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嶓冢 導漾하사 東流爲漢하시며
[傳]泉始出山爲漾水 東南流爲沔水 至漢中하여 東流爲漢水
[疏]傳‘泉始’至‘漢水’
○正義曰:傳之此言, 當據時人之名爲說也. 地理志云 “漾水出隴西氐道縣, 至武都爲漢水.” 不言中爲沔水.
孔知嶓冢之東‧漢水之西而得爲沔水者, 以禹治梁州, 入帝都白所治云‘逾于沔 入于渭’, 是沔近于渭, 當梁州向冀州之路也.
應劭云 “沔水自江別, 至南郡華容縣爲夏水, 過江夏郡入江.” 旣云‘江別’, 明與此沔別也.
依地理志 漢水之尾變爲夏水, 是應劭所云沔水下尾, 亦與漢合, 乃入於江也.
又東爲滄浪之水하시며
[傳]別流在荊州
[疏]傳‘別流在荊州’
○正義曰:傳言‘別流’, 似分爲異水. 案經首尾相連, 不是分別, 當以名稱別流也. 又上在梁州, 故此云 “在荊州.”
過三澨하여 至于大別하여
[傳]三澨 水名이니 入漢이라 大別 山名이라
○東匯澤爲彭蠡 回也 水東回爲彭蠡大澤이라
○匯 東爲北江하여 入於海 自彭蠡江分爲三하고 入震澤하여 遂爲北江而入海
南入于江하시며
[傳]觸山廻南하여 入江이라
東匯澤하여 爲彭蠡하시며
[傳]匯 廻也 水東廻爲彭蠡大澤이라
東爲北江하여 入于海하시다
[傳]自彭蠡江分爲하고 入震澤이라가 遂爲北江而入海
[疏]傳‘自彭’至‘入海’
○正義曰:揚州云 “三江旣入, 震澤厎定.” 孔爲‘三江旣入’, 入震澤也, 故言“江自彭蠡分而爲三江,
復共入震澤, 出澤又分爲三, 此水遂爲北江而入于海.” 鄭玄以爲“‘三江旣入’, 入于海, 不入震澤也.”
孔必知入震澤者, 以震澤屬揚州, 彭蠡在揚州之西界, 今從彭蠡有三江, 則震澤之西三江具矣.
今云‘三江旣入’, 繼以‘震澤厎定’, 故知三江入震澤矣. 今南人以大江不入震澤, 震澤之東, 別有松江等三江.
案職方揚州“其川曰三江.” 宜擧州內大川. 其松江等, 雖出震澤, 入海旣近, 周禮不應捨岷山大江之名, 而記松江等小江之說.
山水今變易, 故鄭云 “旣知今, 亦當知古.” 是古今同之驗也.


嶓冢山에서 漾水를 유도하시어 동쪽으로 흘러 漢水가 되게 하시며,
샘이 처음으로 산에서 나와서 漾水가 되고, 동남쪽으로 흘러서 沔水가 되고, 漢中郡에 이르러 동쪽으로 흘러가서 漢水가 된 것이다.
傳의 [泉始]에서 [漢水]까지
○正義曰:孔傳의 이 말은 응당 당시 사람들의 명칭에 의거해서 말했을 것이다. ≪漢書≫ 〈地理志〉에 “漾水는 隴西郡 氐道縣에서 나와서 武都郡에 이르러 漢水가 된다.”라 하였고, 중간에 沔水가 된 것은 말하지 않았다.
孔安國이 嶓冢山의 동쪽과 漢水의 서쪽이 沔水가 됨을 안 것은 禹가 梁州의 홍수를 다스리고 帝都에 들어와서 다스린 곳을 아뢰기를 ‘沔水를 넘어 渭水로 들어와서’라고 하였기 때문이니, 이는 沔水가 渭水에 가까워서 梁州에서 冀州로 향하는 길에 놓였던 것이다.
應劭는 “沔水가 江水로부터 갈라져 나와 南郡 華容縣에 이르러서 夏水가 되고, 江夏郡을 지나 江水로 들어간다.”라고 하였다. 이미 ‘江別(江水에서 갈라져 나왔다.)’이라고 하였으니, 이 沔水와 구별됨이 분명하다.
〈地理志〉에 의하면, 漢水의 下尾가 변하여 夏水가 되었으니, 이는 應劭가 말한 ‘沔水’의 下尾 또한 漢水와 합해져 곧 江水로 들어간 것이다.
또 동쪽으로 滄浪의 물이 되게 하시며,
別流가 荊州에 있는 것이다.
傳의 [別流在荊州]
○正義曰:孔傳에서 ‘別流’라고 말한 것은 마치 나뉘어 다른 물이 된 것처럼 보이지만, 經의 首尾가 서로 연해져있음을 감안하면 이는 분별한 것이 아니니, 마땅히 이름을 ‘別流’라고 칭한 것이다. 또 위에서 〈嶓冢山은〉 “梁州에 있다.”라고 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荊州에 있다.”라고 한 것이다.
三澨를 지나 大別山에 이르러
三澨는 물 이름이니 漢水로 들어간다. 大別은 산 이름이다.
○澨가 남쪽으로 江에 들어가는 것은 곧 산에 부딪쳐 남쪽으로 돌아서 江水에 들어가는 것이다.
○東匯澤이 彭蠡가 되니, 匯는 回의 뜻이다. 물이 동쪽으로 돌아서 彭蠡大澤이 된 것이다.
○匯는 동쪽으로 北江이 되어 바다로 들어간다. 彭蠡江으로부터 나뉘어 셋이 되고, 震澤에 들어가서 드디어 北江이 되어 바다로 들어간다.
남쪽으로 江水에 들어가게 하시며,
산에 부딪쳐 남쪽으로 돌아서 江水에 들어간다.
동쪽으로 꺾어져 돌아 모여서 彭蠡가 되게 하시며,
匯는 廻의 뜻이다. 물이 동쪽으로 돌아서 彭蠡大澤이 되었다.
동쪽으로 北江이 되어 바다로 들어가게 하셨다.
彭蠡澤으로부터 江水가 나뉘어 셋이 되고, 震澤으로 들어가서 드디어 北江이 되어 바다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傳의 [自彭]에서 [入海]까지
○正義曰:揚州에서 “三江이 이미 〈震澤으로〉 흘러들어가니, 震澤이 안정되었다.”라고 하였는데, 孔安國은 ‘三江旣入’을 震澤으로 들어간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江이 彭蠡澤으로부터 나뉘어 三江이 되고
다시 함께 震澤으로 들어가며 震澤에서 나와 또 셋으로 나뉘고, 이 물이 드디어 北江이 되어 바다로 들어간다.”라고 말한 것이다. 그런데 鄭玄은 “‘三江旣入’은 바다로 들어간 것이지, 震澤으로 들어간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孔安國이 震澤으로 들어간다는 점을 꼭 알게 된 것은 震澤이 揚州에 속해 있고, 彭蠡가 揚州의 서쪽 지계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니, 지금 彭蠡를 따라 三江이 있다면 震澤의 서쪽에 三江이 갖춰졌을 것이다.
지금 ‘三江旣入’이라 하고 이어서 ‘震澤厎定’이라고 했기 때문에 三江이 震澤으로 들어감을 안 것이다. 지금 남쪽 사람들은 大江이 震澤으로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震澤의 동쪽에 별도로 松江 등 三江이 있는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周禮≫ 〈夏官 司馬 職方氏〉를 살펴보면, 揚州 조에 “그 〈주가 되는〉 하천은 三江이다.”라고 하였으니, 응당 揚州 내의 大川을 거명하였을 것이다. 그 松江 등은 비록 震澤에서 나왔다 하더라도 바다로 들어가는 거리가 이미 가까운 상태이니, ≪周禮≫에서는 응당 岷山과 大江의 이름을 놓아두고 松江 등 小江의 說을 기록하지 않았을 것이다.
山水는 예와 지금이 變易하기 때문에 鄭玄이 “이미 지금을 알았다면 또한 마땅히 예전도 알아야 한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고금이 같지 않다는 징험이다.


역주
역주1 ○澨……遂爲北江而入海 : 四庫本에서 보충하였다.
역주2 : 裴駰의 ≪史記集解≫에는 ‘三’자 아래에 ‘道’자가 있다.
역주3 (同)[古] : 저본에는 ‘同’으로 되어 있으나, 四庫本에 의거하여 ‘古’로 바로잡았다.
역주4 [不] : 저본에는 없으나, “의심컨대 ‘同’ 위에 ‘不’자가 빠진 것 같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