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凡厥庶民 하고 有爲하고 有守어든 汝則念之이니다
[傳]民有道하고 有所爲하고 有所執守이어든 汝則念錄敍之하라
不協于極이라도 不罹于咎어든 하소서
[傳]凡民之行 雖不合於中이나 而不罹于咎惡이어든 皆可進用이니 大法受之니라
이라커든 汝則錫之福이니
[傳]하고 人曰 我所好者德이라하거든 汝則與之爵祿이라
時人 하리니다
[傳]不合於中之人이라도 汝與之福이면 則是人此其惟大之中이니 言可勉進이라


백성 중에 도덕을 가진 이가 있고 일을 해놓은 이가 있고 지조를 굳게 지킨 이가 있거든 당신은 그들을 유념해야 할 것입니다.
백성 중에 혹 도덕을 가진 이가 있고 일을 해놓은 이가 있고 지조를 굳게 지킨 이가 있거든 당신은 유념하여 기록해두었다가 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中道에는 합당하지 않더라도 허물에 걸리지만 않았거든 대국적 견지에서 받아주십시오.
백성들의 행위가 비록 中道에는 합당하지 않더라도 허물에 걸리지만 않았거든 모두 進用할 수 있으니, 대국적 견지에서 받아주라고 한 것이다.
당신은 당신의 얼굴빛을 온화하게 해서 〈아랫사람에게 겸손으로 몸을 낮추어야 할 것이고,〉 그 사람이 말하기를 ‘내가 좋아하는 것은 바로 이다.’라고 하거든, 당신은 그 사람에게 (祿)을 내려주셔야 하니
당신은 응당 당신의 얼굴빛을 온화하게 해서 아랫사람에게 겸손으로 몸을 낮추어야 할 것이고, 사람이 “내가 좋아하는 것은 이다.”라고 하거든 당신은 그에게 爵祿을 주라는 것이다.
이 사람이 큰 中道를 할 것입니다.
中道에 합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당신이 福祿을 준다면 이러한 사람이 큰 中道를 할 게란 것이니, 권면해서 진취시킬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有猷 : 蔡傳은 ‘謀慮가 있는 사람’으로 보았다.
역주2 : 宋代 岳珂의 ≪九經三傳沿革例≫에 “‘戢’자는 다만 ‘或’ 1자가, 傳寫과정에서 ‘戢’자로 잘못되었을 뿐인데, 疏義에서 억지로 斂戢의 戢으로 풀이하고 있다.[戢字止是一或字 傳寫誤作戢爾 疏義強釋作斂戢之戢]”라고 하였으니, 岳珂의 말이 옳다고 생각한다.
역주3 皇則受之 : 蔡傳에는 皇을 君(임금)의 뜻으로 보아 “임금의 마땅히 받아들여야 할 바이다.[君之所當受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而康而色 曰予攸好德 : 林之奇의 ≪尙書全解≫에는 “‘曰而康而色’은 응당 당신의 안색을 온화하게 해서 가르쳐야 함을 말한 것이다.[曰而康而色 言當安汝之顔色以敎之]”라고 하여 孔傳을 따랐고, 蔡傳에는 “외모로는 온화한 기색을 보이고 중심에서는 德을 좋아한다는 말이 나오거든[見於外而有安和之色 發於中而有好德之言]”이라 하여 孔傳과 다르게 풀이하였다.
역주5 汝當安汝顔色 以謙下人 : 兪樾은 “아래에 있는 ‘而’자는 ‘汝’의 뜻으로 풀이되지만, 위에 있는 ‘而’자는 ‘汝’의 뜻으로 풀이되지 않으니 바로 語詞이다. 이 句는 윗글의 ‘皇則受之’를 이어받아 ‘皇則(大法)으로 그들을 받아들이라.’고 말한 것이고, ‘而康而色’은 ‘단지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또한 응당 당신의 얼굴빛을 온화하게 해서 받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다. ‘康’의 뜻은 ‘편안함’이기 때문에 또한 ‘和(온화함)’의 뜻이 되니, ≪史記≫ 〈樂書〉의 正義에 ‘「康」은 「和」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枚傳에서는 ‘皇則受之’를 윗글의 ‘汝則念之’와 서로 對를 함으로 인하여, ‘念之’ 아래에 다시 다른 글이 없으니, ‘受之’ 아래에 또한 이 네 글자를 붙일 수 없으므로 이에 이 네 글자를 아래에 붙여서 뜻을 만들었으니, 그 소견이 자못 고착되었다.[下而字訓汝 上而字不訓汝 乃語詞也 此句承上文皇則受之 而言皇則受之 而康而色 言不但受之 而又當和汝之顔色以受之也 康之義爲安 故亦爲和 史記樂書 正義曰 康和也 枚傳因皇則受之 與上文汝則念之 相對 念之下 更無他文 則受之下 亦不得着此四字 乃以此四字屬下爲義 其所見殊泥矣]”라고 하였다.(≪群經平議≫)
역주6 斯其惟皇之極 : 蔡傳은 “임금의 표준에 맡게 할 것이다.”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