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先服殷御事하사 比介于我有周御事하사
[傳]召公 旣述周公所言하고 又自陳己意하여 以終其戒
言當先服治殷家御事之臣하여 使比近於我有周治事之臣하여 必和協이라야 乃可一이라
○近 附近之近이라
[傳]和比殷周之臣하고 時節其性하여 令不失中이면 則道化惟日其行이라


왕께서는 먼저 나라의 일을 다스리던 신하들을 복종시켜 우리 나라의 일을 다스리는 신하들과 가까이 지내게 하여
召公은 이미 周公이 한 말을 기술하고 또 자기의 의사를 개진하여 그 경계함을 마무리하였으니,
마땅히 먼저 나라의 일을 맡은 신하들을 잘 다스려서 우리 나라의 일을 다스리는 신하들과 친근해져, 반드시 和協하도록 하여야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은 ‘附近’의 이다.
성질을 절제하도록 하시면 〈道化가〉 날로 행해질 것입니다.
나라 신하들과 나라 신하들을 화협하여 친근해지게 하고, 수시로 그들의 성질을 절제하여 중정을 잃지 않게 한다면, 道化가 날로 행해질 것이란 말이다.


역주
역주1 節性惟日其邁 : 顧炎武는 “≪書經≫ 〈湯誥〉에 ‘모든 사람들에게 衷을 내리어 有恒한 性을 따라[降衷于下民 若有恒性]’라고 했으니, 이는 性善說이 그로부터 나온 것이고, 〈召誥〉에 ‘나쁜 성질을 절제하도록 하시면 날로 善에 매진할 것입니다.[節性惟日其邁]’라고 했으니, 이는 性相近說이 그로부터 나온 것이다. ≪詩經≫ 〈大雅 卷阿〉에 ‘화평한 군자야! 그대로 하여금 그대의 性命을 잘 마쳐서 先公의 마침과 같게 하리로다.[豈弟君子 俾爾彌爾性 似先公酋矣]’라고 했고, ≪孟子≫ 〈盡心 下〉에 ‘명이지만 본성에 있다. 그러므로 군자는 명이라 이르지 않는다.[命也有性焉 君子不謂命也]’라고 했다.[降衷于下民 若有恒性 此性善之說 所自出也 節性惟日其邁 此性相近之說 所自出也 豈弟君子 俾爾彌爾性 似先公酋矣 命也有性焉 君子不謂命也]” 하였다.(≪日知錄≫ 〈節性〉)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