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嗚呼 하노니
[傳]凡所言 皆不易之事
하고 無胥絶遠하여
[傳]長敬我言하여 大憂行之하고 無相與絶遠棄廢之
[傳]群臣當分明相與謀念하고 和以相從하여 各設中正於汝心하라


아! 지금 내가 너희에게 고한 것은 모두 쉽지 않은 일이니,
무릇 내가 말한 바는 모두 쉽지 않은 일이란 것이다.
〈나의 말을〉 길이 공경하여 매우 걱정하면서 행하고 서로 관계를 끊어 등한히 하지 말아서,
나의 말을 길이 공경하여 매우 걱정하면서 행하고, 서로 관계를 끊어 등한히 하여 폐기하지 말라는 것이다.
너희들은 분명하게 도모하여 생각하고 〈화협하여〉 서로 따라서 각각 中正을 너희들의 마음에 베풀도록 하라.
여러 신하들은 응당 분명하게 서로 더불어 도모하여 생각하고 화협하여 서로 따라서 각각 中正을 너희들의 마음에 베풀어야 한다.


역주
역주1 今予告汝不易 : 蔡傳에서는 “지금 나는 너희에게 도읍을 옮기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을 고하노니[今我告汝以遷都之難]”라고 풀이하였다. 元代 陳師凱는 “‘告汝不易는 너희에게 어려운 뜻을 고한다.’고 하고 一說에는 ‘너희에게 한 번 정해져서 바꿀 수 없는 것임을 고한다.’고 한다.”라고 하였다.
역주2 [我] : 저본에는 ‘我’가 없으나, “古本에는 ‘凡’ 아래에 ‘我’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 永敬大恤 : 蔡傳에서는 “너희들은 마땅히 내가 매우 걱정하고 있는 일을 공경해야 할 것이다.[汝當永敬我之所大憂念者]”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汝分猷念以相從 各設中于乃心 : 蔡傳에서는 “‘分猷’는 임금의 도모하는 바를 나누어 함께 도모하는 것이고, ‘分念’은 임금의 생각하는 바를 나누어 함께 생각한다는 것이다. ‘相從’은 ‘相與’와 같은 것이다. ‘中’은 極至의 이치이니, 각각 지극한 이치를 마음속에 가지면 遷徙에 대한 논의가 變易할 수 없는 것임을 알아서 浮言과 橫議에 동요되지 않을 것이다.[分猷者 分君之所圖而共圖之 分念者 分君之所念而共念之 相從 相與也 中者 極至之理 各以極至之理 存于心 則知遷徙之議 爲不可易 而不爲浮言橫議之所動搖也]”라고 풀이하였다. ‘中’을 極至의 이치로 풀이한 데 대해서는 洪奭周가 “漢儒가 極을 中의 뜻으로 풀이하자, 朱子는 그 잘못을 깊이 배척하여 심지어 ‘그 해독이 萬世에 흐른다.’고까지 하였다. 蔡氏의 學은 朱子에게서 나왔건만, 이에 中을 極至의 이치로 풀이하였다. 무릇 中은 치우치지 않는 것을 이르고, 치우치지 않는 것은 지극한 이치가 존재한 바이다. 그러나 이것으로 곧바로 中을 極의 뜻으로 풀이하였으니, 漢儒가 極을 中의 뜻으로 풀이한 것과 그 실착이 또한 무엇이 다르겠는가.”라고 하였다. ≪尙書補傳≫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