                        
	                        	
	                        
	                        	
	                        
	                        	
	                        
	                        	
	                        
	                        	
	                        
	                        	
	                        
	                        	
	                        
	                        	
	                        
	                        	
	                        
	                        	
	                        
	                        	
	                        
	                        	
	                        
	                        	
	                        
	                        	
	                        
	                        	
	                        
	                        	
	                        
	                        	
	                        
	                        	
	                        
	                        	
	                        
	                        	
	                        
	                        	
	                        
	                        	
	                        
	                        	
	                        
	                        	
	                        
	                        	
	                        
	                        	
	                        
	                        	
	                        
	                        	
	                        
	                        	
	                        
	                        	
	                        
	                        	
	                        
	                        	
	                        
	                        	
	                        
	                        	
	                        
	                        	
	                        
	                        	
	                        
	                        	
	                        
	                        	
	                        
	                        	
	                        
	                        	
	                        		
	                        	
	                        
	                        	
	                        
	                        	
	                        
	                        	
	                        
	                        	
	                        		
	                        	
	                        
	                        	
	                        
	                        	
	                        
	                        	
	                        
	                        	
	                        		
	                        	
	                        
	                        	
	                        
	                        	
	                        
	                        	
	                        
	                        	
	                        
	                        	
	                        
	                        	
	                        		
	                        	
	                        
	                        	
	                        
	                        	
	                        
	                        	
	                        
	                        	
	                        		
	                        	
	                        
	                        	
	                        
	                        	
	                        
	                        
	                        
                        	
		                        
		                        
		                        
		                        
                        		
                        	
		                        
		                        
		                        
		                        	
		                        	
		                        		
		                        		
		                        	
		                        
		                        
                        		
                        		
                        			
			                             
                        			
                        		
                        		
	                     		
			                       	
			                       	
	                     		
		                        
                        	
		                        
		                        
		                        
		                        
                        		
                        	
		                        
		                        
		                        
		                        
                        		
                        		
                        		
                        			
                        			
		                       		
		                       		
		                       		
		                       			
		                       			
		                       			
		                       				傳
		                       		
		                       		
		                        		
			                            	陸德明의 ≪經典釋文≫에 “모두 34편인데, 17편만 존재한다.”라고 하였다. 孔氏 傳  孔穎達 疏
			                             
									
                        			
                        			
                        		
	                     		
			                       	
			                       	
	                     		
		                        
                        	
		                        
		                        
		                        
		                        
                        		
                        	
		                        
		                        
		                        
		                        
                        		
                        		
                        		
                        			
                        			
		                       		
		                       		
		                       		
		                       			
		                        			
		                        				
		                        				 
		                        			
		                       			
		                       			
		                       			
		                       				序
		                       		
		                       		
		                        		
			                            	伊尹이 湯임금을 도와 桀을 칠 때에 ‘陑’란 땅으로부터 길에 올라
			                             
									
                        			
                        			
                        		
	                     		
			                       	
			                       	
	                     		
		                        
                        	
		                        
		                        
		                        
		                        
                        		
                        	
		                        
		                        
		                        
		                        
                        		
                        		
                        		
                        			
                        			
		                       		
		                       		
		                       		
		                       			
		                        			
		                        				
		                        				 
		                        			
		                       			
		                       			
		                       			
		                       				傳
		                       		
		                       		
		                        		
			                            	桀이 安邑에 도읍을 세웠으니, 湯임금이 ‘陑’란 땅으로부터 길에 오른 것은 〈상대방이〉 예측 못할 곳으로 나가기 위해서였다. 陑는 河曲의 남쪽에 있다. 
			                             
									
                        			
                        			
                        		
	                     		
			                       	
			                       	
	                     		
		                        
                        	
		                        
		                        
		                        
		                        
                        		
                        	
		                        
		                        
		                        
		                        
                        		
                        		
                        		
                        			
                        			
		                       		
		                       		
		                       		
		                       		
		                        		
			                            	○馬融이 “俗儒는 湯을 謚라 하고 혹은 號라 하였는데, 號는 그 뜻이 아닌 것 같고, 謚라고 말한 것이 그럴듯하다. 그러나 ≪謚法≫에 올라있지 않기 때문에 알 길이 없다. 
			                             
									
                        			
                        			
                        		
	                     		
			                       	
			                       	
	                     		
		                        
                        	
		                        
		                        
		                        
		                        
                        		
                        	
		                        
		                        
		                        
		                        
                        		
                        		
                        		
                        			
                        			
		                       		
		                       		
		                       		
		                       		
		                        		
			                            	‘禹’를 俗儒는 이름이라고 하였으나 ≪帝系≫에 禹임금의 이름은 ‘文命’으로 되어 있고, ≪王侯世本≫에 湯임금의 이름은 ‘天乙’로 되어 있으니, 이것으로 미루어 말한다면 禹는 어찌 謚가 아니겠는가. 
			                             
									
                        			
                        			
                        		
	                     		
			                       	
			                       	
	                     		
		                        
                        	
		                        
		                        
		                        
		                        
                        		
                        	
		                        
		                        
		                        
		                        
                        		
                        		
                        		
                        			
                        			
		                       		
		                       		
		                       		
		                       		
		                        		
			                            	그러나 또한 ≪謚法≫에 올라있지 않기 때문에 의심한다.”라고 하였다. 桀은 夏나라의 마지막 天子이다.
			                             
									
                        			
                        			
                        		
	                     		
			                       	
			                       	
	                     		
		                        
                        	
		                        
		                        
		                        
		                        
                        		
                        	
		                        
		                        
		                        
		                        
                        		
                        		
                        		
                        			
                        			
		                       		
		                       		
		                       		
		                       			
		                        			
		                        				
		                        				 
		                        			
		                       			
		                       			
		                       			
		                        			
		                       			
		                       			
		                       			
		                       				傳
		                       		
		                       		
		                        		
			                            	〈鳴條〉 땅은 安邑의 서쪽에 있으니 桀이 湯임금을 맞이하여 싸운 곳이다.
			                             
									
                        			
                        			
                        		
	                     		
			                       	
			                       	
	                     		
		                        
                        	
		                        
		                        
		                        
		                        
                        		
                        	
		                        
		                        
		                        
		                        
                        		
                        		
                        		
                        			
                        			
		                       		
		                       		
		                       		
		                       			
		                        			
		                        				
		                        				 
		                        			
		                       			
		                       			
		                       			
		                       				序
		                       		
		                       		
		                        		
			                            	〈史官이 그 일을 서술하여〉 〈湯誓〉를 지었다.
			                             
									
                        			
                        			
                        		
	                     		
			                       	
			                       	
	                     		
		                        
                        	
		                        
		                        
		                        
		                        
                        		
                        	
		                        
		                        
		                        
		                        
                        		
                        		
                        		
                        			
                        			
		                       		
		                       		
		                       		
		                       			
		                        			
		                        				
		                        				 
		                        			
		                       			
		                       			
		                       			
		                       				疏
		                       		
		                       		
		                        		
									
                        			
                        			
                        		
	                     		
			                       	
			                       	
	                     		
		                        
                        	
		                        
		                        
		                        
		                        
                        		
                        	
		                        
		                        
		                        
		                        
                        		
                        		
                        		
                        			
                        			
		                       		
		                       		
		                       		
		                       		
		                        		
			                            	○正義曰:伊尹은 夏나라 정사가 醜惡하기 때문에 桀을 버리고 湯임금에게 돌아왔다. 伊尹은 成湯을 도와 함께 桀을 칠 때에 ‘陑’란 땅으로부터 길에 오른 것은 〈상대방이〉 예상치 못한 곳으로 나가기 위해서였다. 
			                             
									
                        			
                        			
                        		
	                     		
			                       	
			                       	
	                     		
		                        
                        	
		                        
		                        
		                        
		                        
                        		
                        	
		                        
		                        
		                        
		                        
                        		
                        		
                        		
                        			
                        			
		                       		
		                       		
		                       		
		                       		
		                        		
			                            	드디어 桀과 鳴條의 들에서 싸웠다. 장차 싸우려고 할 때에 군사들에게 誓戒하였는데, 史官이 그 일을 서술해서 〈湯誓〉를 지었다.
			                             
									
                        			
                        			
                        		
	                     		
			                       	
			                       	
	                     		
		                        
                        	
		                        
		                        
		                        
		                        
                        		
                        	
		                        
		                        
		                        
		                        
                        		
                        		
                        		
                        			
                        			
		                       		
		                       		
		                       		
		                       			
		                        			
		                        				
		                        				 
		                        			
		                       			
		                       			
		                       			
		                       				疏
		                       		
		                       		
		                        		
									
                        			
                        			
                        		
	                     		
			                       	
			                       	
	                     		
		                        
                        	
		                        
		                        
		                        
		                        
                        		
                        	
		                        
		                        
		                        
		                        
                        		
                        		
                        		
                        			
                        			
		                       		
		                       		
		                       		
		                       		
		                        		
			                            	○正義曰:이 書序에서 湯임금이 스스로 桀을 친 것을 꼭 ‘伊尹이 湯임금을 도왔다.’라고 말한 것은 그 편장의 순서를 차례지어 스스로 首尾가 되게 한 것이니, 위에서 “伊尹이 夏나라의 정사를 추악하다고 여겨 결국 成湯을 도와 정벌했다.”라고 말했기 때문에 문장의 순서에 ‘伊尹’을 말한 것이다. 
			                             
									
                        			
                        			
                        		
	                     		
			                       	
			                       	
	                     		
		                        
                        	
		                        
		                        
		                        
		                        
                        		
                        	
		                        
		                        
		                        
		                        
                        		
                        		
                        		
                        			
                        			
		                       		
		                       		
		                       		
		                       		
		                        		
			                            	太公이 武王을 도운 사실을 살펴보면 마치 伊尹이 成湯을 도운 사실과 같건만, 〈泰誓〉에서 ‘太公이 도운 사실’을 말하지 않은 것은 저 〈泰書〉의 문장에는 순서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武王 때에는 周公‧召公 같은 성현이 많이 있었다. 
			                             
									
                        			
                        			
                        		
	                     		
			                       	
			                       	
	                     		
		                        
                        	
		                        
		                        
		                        
		                        
                        		
                        	
		                        
		                        
		                        
		                        
                        		
                        		
                        		
                        			
                        			
		                       		
		                       		
		                       		
		                       		
		                        		
			                            	湯임금은 伊尹에 대하여 “드디어 큰 聖人을 구하여 그와 함께 힘을 쓰고”라고 칭하였고, 伊尹은 “저는 몸소 湯임금과 함께 一德을 가져”라고 칭하였으니, 伊尹이 湯임금을 도울 때 그 공이 太公보다 많았기 때문에 특별히 ‘伊尹이 湯임금을 도왔다.’라고 말한 것이다. 
			                             
									
                        			
                        			
                        		
	                     		
			                       	
			                       	
	                     		
		                        
                        	
		                        
		                        
		                        
		                        
                        		
                        	
		                        
		                        
		                        
		                        
                        		
                        		
                        		
                        			
                        			
		                       		
		                       		
		                       		
		                       		
		                        		
			                            	[桀都安邑] 서로 전하여 그렇게 알고 있으니, 곧 漢나라 적의 河東郡 安邑縣이 이곳이다. 
			                             
									
                        			
                        			
                        		
	                     		
			                       	
			                       	
	                     		
		                        
                        	
		                        
		                        
		                        
		                        
                        		
                        	
		                        
		                        
		                        
		                        
                        		
                        		
                        		
                        			
                        			
		                       		
		                       		
		                       		
		                       		
		                        		
			                            	≪史記≫에서 吳起가 魏 武侯의 물음에 대답하기를 “夏桀의 거주지는 왼쪽으로 河水와 濟水가 있고, 오른쪽으로 太華山이 있으며, 伊闕山이 그 남쪽에 있고, 羊腸山이 그 북쪽에 있어 〈천하의 요새지였건만〉 仁政을 베풀지 않았기 때문에 湯임금이 그를 추방했던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地理志〉에 “上黨郡 壺關縣에 羊腸阪(구불구불한 고갯길)이 있으니, 安邑의 북쪽에 있다.”라고 적고 있으니, 桀이 安邑에 도읍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장차 ‘陑’란 땅의 소재지를 밝히려고 하였기 때문에 ‘桀이 安邑에 도읍을 세운 일’을 먼저 말한 것이다. 桀의 도읍이 亳의 서쪽에 있었다면 당연히 동쪽을 따라 갔어야 했을 터인데, 지금 ‘陑’란 땅으로부터 길에 오른 것이다. 
			                             
									
                        			
                        			
                        		
	                     		
			                       	
			                       	
	                     		
		                        
                        	
		                        
		                        
		                        
		                        
                        		
                        	
		                        
		                        
		                        
		                        
                        		
                        		
                        		
                        			
                        			
		                       		
		                       		
		                       		
		                       		
		                        		
			                            	升은 아래로부터 위로 향하는 것을 이르는 명칭이다. ‘陑’란 땅이 바로 이 山阜의 땅에 놓여있으므로 험한 곳을 지나가는 우회도로를 택한 것은 상대방이 예상치 못한 곳으로 나가기 위한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陑’란 땅은 河曲의 남쪽에 있으니, 아마 지금의 潼關 근처일 것이다. 河曲이 安邑 서남쪽에 있으니, ‘陑’란 땅을 좇아 북쪽으로 향하다가 황하를 건너 동쪽으로 安邑을 향해 간 것이다.
			                             
									
                        			
                        			
                        		
	                     		
			                       	
			                       	
	                     		
		                        
                        	
		                        
		                        
		                        
		                        
                        		
                        	
		                        
		                        
		                        
		                        
                        		
                        		
                        		
                        			
                        			
		                       		
		                       		
		                       		
		                       			
		                        			
		                        				
		                        				 
		                        			
		                       			
		                       			
		                       			
		                       				疏
		                       		
		                       		
		                        		
			                            	鳴條는 安邑의 서쪽에 위치해 있으니, 桀이 서쪽으로 나와서 湯임금을 맞이하여 싸웠기 때문에 鳴條의 들에서 싸우게 된 것이다. 陑는 河曲의 남쪽에 있고, 鳴條는 安邑의 서쪽에 있어 모두 저기에 그 자취가 있었기 때문에 서로 전하여 그렇게 여기는 것이다. 
			                             
									
                        			
                        			
                        		
	                     		
			                       	
			                       	
	                     		
		                        
                        	
		                        
		                        
		                        
		                        
                        		
                        	
		                        
		                        
		                        
		                        
                        		
                        		
                        		
                        			
                        			
		                       		
		                       		
		                       		
		                       		
		                        		
			                            	湯임금은 지극한 성인으로 폭군을 정벌하였으니, 마땅히 명명백백하게 가서 군대를 사용했어야 할 터인데, 예상치 못한 곳으로 나가서 아직 준비하지 못한 〈桀을〉 엄습한 것은, 湯임금이 禪代의 뒤를 이어서 일찍이 桀의 신하가 된 것이 부끄럽기도 하고 두렵기도 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곳으로 나간 것이다. 
			                             
									
                        			
                        			
                        		
	                     		
			                       	
			                       	
	                     		
		                        
                        	
		                        
		                        
		                        
		                        
                        		
                        	
		                        
		                        
		                        
		                        
                        		
                        		
                        		
                        			
                        			
		                       		
		                       		
		                       		
		                       		
		                        		
			                            	武王의 경우는 천하의 3분의 2를 가졌고 紂를 오래 섬기지도 않았으며, 紂는 桀보다 더한 죄가 있었고 지리적 조건도 險要한 지세가 없었기 때문에 드러나게 처벌함으로써 하늘의 주벌을 밝혔고, 
			                             
									
                        			
                        			
                        		
	                     		
			                       	
			                       	
	                     		
		                        
                        	
		                        
		                        
		                        
		                        
                        		
                        	
		                        
		                        
		                        
		                        
                        		
                        		
                        		
                        			
                        			
		                       		
		                       		
		                       		
		                       		
		                        		
			                            	또 은근히 군중을 誓戒한 것이 湯임금과 달랐다. 이래서 湯임금은 오직 한 번의 誓戒만을 하였을 뿐이고, 武王은 세 번이나 誓戒를 한 것이다.
			                             
									
                        			
                        			
                        		
	                     		
			                       	
			                       	
	                     		
		                        
                        	
		                        
		                        
		                        
		                        
                        		
                        	
		                        
		                        
		                        
		                        
                        		
                        		
                        		
                        			
                        			
		                       		
		                       		
		                       		
		                       			
		                        			
		                        				
		                        				 
		                        			
		                       			
		                       			
		                       			
		                       				疏
		                       		
		                       		
		                        		
									
                        			
                        			
                        		
	                     		
			                       	
			                       	
	                     		
		                        
                        	
		                        
		                        
		                        
		                        
                        		
                        	
		                        
		                        
		                        
		                        
                        		
                        		
                        		
                        			
                        			
		                       		
		                       		
		                       		
		                       		
		                        		
			                            	○正義曰:鄭玄은 “鳴條는 南夷의 땅이름이다.”라고 하였고, 孟子는 “舜임금은 鳴條에서 작고하셨는데, 東夷의 땅이다.”라고 하였고, 혹자는 “陳留 平邱縣에 지금 鳴條亭이 있으니, 바로 이곳이다.”라고 하였다. 
			                             
									
                        			
                        			
                        		
	                     		
			                       	
			                       	
	                     		
		                        
                        	
		                        
		                        
		                        
		                        
                        		
                        	
		                        
		                        
		                        
		                        
                        		
                        		
                        		
                        			
                        			
		                       		
		                       		
		                       		
		                       		
		                        		
			                            	皇甫謐은 “〈伊訓〉에 ‘공격을 시작한 것은 鳴條로부터 하였는데, 우리 〈湯임금이〉 德을 닦은 것은 亳邑으로부터 시작하였다.’고 하고, 또 〈〈湯誓〉에〉 ‘夏나라 군대가 크게 패하자 三朡을 쳤다.’고 하고, 
			                             
									
                        			
                        			
                        		
	                     		
			                       	
			                       	
	                     		
		                        
                        	
		                        
		                        
		                        
		                        
                        		
                        	
		                        
		                        
		                        
		                        
                        		
                        		
                        		
                        			
                        			
		                       		
		                       		
		                       		
		                       		
		                        		
			                            	〈湯誥〉에 ‘王이 夏나라를 정복하고 돌아와서 亳邑에 이르렀다.’라고 하였은즉, 三朡은 定陶에 있었으니, 의미상 陳留와 東夷에 있을 수 없다. 지금 安邑에 鳴條陌과 昆吾亭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春秋左氏傳≫에 ‘昆吾와 桀이 함께 乙卯日에 망하고, 韋나라와 顧나라도 망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詩經≫ 〈商頌 長發〉에 ‘韋나라와 顧나라를 이미 정벌하고 昆吾와 夏桀을 쳤도다.’라고 하였다. ≪春秋左氏傳≫에 의하면 昆吾는 衛나라에 있어 곧 濮陽에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으니, 夏桀과 처소가 달라 같은 날 망할 수 없는 것으로 볼 때, 
			                             
									
                        			
                        			
                        		
	                     		
			                       	
			                       	
	                     		
		                        
                        	
		                        
		                        
		                        
		                        
                        		
                        	
		                        
		                        
		                        
		                        
                        		
                        		
                        		
                        			
                        			
		                       		
		                       		
		                       		
		                       		
		                        		
			                            	분명 昆吾 또한 安邑으로 와서 夏桀을 보위하려고 했기 때문에 같은 날 망하였고 安邑에 그 정자가 있게 된 것이다. 그리고 또 吳起가 험한 곳을 말할 때 安邑을 지목하였으니, 安邑을 여기에서 말했는데, 어떻게 南夷에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으니, 皇甫謐의 말이 옳다.
			                             
									
                        			
                        			
                        		
	                     		
			                       	
			                       	
	                     		
		                        
                        	
		                        
		                        
		                        
		                        
                        		
                        	
		                        
		                        
		                        
		                        	
		                        	
		                        		
		                        		
		                        	
		                        
		                        
                        		
                        		
                        			
                        				
                        				 
                        			
			                             
                        			
                        		
                        		
	                     		
			                       	
			                       	
	                     		
		                        
                        	
		                        
		                        
		                        
		                        
                        		
                        	
		                        
		                        
		                        
		                        
                        		
                        		
                        		
                        			
                        			
		                       		
		                       		
		                       		
		                       			
		                        			
		                       			
		                       			
		                       			
		                        			
		                       			
		                       			
		                       			
		                       				疏
		                       		
		                       		
		                        		
									
                        			
                        			
                        		
	                     		
			                       	
			                       	
	                     		
		                        
                        	
		                        
		                        
		                        
		                        
                        		
                        	
		                        
		                        
		                        
		                        
                        		
                        		
                        		
                        			
                        			
		                       		
		                       		
		                       		
		                       		
		                        		
			                            	○正義曰:여기의 經文은 모두 誓戒한 말이다. 〈甘誓〉‧〈泰誓〉〮‧〈牧誓〉는 첫머리에 모두 序引을 두어서 별도로 그 서계한 뜻을 말하고 그 서계한 곳을 기록하였다. 
			                             
									
                        			
                        			
                        		
	                     		
			                       	
			                       	
	                     		
		                        
                        	
		                        
		                        
		                        
		                        
                        		
                        	
		                        
		                        
		                        
		                        
                        		
                        		
                        		
                        			
                        			
		                       		
		                       		
		                       		
		                       		
		                        		
			                            	이 〈湯誓〉와 〈費誓〉는 서계한 말만 기록하고 서계한 곳을 말하지 않은 것은 史官이 한 사람뿐이 아니고 文辭에는 자상함과 소략함이 있기 때문이다. 書序는 經文이 완벽하게 되지 못했기 때문에 완벽하게 말한 것이다.
			                             
									
                        			
                        			
                        		
	                     		
			                       	
			                       	
	                     		
		                        
                        	
		                        
		                        
		                        
		                        
                        		
                        	
		                        
		                        
		                        
		                        	
		                        	
		                        
		                        
                        		
                        		
                        			
                        				
                        				 
                        			
			                        
			                        	湯王이 말씀하였다. “이리 가까이 오너라. 너희 여러 군사들아! 모두 朕의 말을 경청하라.
			                              
                        			
                        		
                        		
	                     		
			                       	
			                       	
	                     		
		                        
                        	
		                        
		                        
		                        
		                        
                        		
                        	
		                        
		                        
		                        
		                        
                        		
                        		
                        		
                        			
                        			
		                       		
		                       		
		                       		
		                       			
		                        			
		                       			
		                       			
		                       			
		                       				傳
		                       		
		                       		
		                        		
			                            	契이 처음 商에 봉해졌으니, 湯임금이 드디어 ‘商’을 天下의 호칭으로 삼은 것이다. 湯이 ‘王’이라 칭한 것은 桀을 일개 匹夫에 견주었기 때문이다.
			                             
									
                        			
                        			
                        		
	                     		
			                       	
			                       	
	                     		
		                        
                        	
		                        
		                        
		                        
		                        
                        		
                        	
		                        
		                        
		                        
		                        	
		                        	
		                        
		                        
                        		
                        		
                        			
                        				
                        				 
                        			
			                        
			                        	나 小子가 감히 병란을 일으키려는 것이 아니라, 夏나라 임금이 죄가 많기 때문에 하늘이 명하여 죽이도록 하신 것이다.
			                              
                        			
                        		
                        		
	                     		
			                       	
			                       	
	                     		
		                        
                        	
		                        
		                        
		                        
		                        
                        		
                        	
		                        
		                        
		                        
		                        
                        		
                        		
                        		
                        			
                        			
		                       		
		                       		
		                       		
		                       			
		                        			
		                       			
		                       			
		                       			
		                       				傳
		                       		
		                       		
		                        		
			                            	‘稱’은 擧(거행)의 뜻이니, 병란을 일으킴은 諸侯로서 天子를 치는 것이다. 나 小子가 감히 이 일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桀이 혼암한 德이 있기 때문에 하늘이 명하여 誅伐하게 한 것이니, 지금 하늘의 명을 순종할 뿐이라는 것이다.
			                             
									
                        			
                        			
                        		
	                     		
			                       	
			                       	
	                     		
		                        
                        	
		                        
		                        
		                        
		                        
                        		
                        	
		                        
		                        
		                        
		                        	
		                        	
		                        
		                        
                        		
                        		
                        			
                        				
                        				 
                        			
			                        
			                        	지금 너희 여러 군사들아! 너희들은 ‘우리 임금이 우리들을 걱정해주지 않아, 우리들의 농사를 폐기시키고 수탈하는 정사를 夏나라에 펴서 〈우리들의 재물을 거두어간다.〉’고 말하니,
			                              
                        			
                        		
                        		
	                     		
			                       	
			                       	
	                     		
		                        
                        	
		                        
		                        
		                        
		                        
                        		
                        	
		                        
		                        
		                        
		                        
                        		
                        		
                        		
                        			
                        			
		                       		
		                       		
		                       		
		                       			
		                        			
		                       			
		                       			
		                       			
		                       				傳
		                       		
		                       		
		                        		
			                            	汝는 汝有衆을 가리키고, 我后는 桀을 가리킨다. 正은 政의 뜻이니, 백성들의 農功을 빼앗고, 수탈하는 정사를 하고 있음을 말한 것이다. 
			                             
									
                        			
                        			
                        		
	                     		
			                       	
			                       	
	                     		
		                        
                        	
		                        
		                        
		                        
		                        
                        		
                        	
		                        
		                        
		                        
		                        
                        		
                        		
                        		
                        			
                        			
		                       		
		                       		
		                       		
		                       		
		                        		
									
                        			
                        			
                        		
	                     		
			                       	
			                       	
	                     		
		                        
                        	
		                        
		                        
		                        
		                        
                        		
                        	
		                        
		                        
		                        
		                        	
		                        	
		                        
		                        
                        		
                        		
                        			
                        				
                        				 
                        			
			                             
                        			
                        		
                        		
	                     		
			                       	
			                       	
	                     		
		                        
                        	
		                        
		                        
		                        
		                        
                        		
                        	
		                        
		                        
		                        
		                        
                        		
                        		
                        		
                        			
                        			
		                       		
		                       		
		                       		
		                       			
		                        			
		                       			
		                       			
		                       			
		                       				傳
		                       		
		                       		
		                        		
			                            	“우리들을 걱정해주지 않는다.”라고 한 말이다.
			                             
									
                        			
                        			
                        		
	                     		
			                       	
			                       	
	                     		
		                        
                        	
		                        
		                        
		                        
		                        
                        		
                        	
		                        
		                        
		                        
		                        	
		                        	
		                        
		                        
                        		
                        		
                        			
                        				
                        				 
                        			
			                        
			                        	夏氏에게 죄가 있으므로 〈하늘이 치라고 명하시니〉 나는 上帝를 두려워하는지라, 감히 〈그의 죄를〉 바로잡지 않을 수가 없노라.
			                              
                        			
                        		
                        		
	                     		
			                       	
			                       	
	                     		
		                        
                        	
		                        
		                        
		                        
		                        
                        		
                        	
		                        
		                        
		                        
		                        
                        		
                        		
                        		
                        			
                        			
		                       		
		                       		
		                       		
		                       			
		                        			
		                       			
		                       			
		                       			
		                       				傳
		                       		
		                       		
		                        		
			                            	감히 桀의 죄를 바로잡아 주벌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