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大天已付周家治中國民矣 能遠拓其界壤하면 則於先王之道 遂大리라
○付 馬本作附
惟德하여 和懌迷民하여 用懌先王受命하노라
[傳]今王惟用德하여 和悅先後天下迷愚之民이라 先後 謂敎訓이니 所以悅先王受命之義


皇天이 이미 中國의 백성들을 〈다스릴 권한을〉 부여하셨으니, 그 疆土를 개척하면 先王가 커질 것이다.
큰 하늘이 이미 나라에게 中國의 백성들을 다스릴 권한을 부여하였으니, 능히 멀리 그 疆界土壤을 개척한다면 先王가 커질 것이란 말이다.
○‘’는 馬本에 ‘’로 되어 있다.
을 써서 미혹한 백성들을 기쁘게 만들고 교훈시켜서 先王天命을 받으신 것을 기뻐하게 하노라.
이제 을 써서 천하의 迷愚한 백성들을 기쁘게 만들고 교훈시킨다는 것이다. ‘先後’는 敎訓을 이르니, 先王天命을 받은 의의를 기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皇天……于先王 : 蔡傳은 “皇天이 이미 中國의 백성과 그 疆土를 先王에게 부여해주었다.”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 孔傳은 대부분 故나 遂의 뜻으로 보는 동시에 遂를 다시 申과 竟의 뜻으로 보는 경우가 있고, 여기서는 遂를 다시 大의 뜻으로 보아 ‘先王’의 뒤에 붙여서 “光大해질 것이다.”로 풀이하고 있다. 蔡傳은 今의 뜻으로 보아 아래의 ‘王’에 붙여 “지금 王은”으로 풀이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陳師凱(≪書蔡氏傳旁通≫)는 “蔡氏가 ‘肆’를 今으로 풀이한 것은 온당치 못한 일이니, ‘肆’는 故나 遂의 뜻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고, 조선시대 洪奭周(≪尙書補傳≫)는 “‘肆’의 풀이는 대부분 故와 今의 뜻으로 적었는데, 經傳에서는 또한 단지 ‘發語辭’로만 적었으니, 이를테면 〈舜典〉의 ‘肆類于上帝’, 〈康誥〉의 ‘肆汝小子封’, 〈梓材〉의 ‘肆王惟德用’, 〈召誥〉의 ‘肆惟王其疾敬德’과 같은 것이 모두 이것이다. 蔡傳은 〈康誥〉에서는 ‘「肆」는 未詳하다.’ 하고, 〈梓材〉에서는 ‘「肆」는 今의 뜻이다.’고 하였으니, 무엇 때문에 다르게 하였는지 알지 못하겠다.[肆之爲訓 多作故今 而經傳亦有只作發語辭者 如舜典之肆類于上帝 康誥之肆汝小子封 梓材之肆王惟德用 召誥之肆惟王其疾敬德 皆是也 蔡傳於康誥則曰肆未詳 梓材則曰肆今也 未知其何以異也]”라고 하였다.
역주3 先後 : 蔡傳은 ‘勞來之’로 풀이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