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導嶓冢하여 至于荊山하며
[傳]漾水出嶓冢하니 在梁州하고 經荊山이라 荊山 在荊州
[疏]傳‘漾水’至‘荊州’
○正義曰:下云 “嶓冢導漾.” 梁州云 “岷‧嶓旣藝.” 是嶓冢在梁州也. 荊州以荊山爲名, 知‘荊山在荊州’也.
內方으로 至于大別하다
[傳]內方大別 二山名이니 在荊州하고 漢所經이라
[疏]傳‘內方’至‘所經’
○正義曰:地理志云 “章山在江夏竟陵縣東北, 古文以爲內方山.” 地理志無大別.
鄭玄云 “大別在廬江安豐縣.” 杜預解春秋云 不知何處. 或曰 “大別在安豐縣西南.”
左傳云 “吳旣與楚夾漢, 然後楚乃濟漢而陳, 自小別至于大別.” 然則二別近漢之名, 無緣得在安豐縣.
如預所言, 雖不知其處, 要與內方相接, 漢水所經, 必在荊州界也.


嶓冢山으로부터 시작하여 荊山에 이르며,
漾水는 嶓冢山에서 나오니 〈嶓冢山은〉 梁州에 있고, 荊山을 거쳐 흐른다. 荊山은 荊州에 있다.
傳의 [漾水]에서 [荊州]까지
○正義曰:아래에서 “嶓冢山에서 漾水를 유도하여”라 하고, 梁州에서 “岷山과 嶓山에 이미 〈곡식을〉 심을 수 있게 되었으며”라고 하였으니, 嶓冢山은 梁州에 있는 것이다. 荊州는 荊山을 가지고 명칭을 한 것이니, 荊山이 荊州에 있음을 안 것이다.
內方山으로부터 大別山에 이른다.
內方과 大別은 두 산 이름이니, 荊州에 있고 漢水가 경유하는 곳이다.
傳의 [內方]에서 [所經]까지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章山은 江夏郡 竟陵縣 동북쪽에 있는데 古文에서는 ‘內方山’이라 했다.”라고 하였다. 〈地理志〉에는 大別山이 없다.
鄭玄은 “大別山은 廬江郡 安豐縣에 있다.”라고 하였다. 杜預는 ≪春秋≫를 해석하면서 “大別山은 빠져있다.[大別闕]”라고 하였으니, 어느 곳인지 알 수 없다. 혹자는 “大別山은 安豐縣 서남쪽에 있다.”라고 하였다.
≪春秋左氏傳≫ 定公 4년 조에 “吳나라 군대는 이미 楚나라 군대와 漢水를 끼고 진을 쳤다. 그런 다음 楚나라 군대가 곧 漢水를 건너 진을 치고, 小別山으로부터 大別山에 이르기까지 〈세 차례나 싸웠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小別山과 大別山은 漢水에 가까이 있는 산들 이름이니, 安豐縣에 있을 까닭이 없다.
杜預의 말대로라면 비록 그 소재처는 알 수 없으나 결국은 內方山과 서로 접하고 漢水가 경유한 곳일 터이니, 반드시 荊州의 지계에 있을 것이다.


역주
역주1 大別闕 : 杜預의 ≪春秋釋例≫에서 大別山에 대해 ‘闕’로 표시하였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